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천의 기울어진 운동장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연구 = Unlevel Playing Field, A Study on the Balanced Growth Within Incheon Metropolita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40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 of spatially unlevel playing field in Korean cities and discusses the main factors that cause these problems by studying government activities and policy factors empiricall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government policies and activities that resulted in sloping playgrounds in Korean society include discriminatory government policies, biased rules of government decision making procedure, discrimination in public services supply, the local government seized in the growth coalition, and the opportunity seeking behaviors of local government leaders.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Incheon, major problems of sloped playing grounds were the polarization between old town and new city, unlevel playing field between traditional industrial district and high-tech industrial park, and gap between inland and island area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were highly suggested to mitigate the problem of sloping playgrounds in Incheon. First, it requires long-term policy support rather than short-term prescription. Second, it needs to promote the resident-oriented development rather than large scale development. Third, it is strongly suggested to seek a community-oriented bottom-up policy rather than top-down government policy. Fourth,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rather than the rise of real estate value. And finally, in this process a comprehensive approach of embracing the island area is stronglKey words : unlevel playing ground, government factor, Incheon, growth coalition, opportunity seeking behaviory recommended.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 of spatially unlevel playing field in Korean cities and discusses the main factors that cause these problems by studying government activities and policy factors empiricall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government ...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 of spatially unlevel playing field in Korean cities and discusses the main factors that cause these problems by studying government activities and policy factors empiricall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government policies and activities that resulted in sloping playgrounds in Korean society include discriminatory government policies, biased rules of government decision making procedure, discrimination in public services supply, the local government seized in the growth coalition, and the opportunity seeking behaviors of local government leaders.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Incheon, major problems of sloped playing grounds were the polarization between old town and new city, unlevel playing field between traditional industrial district and high-tech industrial park, and gap between inland and island area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were highly suggested to mitigate the problem of sloping playgrounds in Incheon. First, it requires long-term policy support rather than short-term prescription. Second, it needs to promote the resident-oriented development rather than large scale development. Third, it is strongly suggested to seek a community-oriented bottom-up policy rather than top-down government policy. Fourth,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rather than the rise of real estate value. And finally, in this process a comprehensive approach of embracing the island area is stronglKey words : unlevel playing ground, government factor, Incheon, growth coalition, opportunity seeking behaviory recommen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도시에서 공간적으로 기울어진 운동장 문제를 분석하고, 이러한 문제를 초래한 주요 요인을 정부활동과 정책요인을 중심으로 인천을 연구대상으로 경험적으로 논의하였다. 한국사회에서 기울어진 운동장을 초래한 정부 정책과 활동으로는 차별적인 정부정책, 정부의 편파적인 의사결정규칙, 공공서비스의 차이, 성장연대에 포획된 정부 그리고 지자체장의 기회추구적 행태 등을 제시하였다. 인천에 대한 경험적 분석에서, 기울어진 운동장의 주요 실태로 구도심과 신도시 사이의 양극화, 전통산업지구와 첨단산업공원 사이의 기울어진 운동장, 내륙지역과 도서지역 사이의 격차 등이 주요 문제로 관찰되었다. 인천에서 기울어진 운동장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시사점이 제안되었다. 첫째, 단기적 처방이 아닌 장기적 정책지원이 요구되고, 둘째 대규모 개발 보다는 주민 중심의 개발이 추진될 필요가 있고, 셋째 하향식 정부 주도 보다는 상향식 지역 공동체 중심의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며, 넷째 부동산 가치 상승 보다는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섬 지역을 포용하는 종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도시에서 공간적으로 기울어진 운동장 문제를 분석하고, 이러한 문제를 초래한 주요 요인을 정부활동과 정책요인을 중심으로 인천을 연구대상으로 경험적으로 논의하였다. ...

