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내용체계 상의 ``문화`` 영역의 위상이 변화함에 따라, ``문화``와 관련한 평가의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68889
2015
Korean
374
KCI등재
학술저널
131-165(3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내용체계 상의 ``문화`` 영역의 위상이 변화함에 따라, ``문화``와 관련한 평가의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에 ...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내용체계 상의 ``문화`` 영역의 위상이 변화함에 따라, ``문화``와 관련한 평가의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에 대한 평가 방법에 따른 문항의 유형과, ``문화`` 영역의 내용요소와 관련한 문항 사례를 소개하였다. 첫째, 문화 영역에 대한 다양한 지필평가 및 수행평가 문항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지필평가는 크게 선택형과 서답형으로 분류하고, 세부적으로 진위형, 선다형, 결합형, 단답형, 완성형, 논술형 문항 사례를, 수행평가는 서술/논술형, 토론법, 연구보고서법, 포트폴리오법 문항 사례를 제시하였다. 둘째, 문화 영역의 내용요소에 맞추어 학교 현장에서 실제 교사가 제작한 문항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문화 영역의 경우 교육과정에서 내용이 개념적으로 기술되어 있어 이를 구체화하여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평가 문항의 개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문화 영역학습의 중요성을 고려해볼 때 이와 관련한 후속 문항 개발 연구를 기대해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mendment of school curricula, the culture area position has changed in terms of the content system, thereby necessitating the diverse research on culture-related evaluation. With regard to evaluation methods for the upgraded culture area in ...
With the amendment of school curricula, the culture area position has changed in terms of the content system, thereby necessitating the diverse research on culture-related evaluation. With regard to evaluation methods for the upgraded culture area in the 2009 amended school curricula, this paper presented cases of culture-area evaluation question types, and content element questions. First, diverse paper-based evaluation and performance-based evaluation item types were presented. The paper-based evalu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multiple choice type and essay type, and their detailed type cases of the true-false type, multiple choice, combination type, short answer type, completion type, and essay type were presented. For the performance-based evaluation type, cases of statement/essay type, discussion method, research report method, and portfolio method questions were presented. Second, according to the content elements in the culture area, cases of actual questions made by school teachers were presented. The curricula describe the culture area conceptually, limit the possibility of embodying and developing its evaluation questions. Also, there is a need to continue to develop and research on evaluation question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n the culture area,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this regard.
참고문헌 (Reference)
1 許連球, "한문과 영역별 평가 문항 유형의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2010
2 裵熹婷, "한문과 ‘문화’ 영역 교육 현황과 방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15
3 송병렬, "漢文科 評價의 方向과 實際를 위한 前提"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21, 2011
4 김경익, "漢文科 評價 硏究의 成果와 展望"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85-120, 2011
5 한예원, "‘한자문화’의 지식형성과 지식실천 : 전통의 이해와 계승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657-685, 2012
6 이경우, "2009 개정교육과정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에 따른 한문Ⅰ예시 평가도구 분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15-440, 2012
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2012
8 고미경, "2009 改定 敎育科程 '文化' 領域의 適用 事例 硏究 : 高等學校 『漢文Ⅰ』 敎科書를 中心으로"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2014
9 교육과학기술부, "(고시제2011-361호)한문과 교육과정"
1 許連球, "한문과 영역별 평가 문항 유형의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2010
2 裵熹婷, "한문과 ‘문화’ 영역 교육 현황과 방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15
3 송병렬, "漢文科 評價의 方向과 實際를 위한 前提"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21, 2011
4 김경익, "漢文科 評價 硏究의 成果와 展望"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85-120, 2011
5 한예원, "‘한자문화’의 지식형성과 지식실천 : 전통의 이해와 계승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657-685, 2012
6 이경우, "2009 개정교육과정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에 따른 한문Ⅰ예시 평가도구 분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15-440, 2012
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2012
8 고미경, "2009 改定 敎育科程 '文化' 領域의 適用 事例 硏究 : 高等學校 『漢文Ⅰ』 敎科書를 中心으로"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2014
9 교육과학기술부, "(고시제2011-361호)한문과 교육과정"
한문(漢文) 문법(文法) 학습(學習) 실태(實態) 분석(分析)을 통(通)한 수업(授業) 방안(方案) 모색(摸索)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8-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 | 0.534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