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언론 유튜브 채널의 특징과 개선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지역 지상파 방송사와 지역 일간지 사례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Local Media’s YouTube News Channels : Focusing on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nd local daily newspap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3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ibilities of local media utilizing and developing YouTube as a way to secure new distribution networks and enhance digital content capabilities in the rapidly changing new media environment. To this end, local media’s YouTube news chanels were reviewed through YouTube API data,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experts in the field of digital media contents production to discus characteristics, improvement direction, and limitations of chanel operation. Curently, many companies had made numerical outcomes with digital-only content reflecting local colors or using their own video archive system, but most of them were focusing more on expanding the chanel’s external or short-term performances through TV replay videos. One notable feature was that despite the relatively por infrastructure, some local dailies had distinct chanel identity and customized digital content, making them even more competitive than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lthough the interaction betwen users and media companies was above a certain level, there were stil many pasive forms. Digital media experts stresed that the YouTube chanel of local media should establish its’ own identity and have the ability to produce content based on users’ neds and desires. Also, the two-way communication capability should be strengthened to become a public forum for regional isues that anyone can easily participate in, and that such voices should be reflected through content. This shows the posibility of local media’s YouTube chanel developing as a modified community journalism in the new media era beyond the perception of one of news distribution chanel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ibilities of local media utilizing and developing YouTube as a way to secure new distribution networks and enhance digital content capabilities in the rapidly changing new media environment. To this end, local media...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ibilities of local media utilizing and developing YouTube as a way to secure new distribution networks and enhance digital content capabilities in the rapidly changing new media environment. To this end, local media’s YouTube news chanels were reviewed through YouTube API data,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experts in the field of digital media contents production to discus characteristics, improvement direction, and limitations of chanel operation. Curently, many companies had made numerical outcomes with digital-only content reflecting local colors or using their own video archive system, but most of them were focusing more on expanding the chanel’s external or short-term performances through TV replay videos. One notable feature was that despite the relatively por infrastructure, some local dailies had distinct chanel identity and customized digital content, making them even more competitive than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lthough the interaction betwen users and media companies was above a certain level, there were stil many pasive forms. Digital media experts stresed that the YouTube chanel of local media should establish its’ own identity and have the ability to produce content based on users’ neds and desires. Also, the two-way communication capability should be strengthened to become a public forum for regional isues that anyone can easily participate in, and that such voices should be reflected through content. This shows the posibility of local media’s YouTube chanel developing as a modified community journalism in the new media era beyond the perception of one of news distribution chan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지역 언론의 유튜브 진출 사례를 주목하고 새로운 유통망 확보와 온라인 콘텐츠 역량 강화의 방안으로서 유튜브 활용과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와 지역 일간지의 유튜브 채널의 현황을 유튜브 API 데이터로 살펴보고, 뉴미디어 분야의 시사․뉴스 콘텐츠 제작실무진들을 대상으로 채널 운영 특징과, 경쟁력 개선 방안, 한계점 등을 검토하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현재 많은 지역의 언론사들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수치적인 성과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색을 반영하고 영상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이슈를따라가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디지털 전용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었으나, 한편으로는 대부분이 방송 다시보기 서비스에 치중하는 형태로 채널 외연의 확장과 단기적 성과에 더욱 치중하고 있었다. 눈에 띄는 특징은 몇몇의 지역 일간지는 상대적으로 열약한 인프라에도 뚜렷한 정체성과 맞춤형 콘텐츠로 지역 방송사보다 더 나은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용자와 언론사 간의 상호작용은 각 언론사의 여건에 맞게 일정 수준 이루어지고있었으나 소극적인 형태가 많았다. 지역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진들은 지역 언론사의 유튜브 채널로서 정체성과 중장기적 비전의 확립이 선행되어야하며, 유튜브에 맞는 콘텐츠 소구력을 갖춰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쌍방향적 소통 역량을 강화하여 누구나쉽게 참여할 수 있는 지역 이슈의 공론장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목소리는 콘텐츠를 통해 발현되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지역 언론사의 유튜브 채널이 뉴스 유통 채널의 다변화수단이라는 인식에서 더 나아가 뉴미디어 시대의 변형된 커뮤니티 저널리즘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그러나 저예산과 제한된 인력만으로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만 지향하는 언론사의 내부 분위기는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지역 언론의 유튜브 진출 사례를 주목하고 새로운 유통망 확보와 온라인 콘텐츠 역량 강화의 방안으로서 유튜브 활용과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지역 언론의 유튜브 진출 사례를 주목하고 새로운 유통망 확보와 온라인 콘텐츠 역량 강화의 방안으로서 유튜브 활용과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와 지역 일간지의 유튜브 채널의 현황을 유튜브 API 데이터로 살펴보고, 뉴미디어 분야의 시사․뉴스 콘텐츠 제작실무진들을 대상으로 채널 운영 특징과, 경쟁력 개선 방안, 한계점 등을 검토하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현재 많은 지역의 언론사들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수치적인 성과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색을 반영하고 영상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이슈를따라가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디지털 전용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었으나, 한편으로는 대부분이 방송 다시보기 서비스에 치중하는 형태로 채널 외연의 확장과 단기적 성과에 더욱 치중하고 있었다. 눈에 띄는 특징은 몇몇의 지역 일간지는 상대적으로 열약한 인프라에도 뚜렷한 정체성과 맞춤형 콘텐츠로 지역 방송사보다 더 나은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용자와 언론사 간의 상호작용은 각 언론사의 여건에 맞게 일정 수준 이루어지고있었으나 소극적인 형태가 많았다. 지역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진들은 지역 언론사의 유튜브 채널로서 정체성과 중장기적 비전의 확립이 선행되어야하며, 유튜브에 맞는 콘텐츠 소구력을 갖춰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쌍방향적 소통 역량을 강화하여 누구나쉽게 참여할 수 있는 지역 이슈의 공론장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목소리는 콘텐츠를 통해 발현되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지역 언론사의 유튜브 채널이 뉴스 유통 채널의 다변화수단이라는 인식에서 더 나아가 뉴미디어 시대의 변형된 커뮤니티 저널리즘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그러나 저예산과 제한된 인력만으로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만 지향하는 언론사의 내부 분위기는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궁협, "지역에서 대안적 독립언론 상상하기 : 급진적 민주주의와 새로운 저널리즘 양식" 한국지역언론학회 18 (18): 36-71, 2018

