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항복 소화(笑話)의 양상과 특수성 -웃음 기제와 효과를 중심으로- =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Lee Hang-bok`s Funny Stories -focusing on the mechanism and effect of laugh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7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이항복이 등장하는 소화를 논의 대상으로, 이들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그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핌으로써 이항복 웃음의 특징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 논문은 여러 문헌 자료집에 흩어져 있는 이항복 소화의 리스트를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형화를 진행하였다. 이항복 소화는 웃음을 야기하는 기제가 행동인가, 말인가에 따라 1. 골탕 먹이기와 2. 재치 있는 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골탕 먹이기 유형은 다시 유발되는 웃음이 공격성이나 의도성을 가지는가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된다. 재치 있는 말로 웃음을 유발하는 유형에는 대부분 펀치라인이 존재하며 이 역시 현실에 미치는 파급력을 기준으로 세부 분류 가능하다.
      본고는 이항복 소화의 유형을 구분할 뿐만 아니라 이들 간의 비대칭적 관계를 고찰하면서 이항복 해학의 특수성에 접근하였다. 골탕 먹이기 유형 가운데에 유머와 풍자는 서로 비대칭적이다. 이항복이 야기하는 웃음은 누군가의 비도덕성을 겨냥하는 풍자적 웃음, 검은 웃음이라기보다는 개성이나 인성을 드러내는 웃음인 경우가 많다. 좀 더 중요한 비대칭적 관계는 1. 골탕 먹이기 유형과 2. 재치 있는 말 유형이 전승되면서 초래하게 된 불균형이다. 본고는 1유형이 2유형보다 보편적으로 전승되는 이유를 각 소화의 조건을 통해 살펴보고, 이러한 위계적 관계가 현재 전승되는 이항복의 소화와 이항복의 인물됨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고구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일반적인 사대부 농담과 웃음의 효과와 비교하면서 이항복 웃음의 성격을 “회색 웃음”으로 특징짓는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이항복이 등장하는 소화를 논의 대상으로, 이들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그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핌으로써 이항복 웃음의 특징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

      본 논문은 이항복이 등장하는 소화를 논의 대상으로, 이들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그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핌으로써 이항복 웃음의 특징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 논문은 여러 문헌 자료집에 흩어져 있는 이항복 소화의 리스트를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형화를 진행하였다. 이항복 소화는 웃음을 야기하는 기제가 행동인가, 말인가에 따라 1. 골탕 먹이기와 2. 재치 있는 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골탕 먹이기 유형은 다시 유발되는 웃음이 공격성이나 의도성을 가지는가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된다. 재치 있는 말로 웃음을 유발하는 유형에는 대부분 펀치라인이 존재하며 이 역시 현실에 미치는 파급력을 기준으로 세부 분류 가능하다.
      본고는 이항복 소화의 유형을 구분할 뿐만 아니라 이들 간의 비대칭적 관계를 고찰하면서 이항복 해학의 특수성에 접근하였다. 골탕 먹이기 유형 가운데에 유머와 풍자는 서로 비대칭적이다. 이항복이 야기하는 웃음은 누군가의 비도덕성을 겨냥하는 풍자적 웃음, 검은 웃음이라기보다는 개성이나 인성을 드러내는 웃음인 경우가 많다. 좀 더 중요한 비대칭적 관계는 1. 골탕 먹이기 유형과 2. 재치 있는 말 유형이 전승되면서 초래하게 된 불균형이다. 본고는 1유형이 2유형보다 보편적으로 전승되는 이유를 각 소화의 조건을 통해 살펴보고, 이러한 위계적 관계가 현재 전승되는 이항복의 소화와 이항복의 인물됨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고구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일반적인 사대부 농담과 웃음의 효과와 비교하면서 이항복 웃음의 성격을 “회색 웃음”으로 특징짓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s the characteristics of Lee Hang-bok`s funny stories by classifying them and studying their relationship. First, I collected and arranged Lee Hang-bok`s funny stories that were scattered in literature material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laughter, act or word, the storie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ractical jokes and humorous remarks. “Practical jokes” are further divided into two, according to the laughter`s intention. One does not have any intention except to cause laughter while the other intends to be highly offensive. “Humorous remarks” have punch-lines and are divided into another specific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effect of laughter.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Lee Hang-bok`s funny stories, this article studies the asymmetric relationships of the different types. In the first classification, humors and satires are asymmetric. The laughter caused by Lee Hang-bok reveals the personality of the victims not immorality. The more important asymmetry is the relationship of “practical jokes” and “humorous remarks”. The first type is more universal than the second. This paper studies the reasons by researching the intellectual conditions of each types. Finally, this paper compares Lee Hang-bok`s laughter with that of other nobles` laughter and calls it “grey laughter”
      번역하기

      This article investigats the characteristics of Lee Hang-bok`s funny stories by classifying them and studying their relationship. First, I collected and arranged Lee Hang-bok`s funny stories that were scattered in literature materials and classified t...

