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하반기 정보통신부 조사결과에 따르면,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의 비율이 만 6세 이상에서 70%를 넘어서고 있으며, 연령대별 이용률을 살펴봤을 때 10대의 이용률은 96.2%, 20대의 이용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3779
200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4년 하반기 정보통신부 조사결과에 따르면,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의 비율이 만 6세 이상에서 70%를 넘어서고 있으며, 연령대별 이용률을 살펴봤을 때 10대의 이용률은 96.2%, 20대의 이용률...
2004년 하반기 정보통신부 조사결과에 따르면,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의 비율이 만 6세 이상에서 70%를 넘어서고 있으며, 연령대별 이용률을 살펴봤을 때 10대의 이용률은 96.2%, 20대의 이용률은 95.3%로 나타났다(한국 인터넷진흥원, 2005). 이처럼 인터넷은 어느덧 우리의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아 대부분의 국민이 일상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비율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무한한 정보의 바다라 불리 우는 가상공간인 인터넷은 시공간의 제약을 초월하여 빠르고 손쉽게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최대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성과 더불어 부작용 또한 다각도로 드러나고 있다. 검증되지 않은 무분별한 자료가 무수히 많으며,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역시 심각하고, 사이버 범죄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인터넷으로 인해 일상생활의 문제점까지 야기하는 경우가 많아 ‘인터넷 중독’이라는 새로운 병명도 등장하였다.
최근 인터넷 중독의 연구경향을 보면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이 가장 높으므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청소년 인터넷 중독자의 경우 이들은 가정 내에서 부모와 문제가 있거나 교우관계가 원활하지 못하고, 충동적이며, 낮은 자기 존중감 등을 보고한다. 다른 연구에서도 인터넷 중독성향을 보이는 청소년들은 심리적 부적응의 문제를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중독성향이 심각한 청소년일수록 낮은 자아 존중감을 보고하며, 높은 불안수준과 권태감, 그리고 충동성이 대표적 특성이다.
최근까지 많은 연구들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자아 존중감, 충동성, 부모-자녀 관계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횡단적 연구이므로 인터넷 중독에 있어서의 변화(증가, 감소추세)에 위의 변수들이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되었던 부모-자녀 관계, 자아 존중감, 충동성, 비행성향, 성별 등의 유의한 변인들과 인터넷 중독에 있어서의 변화양상을 종단자료를 바탕으로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s)을 적용해 검증한다. 본 연구의 특별한 강점은 인터넷 중독에 있어서의 변화를 모형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중독의 변화패턴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그 집단에 따라 인터넷 중독과 자아 존중감, 충동성, 부모-자녀 관계 사이의 관계를 검증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