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정외보호를 경험한 학대피해아동의 권리에 관한 질적연구 = Qualitative study on the realization of child rights for maltreated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67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ho have been substantiated as victims of child maltreatment abuse withi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and to examine how the rights of children are being properly observ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ho have been substantiated as victims of child maltreatment abuse withi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and to examine how the rights of children are being properly observed.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9 children and adults who had experience of the out-of-home placement of the child protection system due to child maltreatment.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alytic methods.
      Results: Eleven themes corresponding to five categories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were derived from the analytic results of th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garding how the rights of abused children are properly observed withi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sufficient supports for food, clothing, shelter, and education were provided. However, children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concerns during the decisionn making processes withi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Second, the children experienced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or violence exposure among peers in out-of-home placements. Third, the children did not receive adequate support services for family reunification or independent living before aging out of the system. Forth, due to the rules of foster care, the freedom to contact family members and friends outside the system and the freedom to choose their leisure activities were limited.
      Conclusions: Analytic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s rights were not properly observed i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hild protection system should consider childrens’ intentions and thoughts dur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Implications of study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를 받은 학대피해아동이 겪었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분리보호의 과정에서 아동의 권리가 어떻게 준수되고 있는지 피해아동의 목소리를 통해 살펴보...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를 받은 학대피해아동이 겪었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분리보호의 과정에서 아동의 권리가 어떻게 준수되고 있는지 피해아동의 목소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아동학대로 인해 가정외보호를 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 및 성인 19명을 대상으로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주제를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제시한 아동권리 영역으로 분류한 후, 아동권리의 보장 정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면담분석결과 가정외보호를 받은 학대 피해아동의 경험에서 도출한 11개의 주제는유엔아동권리협약의 5개 영역에 해당되었다.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참여자들은 의식주와 교육에 대한 충분한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초보건복지와 교육에 대한 권리는 적절히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보호체계 전반에 걸쳐 아동의 의사가 적절히 반영되지 않았고 가정 복귀 후 재학대를 당하거나 시설 내 또래간의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생활에서의 규율로 인해 외부와의 연락이나 여가생활에서의 자유가 제한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하고 있는 아동에 대한 폭력 및 가정환경 및 대안양육, 시민적 권리와 자유, 여가 및 문화영역에서의 권리가 적절히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가정외보호를 받은 학대피해아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보호체계 내의 분리보호과정에서의 권리 준수 정도를 살펴본 결과 아동권리의 사각지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동학대라는 심각한 권리침해를 경험한 피해아동이 보호체계에서 또 다른 권리침해를 경험하는 이중적 침해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아동의 의사를 반영하는 보호체계의 운영방안 마련이 시급하며, 주요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결론에서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연수, "학대피해아동쉼터에서 생활하는 아동의 양가성 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1 (11): 63-85, 2017

      2 최은희, "학대받은 아동의 쉼터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9) : 37-74, 2005

      3 대한민국정부, "제5・6차 유엔아동권리협약 국가보고서" 대한민국정부 2017

      4 보건복지부, "유엔아동권리협약 제3․4차 국가 보고서및 권고사항 자료집"

      5 김영지,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방안 연구: 유엔아동권리위원회 권고사항 이행과제 개발 기초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6 김수정, "아동학대가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지속 효과와 최신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43) : 1-28, 2013

      7 이봉주, "아동학대가 아동·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163-195, 2014

      8 류정희, "아동학대 현황과 아동 권리 보장을 위한 아동보호체계 개선 방향" 5-23, 2017

      9 조범근, "아동학대 보호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269-298, 2017

      10 김광혁,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24 (24): 27-45, 2009

      1 김연수, "학대피해아동쉼터에서 생활하는 아동의 양가성 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1 (11): 63-85, 2017

      2 최은희, "학대받은 아동의 쉼터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9) : 37-74, 2005

      3 대한민국정부, "제5・6차 유엔아동권리협약 국가보고서" 대한민국정부 2017

      4 보건복지부, "유엔아동권리협약 제3․4차 국가 보고서및 권고사항 자료집"

      5 김영지,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방안 연구: 유엔아동권리위원회 권고사항 이행과제 개발 기초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6 김수정, "아동학대가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지속 효과와 최신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43) : 1-28, 2013

      7 이봉주, "아동학대가 아동·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163-195, 2014

      8 류정희, "아동학대 현황과 아동 권리 보장을 위한 아동보호체계 개선 방향" 5-23, 2017

      9 조범근, "아동학대 보호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269-298, 2017

      10 김광혁,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24 (24): 27-45, 2009

      11 황수연,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한 30대 성인들의 시설생활 경험 연구- Giorgi 현상학적 연구 접근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7-35, 2018

      12 황수연, "아동양육시설 퇴소성인들의 가족생활 어려움과 극복 경험 연구-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연구 접근-"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33-61, 2018

      13 이화명, "아동양육시설 청소년기 입소자의 시설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19-447, 2015

      14 강지영, "신체정서중복학대의 예측변인과 피해아동에 미치는 영향: 신체단일학대 및 정서단일학대와의 비교" 한국아동복지학회 (63) : 1-22, 2018

      15 정선욱, "시설보호 청소년이 경험하는 시설 생활의 의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93-219, 2009

      16 구차순, "시설보호 아동의 원가족 분리 대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1) : 31-60, 2011

      17 윤수경, "국제아동인권센터홈페이지연람"

      18 윤수경,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연람"

      19 김수정,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 한국아동복지학회 (58) : 1-45, 2017

      20 Svevo-Cianci, K. A., "Protecting children from violence and maltreatment : A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assessing the implementation of UN CRC Article 19" 34 (34): 45-56, 2010

      21 UN Committee Against Torture : CAT, "Guidelines on the Form and Content of Initial Reports under Article 19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22 Bruns, E. J., "Effects of a multidisciplinary family treatment drug court on child and family outcomes : Results of a quasi-experimental study" 17 (17): 218-230, 2012

      23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July. 20, 2009, General Comment No. 12"

      24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25 보건복지부, "2017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6 1.5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