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랫드를 이용한 여주 추출물의 안전성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31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항당뇨에 유효성이 있는 천연물질인 여주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주에 포함된 독성물질인 vicine의 분석과 경구투여에 따른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과 1...

      본 연구에서는 항당뇨에 유효성이 있는 천연물질인 여주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주에 포함된 독성물질인 vicine의 분석과 경구투여에 따른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과 13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을 진행하였다. 본 시료는 여주 미숙과 열매추출물로 vicine의 분석 결과 존재하지 않거나 극미량일 것으로 판단된다.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과 시험물질에 의한 이상증상과 사망동물은 발생하지 않아 여주 추출물의 ALD는 암수 모두 5,000 mg/kg/d 이상으로 판단된다. 13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의 투여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0, 1,250, 2,500 및 5,000 mg/kg/d의 투여용량으로 2주 반복투여 용량결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모든 시험군에서 시험물질에 의한 이상증상 및 독성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동일한 용량으로 13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 변화, 사료섭취량, 안검사, 요검사, 혈액학적 검사, 혈액응고시간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부검소견, 장기중량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관찰한 결과, 시험물질에 의한 전신적인 독성학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여주 추출물의 NOAEL은 5,000 mg/kg/d로 판단되었고, 표적장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여주 추출물은 투여 가능한 최대 용량에서도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안전한 천연물로 확인하였고, 본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ADI는 3,000 mg/man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repeated dose oral toxicity upon administration of the test substance 1,2-benzisothiazolin-3-one for 90 days and to determine 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and target organs in Sprague-Dawley rats. Sing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repeated dose oral toxicity upon administration of the test substance 1,2-benzisothiazolin-3-one for 90 days and to determine 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and target organs in Sprague-Dawley rats. Single, 2-week repeated, and 13-week repeated oral dose toxicity studies were conducted in Sprague-Dawley rats. The dose levels of groups were 1,250, 2,500, and 5,000 mg/kg/d. All dose groups were compared with the vehicle control group. The animals were observed for clinical signs and weekly body weight. Urinalysis, hematology, and serum biochemistry analyses were conducted. Subsequently, animals were sacrificed and subjected to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For the result, NOAEL of ethanol extract from unripe fruit of bitter melon had an optimal dose of 5,000 mg/kg/d and acceptable daily intake up to 3,000 mg/man. There was no target organ detected. Therefore, bitter melon, which contains a variety of bioactive substances, could be widely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ingredi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형윤, "원지 추출물의 랫드에서 2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평가" 한국생약학회 46 (46): 44-51, 2015

      2 이희주, "여주의 유전자원별 과실특성과 Charantin 성분 함량"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1 (21): 379-384, 2012

      3 육흥주, "여주씨에서 분리한 Vicine과 α-Eleostearic Acid의 α-glucosidase 저해효과" 한국환경농학회 34 (34): 57-63, 2015

      4 Dutta PK, "Vicine, a favism-inducing toxin from Momordica charantia Linn. seeds" 20 : 669-671, 1981

      5 Choo SG, "Urinalysis" Korea Medical Book 41-, 2001

      6 Raintree Nutrition, "Tropical Plant Database. Database File for: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7 Sahota PS, "Toxicologic pathology: nonclinical safety assessment" CRC Press 665,941-, 2013

      8 Lewis RW, "Recognition of adverse and nonadverse effects in toxicity studies" 30 : 66-74, 2002

      9 Boorman GA, "Pathology of the fischer rat; reference and atlas" Academic Press Inc. 99,464-465,523, 1990

      10 Kim HJ, "Non-clinical historical data (KCL, 2011∼2015)"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2-12, 2016

      1 한형윤, "원지 추출물의 랫드에서 2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평가" 한국생약학회 46 (46): 44-51, 2015

      2 이희주, "여주의 유전자원별 과실특성과 Charantin 성분 함량"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1 (21): 379-384, 2012

      3 육흥주, "여주씨에서 분리한 Vicine과 α-Eleostearic Acid의 α-glucosidase 저해효과" 한국환경농학회 34 (34): 57-63, 2015

      4 Dutta PK, "Vicine, a favism-inducing toxin from Momordica charantia Linn. seeds" 20 : 669-671, 1981

      5 Choo SG, "Urinalysis" Korea Medical Book 41-, 2001

      6 Raintree Nutrition, "Tropical Plant Database. Database File for: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7 Sahota PS, "Toxicologic pathology: nonclinical safety assessment" CRC Press 665,941-, 2013

      8 Lewis RW, "Recognition of adverse and nonadverse effects in toxicity studies" 30 : 66-74, 2002

      9 Boorman GA, "Pathology of the fischer rat; reference and atlas" Academic Press Inc. 99,464-465,523, 1990

      10 Kim HJ, "Non-clinical historical data (KCL, 2011∼2015)"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2-12, 2016

      11 Moon HP,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Ⅵ-1)" Bureau of Health Policy i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54-55, 2014

      12 Akhtar MS, "Effect of Momordica charantia on blood glucose level of normal and alloxan-diabetic rabbits" 42 : 205-212, 1981

      13 Latimer KS, "Duncan & Prasse’s veterinary laboratory medicine: Clinical pathology" John Wiley &Sons 26-42, 2011

      14 Lin JT,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for ethanolic extracts from Pleurotus eryngii fruiting bodies harvested at different time" 55 : 374-382, 2014

      15 Klaassen CD, "Casarett & Doull’s essentials of toxicology" McGraw-Hill Education 1313-1317, 2010

      16 Chiu T, "Auricular chondropathy in aging rats" 21 : 500-504, 1983

      17 Joseph B, "Antidiabetic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bitter melon)and its medicinal potency" 3 : 93-102, 2013

      18 Leung L, "Anti-diabetic and hypoglycaemic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bitter melon) : a mini review" 102 : 1703-1708, 2009

      19 Zhang HX, "Analysis of vicine in bitter melon wit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36 : 1597-1605,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