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재로서 문화와 문화공공성의 가치 재고 = Reconsidering the Culture as a Public Good and the Value of Cultural Public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587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es in recent years is that culture has been driven by the logic of economics and market profit. It would be a main reason why ‘culture’ is naturally paired up with a modifier, the word ‘war’. In this article, we will face up to this situation and suggest common-sense argument from a glocal point that the study on the culture and culture contents must restore the value of cultural publicity(publicness) and move away from commercialization or industrialization, in other word the swamp of economic-globalization, so that the unique culture of each local country can be preserved. Cultural publicness can be revealed when it is regarded as public property, that is, the public property of human beings, not the private property of a particular individuals, companies or a particular countries. Cultural publicness can be a real enjoyment in both local and global world when culture is not collaborated with the globle market any more, but only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public good, common sharing, ethics and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e topic, cultivation of cultural publicness, is in the line with the respect about diversity of each local cultures and the culture as a public good of humanity, that is emphasized by UNESCO’s Human Cultural Heritage, is basically based on ‘non-economic truth’. This means that culture has value over the value of usage and exchange. That is why the culture, to be safe to say as a symbol of the ‘non-capitalist world’, should be freely granted widely to citizens of the world.
      번역하기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es in recent years is that culture has been driven by the logic of economics and market profit. It would be a main reason why ‘culture’ is naturally paired up with a m...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es in recent years is that culture has been driven by the logic of economics and market profit. It would be a main reason why ‘culture’ is naturally paired up with a modifier, the word ‘war’. In this article, we will face up to this situation and suggest common-sense argument from a glocal point that the study on the culture and culture contents must restore the value of cultural publicity(publicness) and move away from commercialization or industrialization, in other word the swamp of economic-globalization, so that the unique culture of each local country can be preserved. Cultural publicness can be revealed when it is regarded as public property, that is, the public property of human beings, not the private property of a particular individuals, companies or a particular countries. Cultural publicness can be a real enjoyment in both local and global world when culture is not collaborated with the globle market any more, but only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public good, common sharing, ethics and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e topic, cultivation of cultural publicness, is in the line with the respect about diversity of each local cultures and the culture as a public good of humanity, that is emphasized by UNESCO’s Human Cultural Heritage, is basically based on ‘non-economic truth’. This means that culture has value over the value of usage and exchange. That is why the culture, to be safe to say as a symbol of the ‘non-capitalist world’, should be freely granted widely to citizens of the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를 경제 및 시장의 수익 논리로 들이몰고 있는 것이 최근 문화의 생산과 소비, 유통의 현주소라 할 수 있다. ‘문화’가 ‘전쟁’이란 수식어와 자연스럽게 짝을 이루고있는 것도, 역설 같지만, 이 때문인지 모른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직시하고 문화 및 문화콘텐츠연구가 문화의 상품화나 산업화, 즉 경제세계화의 논리에서벗어나 문화공공성의 가치를 회복해야만 각 로컬 국가의 고유한 문화가 보존ㆍ고수될 수 있다는 상식적인 주장을 제안해보려 한다. 문화공공성은 문화를 공공재, 즉특정 개인이나 기업 및 국가의 사적 재산이 아닌 인류의 공적 재산으로 인정할 때비로소 그 본의가 발현될 수 있다. 문화공공성은 문화가 더는 글로벌 시장에 부역하지 않고 공공선, 공동보유, 윤리, 책임 등의 개념과 잇대있을 때 각 로컬과 글로벌세계에서 공히 진정한 향유 대상이 될 수 있다는데 기초한다. 문화공공성의 가치재고는 이런 점에서 각 로컬 문화다양성의 존중과 괘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인류의 공공재로서 문화, 즉 유네스코가 역설(力說)하고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문화’ 도 기본적으로 ‘비경제적 진리’에 기초한 개념이라는 점을 환기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바로 문화가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를 능가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비자본적 세계’의 상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문화가 지구촌 시민들에게 널리무상으로 공여되어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번역하기

      문화를 경제 및 시장의 수익 논리로 들이몰고 있는 것이 최근 문화의 생산과 소비, 유통의 현주소라 할 수 있다. ‘문화’가 ‘전쟁’이란 수식어와 자연스럽게 짝을 이루고있는 것도, 역설 ...

      문화를 경제 및 시장의 수익 논리로 들이몰고 있는 것이 최근 문화의 생산과 소비, 유통의 현주소라 할 수 있다. ‘문화’가 ‘전쟁’이란 수식어와 자연스럽게 짝을 이루고있는 것도, 역설 같지만, 이 때문인지 모른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직시하고 문화 및 문화콘텐츠연구가 문화의 상품화나 산업화, 즉 경제세계화의 논리에서벗어나 문화공공성의 가치를 회복해야만 각 로컬 국가의 고유한 문화가 보존ㆍ고수될 수 있다는 상식적인 주장을 제안해보려 한다. 문화공공성은 문화를 공공재, 즉특정 개인이나 기업 및 국가의 사적 재산이 아닌 인류의 공적 재산으로 인정할 때비로소 그 본의가 발현될 수 있다. 문화공공성은 문화가 더는 글로벌 시장에 부역하지 않고 공공선, 공동보유, 윤리, 책임 등의 개념과 잇대있을 때 각 로컬과 글로벌세계에서 공히 진정한 향유 대상이 될 수 있다는데 기초한다. 문화공공성의 가치재고는 이런 점에서 각 로컬 문화다양성의 존중과 괘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인류의 공공재로서 문화, 즉 유네스코가 역설(力說)하고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문화’ 도 기본적으로 ‘비경제적 진리’에 기초한 개념이라는 점을 환기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바로 문화가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를 능가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비자본적 세계’의 상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문화가 지구촌 시민들에게 널리무상으로 공여되어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봉, "호모 에티쿠스 : 윤리적 인간의 탄생" 한길사 2012