      2 배지양, "지역언론 시장세분화를 위한 속성: 지역성과 공중상황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5 (15): 109-144, 2015

      3 박경우, "지역방송의 소셜 미디어 이용과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방송인들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5 (15): 61-91, 2011

      4 주정민, "지역방송 콘텐츠의 제작경쟁력 확보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27-635, 2016

      5 김영수, "지역방송 콘텐츠의 다중 창구화 현황과 지역방송인의 인식 -1차 지역민방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6 (16): 61-87, 2012

      6 금준경, "전두환 청와대 홈파티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7 김은재, "인플루언서 마케팅에서 정보원 유형과 경제적 대가 표시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 유튜브(YouTube)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297-306, 2019

      8 이희은,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 ‘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7 (27): 5-46, 2019

      9 오세욱,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과 저널리즘"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10 양선희, "유튜브 저널리즘의 시대, 전통적 저널리즘의 대응현황과 과제" 사회과학연구소 31 (31): 245-262, 2020

      1 남궁협, "지역에서 대안적 독립언론 상상하기 : 급진적 민주주의와 새로운 저널리즘 양식" 한국지역언론학회 18 (18): 36-71, 2018

      2 배지양, "지역언론 시장세분화를 위한 속성: 지역성과 공중상황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5 (15): 109-144, 2015

      3 박경우, "지역방송의 소셜 미디어 이용과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방송인들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5 (15): 61-91, 2011

      4 주정민, "지역방송 콘텐츠의 제작경쟁력 확보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27-635, 2016

      5 김영수, "지역방송 콘텐츠의 다중 창구화 현황과 지역방송인의 인식 -1차 지역민방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6 (16): 61-87, 2012

      6 금준경, "전두환 청와대 홈파티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7 김은재, "인플루언서 마케팅에서 정보원 유형과 경제적 대가 표시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 유튜브(YouTube)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297-306, 2019

      8 이희은,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 ‘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7 (27): 5-46, 2019

