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와 이방인: 현상학적 조망에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194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코로나19로 빚어진 사회적 현상을 현상학적 시각을 통해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별히 코로나19 속 세상이 이방인의 세상과 비슷하다는 유비를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

      이 논문은 코로나19로 빚어진 사회적 현상을 현상학적 시각을 통해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별히 코로나19 속 세상이 이방인의 세상과 비슷하다는 유비를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코로나19로 빚어진 세상이 단지 이방인의 세상과 비슷하다는 점뿐만 아니라 그것을 탐구하는데 동원될 현상학과도 그 맥을 크게 같이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 코로나의 재앙과 비극 속에서 현상학과 이방인의 사회학의 중요성과 가치가 부각되는 부수적 결과를 갖게 되었다는 것이 증명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고려될 것은 후설과 슈츠, 그리고 버거와 내이튼슨, 러크만 등에 의해 개진된 현상학적 태도이다. 이것은 일상인들이 그들의 생활세계에서 견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연적 태도와 뚜렷이 대조된다. 이 논문에서는 현상학적 환원, 괄호침, 에포케, 판단중지 등으로 대변되는 현상학적 태도가 자연적 태도의 본질과 함께 비교되면서 집중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그리고 현상학적 환원과 태도를 통해 도출되는, 즉 이화(異化)의 결과 간파되는 현상(실재)의 구성성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은 현상학적 환원이 짐멜이 현대사회의 주된 특징으로 거론한 거리두기와도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코로나19의 세상을 짐멜의 거리두기와도 연결 지을 것이다. 또한 이 모든 것들을 종합하면서 슈츠의 현상학에 지대한 영향을 받은 민간방법론의 창시자 가핑켈이 보는 사회의 상이 코로나19와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상호 조응하며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이 규명할 것은 코로나19 속 일상인들이 결국은 필자가 이방인의 사회학에서 개진한 바 있는 이방인의 상과 매우 잘 조응된다는 사실이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 재차 강조되는 것은 행동 없이 사회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코로나19가 가져 온 일상의 멈춤이 그것을 새삼 확인시켜주었다고 주장하면서, 그 주된 대상은 현상학자와 사회학자들이 아니라 일상인이었다는 것을 강조한다. 물론 현상학자와 사회학자 같은 전문가들도 코로나19를 통해 그것을 재차 확인하게 되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결국 코로나19라는 전 인류적 그리고 전 지구적 재앙은 전혀 의도하지 않게 현상학의 힘과 사회학의 굴기의 계기를 제공하였다고 주장될 수 있다. 또한 일상인들 모두 스스로를 이방인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이방인의 사회학의 타당성과 효용을 입증하는 예상치 못한 결과도 낳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끝으로 이 논문을 구성함에 있어 채택된 방법은 문헌연구이다. 위에서 언급했던 철학자와 사회학자들의 저작 분석을 통해 소기의 목적 달성을 시도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ociological phenomena caused by COVID-19 pandemic through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o achieve such purpose, the paper specifically shows the analogy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world of COVI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ociological phenomena caused by COVID-19 pandemic through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o achieve such purpose, the paper specifically shows the analogy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world of COVID-19 and the world of strangers. Besides, one thing to notice in this paper is that not only the world of COVID-19 pandemic and the world of the Strangers are alike but also, it has absolutely something in common with phenomenology utilized in the inquiry of this study. Thus, through this paper, it demonstrates the incidental outcome of high-lighting the value of the sociology of strangers and the phenomenological sociology in the midst of tragedy and calamity of the COVID-19. In this paper, the phenomenological attitude which is articulated by those who are Husserl, Schutz, and Berger, Natanston, Luckman and the natural attitude which ordinary men stick to in their life world are taken into account. Also, the paper discusses mainly on the phenomenological attitude which is represented by phenomenological reduction, bracketing, epoché, suspension of judgement in comparison with the essence of natural attitude. Also, it examines the constitution of the social phenomena which are deduced from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attitude, i.e., estrangement. In addition, the paper emphasizes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which goes along the lines of the main feature of modern world, i.e., the process of distancing, and is trying to connect the world of COVID-19 and Simmel’s the process of distancing. The paper also looks into the manner in which Garfinkel’s view of image of society, the founder of ethnomethodology does correspond with the world of COVID-19. Finally,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corelation between ordinary man’s life in the world of COVID-19 and the image of strangers which I have elaborated in The Sociology of The Stranger. The paper repeatedly stresses that the society can not exist without the actions of ordinary people. The suspension of everyday life due to the COVID-19 assures this argument and allows those who are lay men as well as phenomenologists and sociologists to recognize such. COVID-19, one of the greatest global ruin and misfortune of the humanity unintentionally provokes the power of phenomenology and the rise of sociology, which also makes all lay men to experience themselves as strangers. Thus, the paper argues that COVID-19 has unexpected outcome of confirming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sociology of the stranger. Lastly, it necessary to mention that the method of literature review has been manipulated to construct this paper. The paper attempts to accomplish the goal, by analyzing the original works of many philosophers and sociologists mentioned the abo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 2. 당연시되는 세계
      • 3. 현상학적 태도
      • 4. 코로나와 당연한 것의 이화
      • 5. 나가는 말: 코로나와 이방인
      • 1. 들어가는 말
      • 2. 당연시되는 세계
      • 3. 현상학적 태도
      • 4. 코로나와 당연한 것의 이화
      • 5. 나가는 말: 코로나와 이방인
      • 도움글
      • 외국어 줄임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기, "이방인의 사회학" 글항아리 2014