      본 논문은 한국도시에서 공간적으로 기울어진 운동장 문제를 분석하고, 이러한 문제를 초래한 주요 요인을 정부활동과 정책요인을 중심으로 인천을 연구대상으로 경험적으로 논의하였다. 한국사회에서 기울어진 운동장을 초래한 정부 정책과 활동으로는 차별적인 정부정책, 정부의 편파적인 의사결정규칙, 공공서비스의 차이, 성장연대에 포획된 정부 그리고 지자체장의 기회추구적 행태 등을 제시하였다. 인천에 대한 경험적 분석에서, 기울어진 운동장의 주요 실태로 구도심과 신도시 사이의 양극화, 전통산업지구와 첨단산업공원 사이의 기울어진 운동장, 내륙지역과 도서지역 사이의 격차 등이 주요 문제로 관찰되었다. 인천에서 기울어진 운동장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시사점이 제안되었다. 첫째, 단기적 처방이 아닌 장기적 정책지원이 요구되고, 둘째 대규모 개발 보다는 주민 중심의 개발이 추진될 필요가 있고, 셋째 하향식 정부 주도 보다는 상향식 지역 공동체 중심의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며, 넷째 부동산 가치 상승 보다는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섬 지역을 포용하는 종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천권, "현대도시행정" 대영문화사 2014

      2 김천권, "현대도시개발" 대영문화사 2017

      3 오마이뉴스, "지자체 경영수익사업 속빈강정, 2007.04.10"

      4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 개마고원 2017

      5 봉인식, "주택재개발사업시 원주민 재정착 문제와 대안" 경기개발연구원 2010

      6 Savage, M., "자본주의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3

      7 이득재, "인천과 신자유주의적인 공간 재구성의 가능성" 인천학연구원 1 (1): 95-132, 2013

      8 YTN, "인천, 지역 양극화가 가장 불만...시장 임기내 해소 가능할까?"

      9 인천일보, "인천 재개발·재건축사업 매몰비용 지원한다, 2016.04.01"

      10 김언경, "완전히 기울어진 운동장, 우리가 할 일은?" 28 : 2016

      1 김천권, "현대도시행정" 대영문화사 2014

      2 김천권, "현대도시개발" 대영문화사 2017

      3 오마이뉴스, "지자체 경영수익사업 속빈강정, 2007.04.10"

      4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 개마고원 2017

      5 봉인식, "주택재개발사업시 원주민 재정착 문제와 대안" 경기개발연구원 2010

      6 Savage, M., "자본주의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3

      7 이득재, "인천과 신자유주의적인 공간 재구성의 가능성" 인천학연구원 1 (1): 95-132, 2013

      8 YTN, "인천, 지역 양극화가 가장 불만...시장 임기내 해소 가능할까?"

      9 인천일보, "인천 재개발·재건축사업 매몰비용 지원한다, 2016.04.01"

      10 김언경, "완전히 기울어진 운동장, 우리가 할 일은?" 28 : 2016

      11 신동호, "영국 뉴카슬/게이츠헤드의 도시재개발사업에 관한 연구: 정책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131-145, 2012

      12 김정훈, "신화의 붕괴, 그리고 희망의 정치?: 20대 총선에서 나타난 유권자 지형의 변화" 비판사회학회 (110) : 12-37, 2016

      13 장지연, "성별임금격차 해소의 철학과 정책 : 프레이저 분배・인정 이론을 중심으로" 젠더법학연구소 9 (9): 167-194, 2017

      14 임석회, "사회적 양극화와 공간적 특성:서울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 8 (8): 270-279, 2002

      15 김선택, "민주적 정당화의 관점에서 본 정부형태론 - 촛불혁명은 정부형태의 변경을 요구하였나" 한국비교공법학회 18 (18): 85-109, 2017

      16 김동한, "도시양극화의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635) : 2017

      17 이상대, "도시 내 양극화 현상과 도시정책 대응" 경기연구원 2017

      18 문창기, "대전지역 사회양극화 실태조사: 의료, 빈곤, 교육, 노동" 2008

      19 김민호, "달동네 마을 재생사업 주민 참여 낮아 난관"

      20 김서중, "기울어진 운동장의 현실과 해법에 대한 고민" (92) : 2016

      21 페미위키, "기울어진 운동장"

      22 경향신문, "고분양가로 원주민 정착률 20%도안돼, 2011.03.28"

      23 허선규, "계속되는 섬 지역 홀대"

      24 서울신문, "[대한민국은 우울한 축제공화국] 인천세계도시축전 왜 실패했나, 2012.10.19"

      25 Logan, J. R., "Urban Fortunes: The Political Economy of Pla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7

      26 Jacobs, J., "The Death and Life of American Cities" Reissue edition 1992

      27 Piketty, T., "21세기 자본" 글항아리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3 1.05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