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물류산업을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다양한 서비스 제공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규정하고, 물류산업이 국가 경제 발전을 선도하는 기간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12473
2013
-
320
KCI등재
학술저널
5-27(23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물류산업을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다양한 서비스 제공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규정하고, 물류산업이 국가 경제 발전을 선도하는 기간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
본 논문은 물류산업을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다양한 서비스 제공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규정하고, 물류산업이 국가 경제 발전을 선도하는 기간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종합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물류기업들의 성장에 따른 물류산업의 발전은 궁극적으로 개별 국가의 경제영토를 확장하고 고용창출, 연관산업의 효과적인 해외진출 및 비즈니스 지원이 가능하여 국가 전체의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쳐 주는 동맥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중요성을 인식하고 본 논문은 글로벌 시장 변화에 따른 국내 물류기업들의 구조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물류산업과 주요 산업의 동반 진출, 3PL 기업 육성 등 전략 제안 및 정부 차원에서 고려하거나 지원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 및 지원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ast logistics industry was recognized as its supportive role for manufacturing or distribution industries. But now it is recognized as a value added industry through its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Korea's logistics industry should properly...
In the past logistics industry was recognized as its supportive role for manufacturing or distribution industries. But now it is recognized as a value added industry through its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Korea's logistics industry should properly cope with new challenges. Korea needs to foster logistics companies which will lead the industrial development in order to build the foundation for national wealth crea-tion and secure international trade competitiveness as well as building an advanced economic structure. Some policy measures are suggest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logistics industry : integrated logistics businesses should be de-veloped by forming virtual businesses, specialized logistics firms should grow through mergers and acquisitions among companies, the market size should be expanded by cultivating northeast Asian market, the laws and decree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business should be re-establish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길성, "한국제조기업의 전략적 글로벌 공급체인관리(SCM)와 시장성과: 주요 트렌드와 유연성을 중심으로"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3 (13): 249-267, 2010
2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3 산업연구원, "한국산업의 발전비전 2020" 2005
4 한국무역협회, "초대형 글로벌 3PL 기업 육성방안" 2008
5 이미숙, "제조기업 생산성과에 대한 SCM 내.외부 활동의 관련성 분석" 한국생산성학회 23 (23): 199-221, 2009
6 김창봉, "제3자 물류기업의 SCM 사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물류학회 20 (20): 27-54, 2010
7 산업연구원, "서비스수지 동향 및 정책방향" 2012
8 글로비스, "사업보고서"
9 정행득,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21 (21): 131-153, 2011
10 전국경제인연합회, "물류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관련 제도개선과제" 2009
1 김길성, "한국제조기업의 전략적 글로벌 공급체인관리(SCM)와 시장성과: 주요 트렌드와 유연성을 중심으로"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3 (13): 249-267, 2010
2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3 산업연구원, "한국산업의 발전비전 2020" 2005
4 한국무역협회, "초대형 글로벌 3PL 기업 육성방안" 2008
5 이미숙, "제조기업 생산성과에 대한 SCM 내.외부 활동의 관련성 분석" 한국생산성학회 23 (23): 199-221, 2009
6 김창봉, "제3자 물류기업의 SCM 사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물류학회 20 (20): 27-54, 2010
7 산업연구원, "서비스수지 동향 및 정책방향" 2012
8 글로비스, "사업보고서"
9 정행득,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21 (21): 131-153, 2011
10 전국경제인연합회, "물류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관련 제도개선과제" 2009
11 산업연구원, "물류산업 효율성 분석 및 경쟁력 강화 방안" 2010
12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글로벌 시장 점유율 증대를 위한 물류기업 동반 진출 활성화 방안 연구" 2011
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글로벌 물류기업의 M&A 및 팽창전략" 2007
14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글로벌 리더 물류기업 성장전략 연구" 2009
1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내물류기업의 해외진출 전략 정비 및 재수립 연구" 2010
16 대한상공회의소, "국내 물류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현황 애로실태" 2011
17 한국교통연구원, "국가물류비 산정방법 개선 연구" 2012
18 국토해양부, "국가물류기본계획 수정계획(2011~2020)" 2011
19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물류기업 육성방안" 2011
20 OECD, "Statistics on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s"
21 World Bank, "Responding to Global Logistics Trends with a National Logistics Strategy" 2007
22 World Bank, "Connecting To Compete : Trade Logistics in the Global Economy" 2010
23 Nemec. J. Jr, "A Special Report on Globalization" Booz-Allen & Hamilton 1991
24 한진물류연구원, "3PL기업 육성 및 해외진출방안" 2007
25 Armstrong & Associates, "2010 3PL Market Analysis and 2011 Predictions" 2011
26 한국교통연구원, "2008 국가물류비 산정 및 추이분석" 2011
국내 육상 컨테이너 운송기업의 영향전략과 운전자의 집단행동에 관한 실증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9 | 1.19 | 1.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9 | 1.114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