      2 김광기, "알프레드 슈츠와 ‘자연적 태도’―철학과 사회학의 경계를 넘어서―" 한국현상학회 (25) : 47-70, 2005

      3 김광기, "아메리칸 엔드 게임: 지금 반드시 읽어야 할 미국" 현암사 2020

      4 Thévenaz, Pierre, "What is Phenomenology?: and Other Essays 1962" Quadrangle Books 1962

      5 Kim, Kwang-ki, "Typification in Society and Social Science: The Continuing Relevance of Schutz’s Social Phenomenology" 32 : 263-289, 2009

      6 Zaner, Richard M, "The Theory of Intersubjectivity: Alfred Schutz" 28 (28): 71-93, 1961

      7 Schutz, Alfred, "The Structures of the Life-World" Northwester University Press 1973

      8 Simmel, Georg, "The Philosophy of Money" Rotledge 1978

      9 Natanson, Maurice, "The Journing Self: A Study in Philosophy and Social Role" Eddison-Wesley Publishing Co 1970

      10 vom Lehn, Dirk,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Ethnomethodology" Left Coast Press Inc 2014

      1 김광기, "이방인의 사회학" 글항아리 2014

      2 김광기, "알프레드 슈츠와 ‘자연적 태도’―철학과 사회학의 경계를 넘어서―" 한국현상학회 (25) : 47-70, 2005

      3 김광기, "아메리칸 엔드 게임: 지금 반드시 읽어야 할 미국" 현암사 2020

      4 Thévenaz, Pierre, "What is Phenomenology?: and Other Essays 1962" Quadrangle Books 1962

      5 Kim, Kwang-ki, "Typification in Society and Social Science: The Continuing Relevance of Schutz’s Social Phenomenology" 32 : 263-289, 2009

      6 Zaner, Richard M, "The Theory of Intersubjectivity: Alfred Schutz" 28 (28): 71-93, 1961

      7 Schutz, Alfred, "The Structures of the Life-World" Northwester University Press 1973

      8 Simmel, Georg, "The Philosophy of Money" Rotledge 1978

      9 Natanson, Maurice, "The Journing Self: A Study in Philosophy and Social Role" Eddison-Wesley Publishing Co 1970

      10 vom Lehn, Dirk,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Ethnomethodology" Left Coast Press Inc 2014

      11 Garfinkel, Harold, "The Corpus Status of Ethnomethodological Investigation" 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 2001

