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서 과목의 구조 = Structures of Reading co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42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can divide structures of `Reading` course to three parts: relation, contents and performance structure. Relation structure is concern to relations with other courses and specificity. The `reading` course is not the synthesized-or-repeated deepening...

      We can divide structures of `Reading` course to three parts: relation, contents and performance structure. Relation structure is concern to relations with other courses and specificity. The `reading` course is not the synthesized-or-repeated deepening but transition course of `reading` area in basic-common curriculum. Contents structure is concern to goals and contents of `reading` course. We can see the specific shape of `reading` course through contents structure. Knowledge and skill are not goals because they are contents. The goals of `reading` course should be `good reading`, `happy reading`, and `learning by reading`. The contents of `reading` course should be consist of knowledges for understanding reading phenomena, skills for growth and problem-solving and cooperative reading and independent reading, experience for meaning and activity and emotion. Performance structure is concern to unfolding methods in order to realize educational intent. we can see the specific modes of educational activities. Performance structure is consist of contents, materials, teachers and students. These three structures of `reading` course should have inner-rationality and outer-co-relationshi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철우, "학교 독서 지도의 방향과 과제" 한국독서학회 (14) : 9-34, 2005

      2 최지현, "제7차 교육과정 국어과 ‘독서’ 교과서의 편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독서학회 8 : 139-174, 2003

      3 김봉순, "읽기 교육을 위한 연구 과제" 한국어교육학회 (123) : 1-30, 2007

      4 김명순, "인성 발달을 돕는 독서 지도 방안" 한국독서학회 7 : 169-202, 2002

      5 한철우, "미시적 독서 지도의 한계와 극복" 국어교과교육학회 5 : 1-24, 2003

      6 Gilbert R., "마음의 개념" 문예출판사 1994

      7 박영목, "독서 교육 연구에 있어서의 사회·문화적 접근" 한국독서학회 7 : 1-18, 2002

      8 김대행, "내용론을 위하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0 : 7-37, 2002

      9 송현정, "국어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6

      10 박영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읽기의 본질과 두 가지 이론" 한국독서학회 10 : 123-142, 2003

      1 한철우, "학교 독서 지도의 방향과 과제" 한국독서학회 (14) : 9-34, 2005

      2 최지현, "제7차 교육과정 국어과 ‘독서’ 교과서의 편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독서학회 8 : 139-174, 2003

      3 김봉순, "읽기 교육을 위한 연구 과제" 한국어교육학회 (123) : 1-30, 2007

      4 김명순, "인성 발달을 돕는 독서 지도 방안" 한국독서학회 7 : 169-202, 2002

      5 한철우, "미시적 독서 지도의 한계와 극복" 국어교과교육학회 5 : 1-24, 2003

      6 Gilbert R., "마음의 개념" 문예출판사 1994

      7 박영목, "독서 교육 연구에 있어서의 사회·문화적 접근" 한국독서학회 7 : 1-18, 2002

      8 김대행, "내용론을 위하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0 : 7-37, 2002

      9 송현정, "국어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6

      10 박영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읽기의 본질과 두 가지 이론" 한국독서학회 10 : 123-142, 2003

      11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박이정 2002

      12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2007

      13 이성영, "구성주의 읽기 평가의 내용과 방법" 한국독서학회 (18) : 127-155, 2007

      14 박수자, "교과 독서의 본질과 과제" 한국독서학회 (14) : 35-54, 2005

      15 이경화, "교과 독서와 세상 읽기" 박이정 2007

      16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2 국어" 신생인쇄조합 2008

      17 Mathewson, G. C, "Models of attitude influence upon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in: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5th),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431-1461, 2004

      18 이성영, "2007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문제점"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 (1): 103-12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6 1.335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