      9 오세욱,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과 저널리즘"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10 양선희, "유튜브 저널리즘의 시대, 전통적 저널리즘의 대응현황과 과제" 사회과학연구소 31 (31): 245-262, 2020

      11 유용민, "유튜브 저널리즘 현상 논쟁하기: 행동주의의 부상과 저널리즘의 새로운 탈경계화" 한국방송학회 33 (33): 5-38, 2019

      12 김미라,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네이버 TV 캐스트 웹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298-330, 2015

      13 박서연, "영화 기자보다 영국남자 먼저 찾는다"

      14 하주용, "소셜 플랫폼의 부상과 동영상 뉴스 생산 전략"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15 한선, "블로그 이용자의 지역 공론장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경남도민일보〉의 메타 블로그 ‘갱블’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365-388, 2012

      16 김송희, "모바일 환경에서 지역 언론사의 동영상콘텐츠 서비스 가능성과 한계 :인터넷TV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9 (19): 5-42, 2019

      17 이형숙, "국내 지역 지상파 방송사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략 방안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41-56, 2018

      18 정철운, "가짜뉴스․유튜브․극우보수와 저널리즘" 247 : 168-183, 2018

      19 Clement, J., "YouTube—Statistics & Facts"

      20 Peer, L., "YouTube and the Challenge to Journalism : New standards for news videos online" 12 (12): 45-63, 2011

      21 Burgess, J., "YouTube : Online Video and Participatory Culture" John Wiley & Sons 2018

      22 Pew Research Center, "YouTube & News: A new kind of visual journalism"

      23 박서연, "YTN은 어떻게언론사유튜브 1위가됐나"

      24 Rosen, J., "What Are Journalists For?" Yale University Press 1999

      25 Lowrey, W., "Toward a Measure of Community Journalism" 11 (11): 275-299, 2008

      26 Carey, J. W., "The idea of public journalism" 49-66, 1999

      27 Pavlik, J., "The Impact of Technology on Journalism" 1 (1): 229-237, 2000

      28 Rosen, J., "The Idea of Public Journalism" Guilford Press 21-48, 1999

      29 강준만, "SNS․모바일․유튜브 시대의언론: ‘기술결정론의 독재’를 넘어서" 251 : 47-84, 2019

      30 Nashmi, E. al., "Promoting a global brand : A study of international news organisations’ YouTube channels" 23 (23): 165-185, 2017

      31 Doudaki, V., "Print and Online News" 14 (14): 907-925, 2013

      32 Reader, B., "Letters as Indicators of Community Values : Two Case Studies of Alternative Magazines" 85 (85): 823-840, 2008

      33 Rossman, G. B., "Learning in the field: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Sage 1998

      34 최종환, "KBS지역총국 활성화사업본격 시동"

      35 Robinson, S., "Introduction : Community journalism midst media revolution" 8 (8): 113-120, 2014

      36 Küng, L., "Innovators in Digital News" Bloomsbury Publishing 2015

      37 Lavrakas, P. J., "Images of daily newspapers in their local markets" 10 (10): 51-60, 1989

      38 Griffith, S. F., "Home Town News: William Allen White and the Emporia Gazette"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39 Hume, J., "Foundations of Community Journalism" 65-82, 2012

      40 Reader, B., "Foundations of Community Journalism" 3-20, 2012

      41 Moore, M., "Digital dominance: The power of Google, Amazon, Facebook, and App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42 Uzelman, S., "Dangerous practices : Determinism of technique in alternative media and their literature" 7 (7): 21-36, 2011

      43 Couldry, N., "Contesting media power: Alternative media in a networked world" Rowman & Littlefield 2003

      44 Terry, T. C., "Community journalism provides model for future" 32 (32): 71-83, 2011

      45 Byerly, K. R., "Community journalism" Chilton Co., Book Division 1961

      46 Putnam, R., "Bowling Alone :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Touchstone Books 2001

      47 Atton, C., "An alternative internet: Radical media, politics and creativ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4

      48 Thelwall, M., "A history of webometrics" 38 (38): 18-23, 2012

      49 Wikstrom, P., "A companion to new media dynamics" 231-246, 2013

      50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언론수용자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51 닐슨, "2019 뉴스미디어 리포트-유튜브 저널리즘"

      52 성상민, "1일1깡’열풍에 편승한 지역 방송사 유튜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