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 Study on Public Deliberation Process Design in Local Community -A Focus on the Gwangju Metro Line 2 Public Deliberation C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asic components of a public deliberation include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but it may proce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fli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ocal community public deliberation process t...

      The basic components of a public deliberation include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but it may proce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fli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ocal community public deliberation process that befits the nature of the public conflict.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has constructed an analytical tool across the entire public deliberation process and used this tool to analytically reassess the Gwangju Metro Line 2 public deliberation case.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this study has discovered that the prior consensus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 public deliberation agenda, devotion of the Public Deliberation Preparation Committee comprised of an equal number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members, formation of a neutral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usage of a civic participatory poll that was recently familiar to the Korean society, and securing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civic participation group and its deliberation were the key factors that made the Gwangju Metro Line 2 public deliberation case a success. However, there were also areas of improvement, especially regarding the confusion due to the doubl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need to improve the roles of the stakeholders, securement of fairness across the public deliberation process, and issue of the legitimacy of decision making meth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복경, "한국정치는 ‘숙의형 조사’를 어떻게 변형시켰나: ‘신고리 5․6호기’, ‘대통령 개헌안’, ‘대입제도개편안’ 사례를 중심으로" 참여연대 (33) : 1-44, 2018

      2 정규호, "정책갈등의 참여적 해결을 위한 합의형성적 접근의 의미와 과제: 한탄강댐 건설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6 (16): 91-118, 2007

      3 조희정, "시민참여제와 민주주의: 합의회의와 공론화위원회를 중심으로" 참여연대 (32) : 67-99, 2018

      4 홍성만, "숙의거버넌스와 합의형성 제도설계: 시화지역 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7 (47): 21-46, 2009

      5 김학린, "국책사업갈등에 있어 시민참여형 갈등해결프로세스 설계에 관한탐색적 연구 - 신고리5⋅6호기공론화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4 (14): 81-100, 2018

      6 고경민, "국책사업 갈등에서 지방정부의 역할: 제주해군기지 갈등 사례" 분쟁해결연구센터 10 (10): 5-36, 2012

      7 정정화, "공론화를 통한 사회적 합의형성의 성공조건" 한국정책과학학회 22 (22): 101-124, 2018

      8 심준섭, "공공갈등에 대한 대안적 분쟁해결(ADR) 프로세스의 장기화 요인 분석" 분쟁해결연구센터 13 (13): 33-62, 2015

      9 정정화, "공공갈등과 합의형성 : 심의민주주의 방식의 적용과 한계" 한국정부학회 23 (23): 577-604, 2011

      10 윤종설, "공공갈등 문제 해소를 위한 민주적 갈등관리의 효과와 한계: 시화호 개발 사례와 호남선 고속철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565-593, 2014

      1 서복경, "한국정치는 ‘숙의형 조사’를 어떻게 변형시켰나: ‘신고리 5․6호기’, ‘대통령 개헌안’, ‘대입제도개편안’ 사례를 중심으로" 참여연대 (33) : 1-44, 2018

      2 정규호, "정책갈등의 참여적 해결을 위한 합의형성적 접근의 의미와 과제: 한탄강댐 건설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6 (16): 91-118, 2007

      3 조희정, "시민참여제와 민주주의: 합의회의와 공론화위원회를 중심으로" 참여연대 (32) : 67-99, 2018

      4 홍성만, "숙의거버넌스와 합의형성 제도설계: 시화지역 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7 (47): 21-46, 2009

      5 김학린, "국책사업갈등에 있어 시민참여형 갈등해결프로세스 설계에 관한탐색적 연구 - 신고리5⋅6호기공론화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4 (14): 81-100, 2018