      12 Garfinkel, Harold, "Text in Context: Contributions to Ethnomethodology" Sage Publications 1992

      13 Garfinkel, Harold, "Studies in Ethnomethodology" Prentice-Hall 1967

      14 Garfinkel, Harold, "Seeing Sociologically: The Routine Grounds of Social Action" Paradigm Publishers 2006

      15 Lynch, Michael, "Scientific Practice and Ordinary Action: Ethnomethodology and Social Studies of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6 Natanson, Maurice, "Phenomenology, Role, and Reason: Essays on The Coherence and Deformation of Social Reality" Charles C. Tomas Publisher 1974

      17 Husserl, Edmund, "Phenomenology and the Crisis of Philosophy: Philosophy as Rigorous Science and Philosophy and the Crisis of European Man" Harper TorchBooks 1965

      18 Berger, Peter L, "Phenomenology and Social Reality: Essays in Memory of Alfred Schutz" Martinus Nijhoff 213-233, 1970

      19 Voegelin, Eric, "Phenomenology and Social Reality: Essays in Memory of Alfred Schutz" Martinus Nijhoff 185-194, 1970

      20 Natanson, Maurice, "Phenomenology and Social Reality: Essays in Memory of Alfred Schutz" Martinus Nijhoff 101-121, 1970

      21 Luckmann, Thomas, "Phenomenology and Social Reality: Essays in Memory of Alfred Schutz" Martinus Nijhoff 73-100, 1970

      22 Kim, Kwang-ki, "Order and Agency in Modernity: Talcott Parsons, Erving Goffman, Harold Garfinkel" SUNY Press 2002

      23 Husserl, Edmund, "Logical Investigation" Humanity Books 2000

      24 Natanson, Maurice, "Literature, Philosphy and the Social Sciences: Essays in Existentialism and Phenomenology" Martinus Nijhoff 1962

      25 Kim, Kwang-ki, "Interaction and Everyday Life: Phenomenological And Ethnomethodological Essays in Honor of George Psathas" Lexington Books 169-187, 2012

      26 Husserl, Edmund, "Ideas: General Introduction to Pure Phenomenology" Collier Books 1962

      27 Kohák, Erazim, "Idea & Experience: Edmund Husserl’s Project of Phenomenology in Ideas I"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28 Kim, Kwang-ki, "Grenzgänge: Stuien zur interdisziplinären und interkulturellen Phänomenologie" Königshausen & Neumann 137-144, 2011

      29 Garfinkel, Harold, "Evidence for Locally Produced, Naturally Accountable Phenomena of Order*, Logic, Reason, Meaning, Method, etc. In and As of The Essential Quiddity of Immortal Ordinary Society, (I of IV): An Announcement of Studies" 6 : 103-109, 1988

      30 Garfinkel, Harold, "Ethnomethodology’s Program: Working Out Durkheim’s Aphoris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2

      31 Garfinkel, Harold, "Ethnomethodology’s Program" 59 (59): 5-21, 1996

      32 Natanson, Maurice, "Edmund Husserl: Philosopher of Infinite Task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73

      33 Schutz, Alfred, "Collected Papers V:Phenomenology and the Social Sciences" Springer 93-200, 2011

      34 Schutz, Alfred, "Collected Papers I: The Problem of Social Reality" Martinus Nijhoff 287-356, 1962

      35 Schutz, Alfred, "Collected Papers I: The Problem of Social Reality" Martinus Nijhoff 207-259, 1962

      36 Natanson, Maurice, "Collected Papers I: The Problem of Social Reality" Marinus Nijhoff 115-127, 1962

      37 Husserl, Edmund, "Cartesian Meditations: An Introduction to Phenomenology" Marinus Nijhoff 1977

      38 Natanson, Maurice, "Anonymity: A Study in the Philosophy of Alfred Schutz" Indiana University Press 1986

      39 Psathas, George, "Alfred Schutz’s ‘Sociological Aspect of Literature’: Construction and Complementary Essay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9-235, 1998

      40 Psathas, George, "Alfred Schutz and His Intellectual Partners" UVK Verlagsgesellschaft 401-43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ocial Theory ->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82 1.401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