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근 입주된 수도권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본 규모별 실 구성 요구 분석 = A Study on Space Requirement and Planning for Various Size of Apartments, Recently Built in Metropolita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0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optimum guidelines apartment rooms by conducing survey among residence whose apartment floor size is between $66-198m^2$ and whose apartment is less than 3 years old. The effective numbers of survey questionnaire turned in was 226 and the survey analysis has been made by using of SPSS WIN 12.0.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1) $66{\sim}98m^2$ :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2 and 3. The size of maser bedroom needs to be decreased whereas the size of living room be increased. (2) $99-131m^2$: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 and 4. The size of maser bedroom and maser bathroom needs to be decreased whereas the size of living room, 2nd bedroom, kitchen and dining room needs to be increased. (3) $132-164m^2$: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 and 4. The size of maser bedroom and bathroom needs to be decreased whereas the size of dress room, kitchen and dining room, and 2nd bedroom needs to be increased. (4) $165-197m^2$: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 and 4. The size of maser bedroom and maser bathroom needs to be decreased and the size of dressroom and kitchen /dinning room needs to be increased. (5) $198m^2$ and above: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4 and 5. The size of dressroom needs to be increased. It 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bedroom doesn't need to be increased as the size of apartment is increased. Larger space is required for the public space for the family and dressroom. And smaller space is required for the maser bedroom and master bathroo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optimum guidelines apartment rooms by conducing survey among residence whose apartment floor size is between $66-198m^2$ and whose apartment is less than 3 years old. The effective numbers of survey questionna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optimum guidelines apartment rooms by conducing survey among residence whose apartment floor size is between $66-198m^2$ and whose apartment is less than 3 years old. The effective numbers of survey questionnaire turned in was 226 and the survey analysis has been made by using of SPSS WIN 12.0.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1) $66{\sim}98m^2$ :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2 and 3. The size of maser bedroom needs to be decreased whereas the size of living room be increased. (2) $99-131m^2$: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 and 4. The size of maser bedroom and maser bathroom needs to be decreased whereas the size of living room, 2nd bedroom, kitchen and dining room needs to be increased. (3) $132-164m^2$: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 and 4. The size of maser bedroom and bathroom needs to be decreased whereas the size of dress room, kitchen and dining room, and 2nd bedroom needs to be increased. (4) $165-197m^2$: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 and 4. The size of maser bedroom and maser bathroom needs to be decreased and the size of dressroom and kitchen /dinning room needs to be increased. (5) $198m^2$ and above: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4 and 5. The size of dressroom needs to be increased. It 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bedroom doesn't need to be increased as the size of apartment is increased. Larger space is required for the public space for the family and dressroom. And smaller space is required for the maser bedroom and master bathroo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숙, "한국 3침실형 아파트의 가구보유 패턴" 11 : 92-99, 2001

      2 박혜선, "중소형 아파타의 거주 후 평가에 관한 연구-인천지역 T건설업체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14 (14): 121-130, 2003

      3 오혜경, "주택의 아동실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10 (10): 91-99, 1994

      4 최윤정, "자녀양육기 맞벌이가구를 위한 아파트 단위명면 계획연구" 한국주거학회 14 (14): 23-32, 2003

      5 박인석, "안방 후면배치 아파트평면의 거주자 반응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39-50, 2002

      6 박수빈, "아파트 평면유형에 따른 부부 전용공간 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11-14, 2005

      7 박수빈, "아파트 평면유형 및 가구특성에 따른 공간사용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871-96, 2003

      8 강형구, "아파트 안방의 가구와 주생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6 (16): 1-8, 2005

      9 주서령, "아파트 부부 전용공간의 유형과 규모에 관한 연구" 10 (10): 92-100, 1999

      10 조성희, "아파트 단위평면계획의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 16 (16): 11-20, 2000

      1 이연숙, "한국 3침실형 아파트의 가구보유 패턴" 11 : 92-99, 2001

      2 박혜선, "중소형 아파타의 거주 후 평가에 관한 연구-인천지역 T건설업체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14 (14): 121-130, 2003

      3 오혜경, "주택의 아동실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10 (10): 91-99, 1994

      4 최윤정, "자녀양육기 맞벌이가구를 위한 아파트 단위명면 계획연구" 한국주거학회 14 (14): 23-32, 2003

      5 박인석, "안방 후면배치 아파트평면의 거주자 반응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39-50, 2002

      6 박수빈, "아파트 평면유형에 따른 부부 전용공간 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11-14, 2005

      7 박수빈, "아파트 평면유형 및 가구특성에 따른 공간사용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871-96, 2003

      8 강형구, "아파트 안방의 가구와 주생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6 (16): 1-8, 2005

      9 주서령, "아파트 부부 전용공간의 유형과 규모에 관한 연구" 10 (10): 92-100, 1999

      10 조성희, "아파트 단위평면계획의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 16 (16): 11-20, 2000

      11 조성희, "아파트 단위평면계획을 위한 주요구 모델에 관한 연구" 17 (17): 109-119, 2001

      12 양세화, "아파트 공간규모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7 (17): 93-100, 2006

      13 김수진, "아파트 거주자의 주생활양식에 따른 단위평면 계획에 관한 연구" 22 : 102-109, 2004

      14 이종근, "아파트 거주자의 공간 요구도 분석에 의한 단위 평면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수도권 사례의 거주 후평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2

      15 이복희, "아파트 거주자들의 안방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10 (10): 185-193, 1999

      16 김석태, "아파트 居住者의 平面類型別 平面構成에 대한 要求 - 부산 海雲臺 신시가지 아파트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0 (20): 21-31, 2004

      17 황연숙, "아동실의 실내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11 : 64-69, 1997

      18 김석경, "맞벌이 가족의 주생활 특성 및 주요구에 관한 연구 - 막내자녀 연령별 특성분석 -" 대한건축학회 21 (21): 3-12, 2005

      19 김세진, "도시 생활 실태를 반영한 아파트 주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23 (23): 59-62, 2003

      20 박소윤, "공동주택의 드레스룸 공간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44-47, 2005

      21 이경아, "공동주택 단위평면의 실별 면적 분석" 2005

      22 김상희, "경남지역의 전면 3칸형 아파트의 공간이용행태 및 거주후 평가에 관한 연구-전용면적 85㎡를 전후하여-" 한국주거학회 13 (13): 1-10, 2002

      23 최정원, "거주자 평가(POE)를 통한 아파트 주호 실내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5 (15): 159-171,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7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