      6 고경민, "국책사업 갈등에서 지방정부의 역할: 제주해군기지 갈등 사례" 분쟁해결연구센터 10 (10): 5-36, 2012

      7 정정화, "공론화를 통한 사회적 합의형성의 성공조건" 한국정책과학학회 22 (22): 101-124, 2018

      8 심준섭, "공공갈등에 대한 대안적 분쟁해결(ADR) 프로세스의 장기화 요인 분석" 분쟁해결연구센터 13 (13): 33-62, 2015

      9 정정화, "공공갈등과 합의형성 : 심의민주주의 방식의 적용과 한계" 한국정부학회 23 (23): 577-604, 2011

      10 윤종설, "공공갈등 문제 해소를 위한 민주적 갈등관리의 효과와 한계: 시화호 개발 사례와 호남선 고속철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565-593, 2014

      11 권숙도, "‘국민대토론회’를 통해 본 숙의민주주의의 발전 가능성" 사회과학연구원 42 (42): 355-377, 2016

      12 Fishkin, J. S., "When the People Speak : Deliberative Democracy and Public Consul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3 Presidential Committe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ory and Method of Public Conflict Management" Non-Hyung Press 2005

      14 김학린, "The Potentials of Public Debate and Deliberative Democracy A Focus on the Experience of the ‘2014 Korean National Public Debate Forum" 지역사회학회 16 (16): 95-128, 2015

      15 Moore. C. W., "The Mediation Process" Jossy-Boss 2003

      16 Lax. Davis A., "The Manager as Negotiator" Free Press 1986

      17 Nah, Tea-Joon, "The Institutional Approach to Conflict Resolution"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004

      18 Susskind Lawrence, "The Consensus Building Handbook: A Comprehensive Guide to Reaching Agreement" Sage Publications 1999

      19 Public Engagement Commission on Spent Nuclear Fuel Management Task Force, "Suggestion Report for the Public Deliberation on Spent Nuclear Fuel" 2008

      20 The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on Shin-Gori Nuclear Reactors No. 5 & 6, "Results of Participatory Surveys for Public Deliberation on Shin-Gori Nuclear Reactors No. 5 & 6" 2017

      21 Gwangju Metro Line 2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Report for the Gwangju Metro Line 2 Public Deliberation" 2019

      22 Renn, Ortwin, "Public Pra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 A Three-Step Procedure" 26 (26): 189-214, 1993

      23 Kim, Daeyoung, "Public Deliberation and Political Commentary: From Closed Society to Open Square" Chaeksaesang 2005

      24 Mckearnan, Sarah, "Producing Consensus, In The Consensus Building Handbook: A Comprehensive Guide to Reaching Agreement" Sage Publications 1999

      25 Cobb, R. W., "Participation in American Politics: The Dynamics of Agenda-Building" John Hopkins Univ. Press 1983

      26 Webler. T., "Fairness and Competence in Citiizen Participation: evaluating Models for Environmental Discourse"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5

      27 Kim, Sun-Hee, "Establishment of Consensus Building System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5

      28 Eun, Jae-Ho, "Establishment and Operation Plan for National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KIPA 2017

      29 Citizens’ Organization for People-Oriented Future Transportation, "Comprehensive Report for the Gwangju Metro Line 2 Public Deliberation" 2019

      30 Jang, Kyungseok, "Citizen Jury. Science, Technology, Environment, and Citizen Participation" Hanwool 2002

      31 Susskind Lawrence, "Breaking Robert’s Rules" Oxford Univ. Press 2006

      32 Lee, Junwoong, "Applicable subjects of public deliberation and methodological validation" 2017

      33 Kim, Won-Yong, "A study of Deliberative Poll as a Means of Collecting Opinion on Public Issues" 11 : 209-232, 2003

      34 Chae, Jong Hun, "A Study on Public ans Stakeholder Engagement and Conflict Prevention in the Policy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r Disposal Facilities" KIPA 2010

      35 Chae, Jong Hun, "A Study on Improvement of Policy Acceptance and Promotion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Activation of Consensus Building Process" KIPA 2017

      36 박재근, "'프랑스 국가공론위원회' 설립에 관한 연구 - 프랑스 공공토론위원회(CNDP)의 한국 내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한국비교정부학회 18 (18): 229-254,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8-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역사회학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7-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Regional Sociology ->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ociolog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4 0.77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