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경제 이해력 수준을 측정하고 국가 간에 비교하는 일은 경제교육 분야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때 대부분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미국 CE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8269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생들의 경제 이해력 수준을 측정하고 국가 간에 비교하는 일은 경제교육 분야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때 대부분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미국 CEE...
학생들의 경제 이해력 수준을 측정하고 국가 간에 비교하는 일은 경제교육 분야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때 대부분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미국 CEE가 개발한 경제 이해력 검사 도구를 자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번역한 검사 도구가 원래의 검사 도구와 얼마나 동질적인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번역의 결과가 학생들의 답지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 도구를 다양한 형태로 번역한 후, 이 다양한 버전을 동질 집단의 학생들에게 적용함으로써 번역 편향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그 원천과 원천별 영향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미국이 개발한 검사 도구 BET를 이용한다.
이 연구가 범주화하고 있는 번역 편향의 원천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국 언어의 문장 구조의 차이이다. 영어 문장에 충실하게 번역하거나 지나치게 직역할 경우 우리나라 학생들이 문장을 이해하는 데 지장을 줄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우리나라 학생들의 문장 이해력 향상에 방점을 둘 경우 문항이 지나치게 쉬워질 가능성이 있다. 둘째, 경제 용어의 선택이다. 예를 들어 ‘trade'를 무역, 거래, 교환, 교역, 통상 등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어떤 경제 용어를 선택하는지에 따라서 학생들의 답지 선택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셋째, 문화적 차이의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미국 BET에는 ’hotdog'의 보완재와 대체재를 알아야 답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데, 우리나라 학생들은 핫도그를 전혀 다른 음식으로 받아들이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hotdog'를 직역하면 우리 학생들에게 과도하게 불리한 문항으로 작용한다. 이 경우 ‘hotdog'를 어떤 음식으로 대체하여 번역하는지에 따라 학생들의 정답률과 답지 선택이 얼마나 달라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이들 요인 외에도 각국 통화 단위의 차이로 인한 문제 등 여러 가지 번역 편향의 원천에 따라 학생들의 시험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 및 추정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실제로 상당한 번역 편향이 존재함을 발견하고, 그 크기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이 연구는 경제 이해력의 국제 비교 분야에서 지금까지의 발견을 재해석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유사 연구에서 번역 편향 문제를 고려해야만 국제 비교를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