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숙지황 제조과정에서 중금속과 잔류농약 = Heavy Metals and Pesticides with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52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obtain the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materials with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the residual heavy metals and pesticides in samples are surveyed.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during the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of Korea are $0.147{\pm}0.007\;mg/L,\;0.025{\pm}0.001\;mg/L\;and\;0.193{\pm}0.021\;mg/L$,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during the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 of China are $0.0145{\pm}0.014\;mg/L,\;0.023{\pm}0.002\;mg/L\;and\;0.299{\pm}0.013\;mg/L$,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As, Cd and Hg remain unchanged during the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in Rehmanniae Radix Preparat on the Korea are 3.53%, 6.66% and 5.16% for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advisory level, respectively. The residual pesticides, such as aldrin, $BHC-{\alpha},\;BHC-{\beta},\;BHC-{\gamma},\;BHC-{\delta}$, captan, chlorfenapyr, chlorpyrifos, DDD, DDE, DDT-o,p, DDT-p.p, dieldrin, endosulfan-sulfate, $endosulfan-{\alpha}$, $endosulfan-{\beta}$, fenitrothion, penthoate, permethrin, quintozene, tolyfluanid and vinclozolin, are not detected in Rehmanniae Radix Preparat on the Korea and China. The hazardous materials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on the Korea and China are verified the safety of the residual heavy metals and pesticides compare with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advistory level.
      번역하기

      To obtain the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materials with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the residual heavy metals and pesticides in samples are surveyed.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during the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

      To obtain the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materials with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the residual heavy metals and pesticides in samples are surveyed.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during the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of Korea are $0.147{\pm}0.007\;mg/L,\;0.025{\pm}0.001\;mg/L\;and\;0.193{\pm}0.021\;mg/L$,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during the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 of China are $0.0145{\pm}0.014\;mg/L,\;0.023{\pm}0.002\;mg/L\;and\;0.299{\pm}0.013\;mg/L$,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As, Cd and Hg remain unchanged during the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in Rehmanniae Radix Preparat on the Korea are 3.53%, 6.66% and 5.16% for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advisory level, respectively. The residual pesticides, such as aldrin, $BHC-{\alpha},\;BHC-{\beta},\;BHC-{\gamma},\;BHC-{\delta}$, captan, chlorfenapyr, chlorpyrifos, DDD, DDE, DDT-o,p, DDT-p.p, dieldrin, endosulfan-sulfate, $endosulfan-{\alpha}$, $endosulfan-{\beta}$, fenitrothion, penthoate, permethrin, quintozene, tolyfluanid and vinclozolin, are not detected in Rehmanniae Radix Preparat on the Korea and China. The hazardous materials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on the Korea and China are verified the safety of the residual heavy metals and pesticides compare with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advistory lev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재의 품질관리와 안전성확보를 위한 연 구-잔류농약 및 중금속 허용기준과 세포독성의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1998

      2 김진숙, "한약재와 탕액(십전대보탕)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로서의 개별 중금속 함량분석(II)" 45 (45): 448-454, 2001

      3 김승영, "한약재 중의 유해물질에 대한 안전성 연구" 2005.

      4 김종욱, "한약재 유해물질 모니터링 사업(I)-유통 한약재의 중금속에 관한 연구" 17 (17): 235-245, 2002

      5 박해모, "한약재 복용으로 인한 금속 섭취량 추정 및 위해성 평가 연구" 32 (32): 186-191, 2006

      6 정구복, "토양내 중금속 유효도와 미나리중의 흡수이행성 평가" 25 (25): 323-330, 2006

      7 서윤주, "토양 중의 중금속 자연함유량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연구원 1982"

      8 양준영, "숙지황 중 유해물질의 안전성 평가" 2007

      9 "생약제제의 등록규정 차별화에 관한 연구" 11 (11): 68-76, 2001

      10 식품의약품안전청, "생약 등의 중금속 허용 기준 및 시험방법"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62) : 2005

      1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재의 품질관리와 안전성확보를 위한 연 구-잔류농약 및 중금속 허용기준과 세포독성의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1998

      2 김진숙, "한약재와 탕액(십전대보탕)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로서의 개별 중금속 함량분석(II)" 45 (45): 448-454, 2001

      3 김승영, "한약재 중의 유해물질에 대한 안전성 연구" 2005.

      4 김종욱, "한약재 유해물질 모니터링 사업(I)-유통 한약재의 중금속에 관한 연구" 17 (17): 235-245, 2002

      5 박해모, "한약재 복용으로 인한 금속 섭취량 추정 및 위해성 평가 연구" 32 (32): 186-191, 2006

      6 정구복, "토양내 중금속 유효도와 미나리중의 흡수이행성 평가" 25 (25): 323-330, 2006

      7 서윤주, "토양 중의 중금속 자연함유량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연구원 1982"

      8 양준영, "숙지황 중 유해물질의 안전성 평가" 2007

      9 "생약제제의 등록규정 차별화에 관한 연구" 11 (11): 68-76, 2001

      10 식품의약품안전청, "생약 등의 중금속 허용 기준 및 시험방법"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62) : 2005

      11 박문기, "사군자탕 제조시 탕약과 찌거기 중의 중금속 함량연구" 16 (16): 241-245, 2007

      12 이태관, "대구울산지역의 토양 중금속 오염도 평가" 14 (14): 605-611, 2006

      13 "다용 한약재의 산지별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1998

      14 유홍일, "농약잔류분석방법 식품의 오염과 위해평가" 325-333,

      15 이현정, "경북 북부지역 재배한약재와 토양의 중금속 함량연구" 2003

      16 12th ed,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75

      17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in fruits and vegeta-ble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42 : 179-187, 2007

      18 "Elemental uptake by edibl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7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8-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환경독성학회지 -> 환경독성보건학회지 KCI등재
      2010-07-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toxicology ->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KCI등재
      2010-04-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독성학회 -> 환경독성보건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oxicology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환경독성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toxicolog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