      This article investigats the characteristics of Lee Hang-bok`s funny stories by classifying them and studying their relationship. First, I collected and arranged Lee Hang-bok`s funny stories that were scattered in literature material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laughter, act or word, the storie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ractical jokes and humorous remarks. “Practical jokes” are further divided into two, according to the laughter`s intention. One does not have any intention except to cause laughter while the other intends to be highly offensive. “Humorous remarks” have punch-lines and are divided into another specific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effect of laughter.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Lee Hang-bok`s funny stories, this article studies the asymmetric relationships of the different types. In the first classification, humors and satires are asymmetric. The laughter caused by Lee Hang-bok reveals the personality of the victims not immorality. The more important asymmetry is the relationship of “practical jokes” and “humorous remarks”. The first type is more universal than the second. This paper studies the reasons by researching the intellectual conditions of each types. Finally, this paper compares Lee Hang-bok`s laughter with that of other nobles` laughter and calls it “grey laugh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수, "李恒福 이야기의 전승 동력과 기원 - 諧謔의 코드를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회 (56) : 35-71, 2011

      2 김현룡, "한국문헌설화 1권" 건국대학교출판부 1998

      3 서거정(徐居正), "필원잡기(筆苑雜記)"

      4 이수광, "지봉유설(芝峯類說)"

      5 이강옥, "조선시대 서사 속의 말과 그 문화적 의미" 한국어문학회 (113) : 193-223, 2011

      6 문성대, "이항복의 골계적 기질과 웃음의 이면(裏面) -문학작품과 우스개 이야기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6) : 121-146, 2010

      7 류종영., "웃음의 미학" 유로 2005

      8 이만수, "오성과 한음에 관련된 연구 동향" 대진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3 : 2007

      9 유몽인, "어우야담(於于野談)" 돌베개 2006

      10 남구만, "약천집(藥泉集)"

      1 이승수, "李恒福 이야기의 전승 동력과 기원 - 諧謔의 코드를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회 (56) : 35-71, 2011

      2 김현룡, "한국문헌설화 1권" 건국대학교출판부 1998

      3 서거정(徐居正), "필원잡기(筆苑雜記)"

      4 이수광, "지봉유설(芝峯類說)"

      5 이강옥, "조선시대 서사 속의 말과 그 문화적 의미" 한국어문학회 (113) : 193-223, 2011

      6 문성대, "이항복의 골계적 기질과 웃음의 이면(裏面) -문학작품과 우스개 이야기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6) : 121-146, 2010

      7 류종영., "웃음의 미학" 유로 2005

      8 이만수, "오성과 한음에 관련된 연구 동향" 대진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3 : 2007

      9 유몽인, "어우야담(於于野談)" 돌베개 2006

      10 남구만, "약천집(藥泉集)"

      11 이항복(李恒福), "백사집(白沙集)" 민족문화추진회 1990

      12 홍만종(洪萬鍾), "명엽지해(蓂葉志諧)" 국학자료원 1998

      13 김영준, "리야기책" 어문학사 2013

      14 이원명, "동야휘집"

      15 프로이트,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 열린책들 1997

      16 테드 코언, "농담 따먹기에 대한 철학적 고찰" 이소 2011

      17 김동욱, "국역 기문총화 1~5권" 아세아문화사 1996

      18 이가원, "골계잡록(滑稽雜錄)" 민중서림 1950

      19 정용수, "고금소총․명엽지해" 국학자료원 1998

      20 "계압만록"

      21 이희준(李羲準), "계서야담(溪西野談)" 국학자료원 2003

      22 이병찬, "‘오성과 한음’의 교유(交遊) 연구" 영주어문학회 27 : 63-84, 2014

      23 Bakhtin, Mikhail, "The Dialogic Imaginagion: Four Essays"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4

      24 O'neill, Patrick, "The Comedy of Entrophy-Humour/ Narrative/ Readin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0

      25 Raskin, Victor, "Semantic Mechanisms of Humor" Reidel Publishing Company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1.23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