      2 조성환, "한국의 공공철학, 그 발견과 모색 -다산·세종·동학을 중심으로" 동학학회 (32) : 221-257, 2014

      3 박치완, "탈영토화된 문화의 재영토화" 철학연구소 (42) : 59-92, 2011

      4 이남희, "지역문화콘텐츠 구축과 디지털 지역학" 인문콘텐츠학회 (47) : 9-23, 2017

      5 김기덕, "인문학 기반의 ‘문화콘텐츠학’ 수업론 정립을 위한 시론" 인문콘텐츠학회 (41) : 33-52, 2016

      6 하비(D.),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문화과학사 2010

      7 김상봉, "서로 주체성의 이념 : 철학의 혁신을 위한 서론" 길 2007

      8 리포베츠키(G.), 루(E.), "사치의 문화" 문예출판사 2004

      9 김규찬, "문화산업정책 20년 평가와 전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5

      10 박치완, "기술-경제 세계화 시대의 지식과 인간" 인문콘텐츠학회 (44) : 9-33, 2017

      1 김상봉, "호모 에티쿠스 : 윤리적 인간의 탄생" 한길사 2012

      2 조성환, "한국의 공공철학, 그 발견과 모색 -다산·세종·동학을 중심으로" 동학학회 (32) : 221-257, 2014

      3 박치완, "탈영토화된 문화의 재영토화" 철학연구소 (42) : 59-92, 2011

      4 이남희, "지역문화콘텐츠 구축과 디지털 지역학" 인문콘텐츠학회 (47) : 9-23, 2017

      5 김기덕, "인문학 기반의 ‘문화콘텐츠학’ 수업론 정립을 위한 시론" 인문콘텐츠학회 (41) : 33-52, 2016

      6 하비(D.),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문화과학사 2010

      7 김상봉, "서로 주체성의 이념 : 철학의 혁신을 위한 서론" 길 2007

      8 리포베츠키(G.), 루(E.), "사치의 문화" 문예출판사 2004

      9 김규찬, "문화산업정책 20년 평가와 전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5

      10 박치완, "기술-경제 세계화 시대의 지식과 인간" 인문콘텐츠학회 (44) : 9-33, 2017

      11 박치완, "글로컬 시대가 요구하는 지식의 새로운 지형도- 동서사상의 간발적(間發的) 교류를 위한 시론 -" 철학연구소 38 : 149-184, 2014

      12 박치완, "글로컬 시대, 문화 해석의 새로운 지평" 중앙철학연구소 38 : 243-274, 2015

      13 박치완, "글로컬 문화다양성 인식과 인문학도의 책무" 경기대 인문과학연구소 31 : 101-134, 2016

      14 박치완, "글로컬 공공철학을 위한 문화인식론 - 문화적 정체성의 물음을 중심으로 -" 한국동서철학회 (75) : 419-446, 2015

      15 Barrett, B, "Why Cooperate? The Incentive to Supply Global Public Good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6 Beus, J. de, "The Value of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s and arts" Amsterdam University Press 1996

      17 Hetata, S, "The Cultures of Globalization" Duke University Press 1998

      18 Reich, R, "The Common Good" Alfred A. Knopf 2018

      19 Beck, U,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 Sage 1992

      20 Walsh, A. D., "Religion, Economics, and Public Policy: Ironies, Tragedies, and Absurdities of the Contemporary Culture Wars" Praeger 2000

      21 Geuss, R, "Public Goods, Private Good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22 Anton, A., "Not for Sale. In Defense of Public Goods" Westview Press 2000

      23 East, M, "Moving Towards ‘Us-Others’ Reciprocity" 8 (8): 156-171, 2014

      24 Grassmuck, V, "Media, Knowledge and Education: Cultures and Ethics of Sharing" Innsbruck University Press 2012

      25 Warnier, J.-P., "La mondialisation de la culture" La Découverte 2008

      26 Baudrillard, J., "La Société de consommation" Gallimard 1970

      27 Kiley, R., "Globalization and the Third World" Routledge 1998

      28 Mofid, K, "Globalization & Identity" Transaction Publishers 2006

      29 Ogunrinade, A. F, "Globalization & Identity" Transaction Publishers 2006

      30 Schlag, M., "Free Markets and the Culture of Common Good" Springer 2014

      31 Beck, U, "Ecological Politics in an Age of Risk" Polity Press 1995

      32 Ramm, B, "Cultural Heritage Ethics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pen Book Publishers 2014

      33 Sandis, C, "Cultural Heritage Ethic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pen Book Publishers 2014

      34 Francois, E. J, "Building Global Education with a Local Perspective" Palgrave & Macmillan 2015

      35 Webb, A. K., "Beyond the Global Culture War" Routledge 2006

      36 Guéhenno, J.-M, "Américanisation du monde ou mondialisation de l’Amérique?" (1) : 7-20,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7 2.03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