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문(漢文) 문법(文法) 학습(學習) 실태(實態) 분석(分析)을 통(通)한 수업(授業) 방안(方案) 모색(摸索) =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Grammar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Chinese Study for Lesson Pl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8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문교과가 도구교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한문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 한문 문법 교육이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한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문 문법 학습 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학습자료를 분석하여 그 실태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한문 문법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학습자는 한문 문법과 관련하여 단어와 문장 수준에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문 문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기초적인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한문 독해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어순이나 문장을 구성하는 한자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식자 교육의 강화, 한문 독해에 활용 가능한 의미 중심의 한자 뜻 제시, 언어 학습 경험의 활용, 한문 학습에서 오류 분석의 활성화, 문법 설명 방식의 구체화와 수업 사례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한문교과가 도구교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한문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 한문 문법 교육이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한문교과가 도구교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한문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 한문 문법 교육이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한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문 문법 학습 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학습자료를 분석하여 그 실태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한문 문법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학습자는 한문 문법과 관련하여 단어와 문장 수준에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문 문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기초적인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한문 독해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어순이나 문장을 구성하는 한자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식자 교육의 강화, 한문 독해에 활용 가능한 의미 중심의 한자 뜻 제시, 언어 학습 경험의 활용, 한문 학습에서 오류 분석의 활성화, 문법 설명 방식의 구체화와 수업 사례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the purpose of allowing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subject to become a tool subject,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explore ways to improve learners`` Chinese character comprehension skills.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grammar education is at the center of such circumstance. This paper began from the recognition of such iss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duct survey research on the Chinese character grammar stud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earners and analyze related learning material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s well as search for desirable Chinese character grammar lesson plans. Learn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overall at the vocabulary and sentence level regarding Chinese character grammar. Although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hinese character grammar, they were not being able to utilize it in the Chinese character comprehension due to lack of basic knowledge. It was found that they were particularly having difficulties with Chinese characters word order or composing sentences. Based on analysis results, this paper proposed strengthening of literacy education, present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cused on meanings that can be utilized in Chinese character comprehension, utilization of language study experience, revitalization of error analysis in Chinese character study, specification of grammar explanation method and sharing of lesson cases.
      번역하기

      For the purpose of allowing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subject to become a tool subject,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explore ways to improve learners`` Chinese character comprehension skills.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grammar education is at ...

      For the purpose of allowing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subject to become a tool subject,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explore ways to improve learners`` Chinese character comprehension skills.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grammar education is at the center of such circumstance. This paper began from the recognition of such iss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duct survey research on the Chinese character grammar stud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earners and analyze related learning material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s well as search for desirable Chinese character grammar lesson plans. Learn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overall at the vocabulary and sentence level regarding Chinese character grammar. Although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hinese character grammar, they were not being able to utilize it in the Chinese character comprehension due to lack of basic knowledge. It was found that they were particularly having difficulties with Chinese characters word order or composing sentences. Based on analysis results, this paper proposed strengthening of literacy education, present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cused on meanings that can be utilized in Chinese character comprehension, utilization of language study experience, revitalization of error analysis in Chinese character study, specification of grammar explanation method and sharing of lesson cas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