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네틀 추출물의 항균성 및 두피 개선효과 = Effect of Nettle Extract on Antibacterial Property and Scalp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670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six microorganisms of human skin pathogens such as S. aureus, E. coli, P. acnes, B. sutilis, P. aeruginosa, P. ovale was analyzed by using nettle ethanol extract. In addition, by producing a toner that contains 5% nettle ethanol extract and applying it two times daily in the morning and the evening to the parts appeared on 74 targeted people where those symptoms of infection, itching and dandruff were observed, The improvement effect on scalp has been analyzed through survey and studies have been proceeded about its improvement effect on scalp. From the result of analysis through nettle ethanol extract, the antibacterial activity has been observed for skin pathogens of P. acne, B. subtilis, P. aeruginosa that exist on the skin. Through the comparison of before & after the use of nettle extract toner according to the symptom of scalp, the scalp infection greatly has shown both positive reaction and negative reaction(p<.05). It has shown a high satisfaction in the dandruff symptom(p<.05), and it has not shown a large change in itching.
      번역하기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six microorganisms of human skin pathogens such as S. aureus, E. coli, P. acnes, B. sutilis, P. aeruginosa, P. ovale was analyzed by using nettle ethanol extract. In addition, by producing a toner that contains 5% nettle ...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six microorganisms of human skin pathogens such as S. aureus, E. coli, P. acnes, B. sutilis, P. aeruginosa, P. ovale was analyzed by using nettle ethanol extract. In addition, by producing a toner that contains 5% nettle ethanol extract and applying it two times daily in the morning and the evening to the parts appeared on 74 targeted people where those symptoms of infection, itching and dandruff were observed, The improvement effect on scalp has been analyzed through survey and studies have been proceeded about its improvement effect on scalp. From the result of analysis through nettle ethanol extract, the antibacterial activity has been observed for skin pathogens of P. acne, B. subtilis, P. aeruginosa that exist on the skin. Through the comparison of before & after the use of nettle extract toner according to the symptom of scalp, the scalp infection greatly has shown both positive reaction and negative reaction(p<.05). It has shown a high satisfaction in the dandruff symptom(p<.05), and it has not shown a large change in itch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다애, "화장품에 이용되는 생약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항산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2 박지은, "지표수에서의 분변오염지표세균 (대장균군) 검출방법의 비교연구" 한국물환경학회 22 (22): 1052-1059, 2006

      3 박인혜, "아연피리치온의 가용화 및 항비듬 샴푸로의 응용"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4 박은하, "아로마 오일의 항비듬효과"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5

      5 장소영, "식물 추출물의 Pityrosporum ovale 및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 한국생약학회 34 (34): 303-307, 2003

      6 이인화, "비듬유발균 (Pityrosporum ovale) 에 대한 은행잎으로부터 추출한 Ginkgolide 및 Bilobalide의 항진균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5 (25): 173-178, 2010

      7 후나세 스제, "맨 얼굴 미인" 좋은 출판사 285-, 2004

      8 김현숙, "마누카 오일의 향균활성과 여드름 개선 효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9 장지연, "대학생들의 두피⋅모발관리 인식과 탈모자각증상에 따른 상관관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485-497, 2013

      10 임종필, "담죽엽, 패장, 구채 및 박하 추출 혼합물의 두풍백설 치료효과" 한의병리학회 23 (23): 1125-1131, 2009

      1 김다애, "화장품에 이용되는 생약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항산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2 박지은, "지표수에서의 분변오염지표세균 (대장균군) 검출방법의 비교연구" 한국물환경학회 22 (22): 1052-1059, 2006

      3 박인혜, "아연피리치온의 가용화 및 항비듬 샴푸로의 응용"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4 박은하, "아로마 오일의 항비듬효과"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5

      5 장소영, "식물 추출물의 Pityrosporum ovale 및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 한국생약학회 34 (34): 303-307, 2003

      6 이인화, "비듬유발균 (Pityrosporum ovale) 에 대한 은행잎으로부터 추출한 Ginkgolide 및 Bilobalide의 항진균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5 (25): 173-178, 2010

      7 후나세 스제, "맨 얼굴 미인" 좋은 출판사 285-, 2004

      8 김현숙, "마누카 오일의 향균활성과 여드름 개선 효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9 장지연, "대학생들의 두피⋅모발관리 인식과 탈모자각증상에 따른 상관관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485-497, 2013

      10 임종필, "담죽엽, 패장, 구채 및 박하 추출 혼합물의 두풍백설 치료효과" 한의병리학회 23 (23): 1125-1131, 2009

      11 Kim J., "Review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in acne vulgaris : activation of Toll-like receptor 2 in acne triggers inflammatory cytokine responses" 211 (211): 193-198, 2004

      12 Holland C, "Proteomic identification of secreted proteins of Propionibacterium acnes" 10 (10): 230-, 2010

      13 Ryoo, J.W,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some herb plants" 6 : 28-32, 1998

      14 Bently R., "Biosynthesis of vitamin K (menaquinone) in bacteria" 46 (46): 241-280, 1982

      15 Dreter, J., "Bast and other plant fibers" 331-342, 2008

      16 Singleton P., "Bacteria in Biology, biotechnology and Medicine" Wiley 444-454, 1999

      17 Seung-Shi Ham,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edible Korean wild herbs" 2 : 155-161, 1997

      18 Brown SK, "Acne vulgaris" 351 : 1871-1876, 1998

      19 Zouboulis CC., "Acne and sebaceous gland function" 22 (22): 360-366, 2004

      20 유민정, "6종의 약용식물 추출물의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대한 증식억제 및 항산화 효과" 한국미용학회 16 (16): 120-12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3-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nal of Korean Beauty Society ->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7 0.63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