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통하는 글쓰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4976916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구한의대학교 출판부, 2017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02 판사항(6)

      • DDC

        808 판사항(23)

      • ISBN

        9791186788080 03320: ₩14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서명/저자사항

        소통하는 글쓰기 / 강민희, 김권동 共著

      • 형태사항

        243 p. ; 27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 연습문제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한의대학교 향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배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말하기와 글쓰기 = 1
      • 1. 말과 글의 존재방식 = 3
      • 2. (입)말과 글(말)의 특성 = 9
      • 3. 화자(필자)의 의도와 청자(독자)의 수용 = 14
      • 목차
      • 제1장 말하기와 글쓰기 = 1
      • 1. 말과 글의 존재방식 = 3
      • 2. (입)말과 글(말)의 특성 = 9
      • 3. 화자(필자)의 의도와 청자(독자)의 수용 = 14
      • 제2장 우리글(말) 바로쓰기 = 21
      • 1. 한글의 의의와 원리 = 23
      • 2. 단어의 표기와 선택 = 28
      • 2.1. 한글맞춤법 = 29
      • 2.2. 띄어쓰기 = 32
      • 2.3. 왜래어 표기법 = 37
      • 3. 우리 문장 바로쓰기 = 39
      • 3.1. 문장 성분 갖추기 = 39
      • 3.2. 우리말 문장으로 다듬기 = 41
      • 제3장 글쓰기의 과정 = 45
      • 1. 구상 = 47
      • 1.1. 글감 수집 = 47
      • 1.2. 주제와 제목 정하기 = 50
      • 1.3. 자료 수집과 정리 = 54
      • 1.4. 개요의 작성 = 56
      • 1.5. 구상하기 = 59
      • 2. 글쓰기 = 64
      • 2.1. 단락 쓰기와 나누기 = 64
      • 2.2. 서론(처음) 쓰기 = 66
      • 2.3. 본론(가운데) 쓰기 = 70
      • 2.4. 결론(마무리) 쓰기 = 72
      • 3. 퇴고 = 75
      • 3.1. 퇴고의 방법 = 75
      • 제4장 글의 유형에 따른 다양한 서술방법 = 81
      • 1. 서사 = 83
      • 1.1. 자기 체험 쓰기 = 85
      • 1.2. 성찰을 통한 치유적 글쓰기 = 88
      • 2. 묘사 = 90
      • 2.1. 객관적 묘사 = 91
      • 2.2. 주관적 묘사 = 93
      • 3. 설명 = 95
      • 3.1. 지정과 정의 = 96
      • 3.2. 비교와 대조 = 97
      • 3.3. 분류와 구분 = 99
      • 3.4. 예시 = 99
      • 3.5. 인용 = 100
      • 3.6. 분석 = 101
      • 4. 논증 = 102
      • 4.1. 논증의 형식과 구조 = 102
      • 4.2. 효과적인 논증을 위한 방법 = 107
      • 4.3. 시사평론 및 칼럼 쓰기 = 113
      • 제5장 토(의)론의 개념과 실제 = 123
      • 1. 토의와 토론 = 125
      • 2. 토론의 원리와 전략 = 129
      • 2.1. 논제 설정 = 130
      • 2.2. 논제 분석 = 132
      • 2.3. 논거 수집과 정리 = 133
      • 2.4. 토론 개요서 작성 = 134
      • 2.5. 토론의 실제 = 134
      • 2.6. 토론 윤리 = 135
      • 2.7. 토론의 평가 = 135
      • 3. 토론의 종류와 실제구상 단계 = 138
      • 3.1. 칼 포퍼식 토론 = 138
      • 3.2. CEDA(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방식 = 145
      • 3.3. 자유토론 = 150
      • 제6장 다양한 유형의 글쓰기 = 155
      • 1. 대학생활과 글쓰기 = 157
      • 1.1. 보고서 = 157
      • 1.2. 학술에세이 = 161
      • 1.3. 논문 = 170
      • 2. 비평적인 글쓰기 = 180
      • 2.1. 서평 쓰기 = 180
      • 2.2. 감상문 쓰기 = 183
      • 3.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 188
      • 3.1. 이력서 쓰기 = 188
      • 3.2. 자기소개서 쓰기 = 193
      • 3.3. 자기소개서 체크리스트 = 199
      • 부록 : 연습문제 = 2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