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나손 김동욱 선생의 기녀사: ‘기녀/기생/창기’ 개념의 정의 = Nason Kim Dong-wook’s History of Gisaeng: Definition of ‘Giyeou/Gisaeng/changg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93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나손 선생의 1966년에 발표된 「이조 기녀사 서설(사대부와 기녀)-이조 사대부와 기녀에 대한 풍속사적 접근-」 중심으로 ‘기녀/기생/창기’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하였다. 특히 논문의 중심 개념은 기생, 기녀, 창기, 사대부, 풍속사 등으로 볼 수 있다.
      ‘기녀’의 어휘는 동아시아 문헌에 출전을 찾기 어렵지 않다. 통시적 표기의 변화도 없이 지금도 동아시아에서 자료 검색은 동일하다. ‘기녀’는 가장 보편적인 어휘로 판단된다. 학계에서 고려시대에 주로 ‘기녀’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고, 조선시대 경우에는 ‘기생’으로 구분되며, 동아시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기생’ 용례를 찾아 볼 수 있다. ‘창기’의 경우는 동아시아 문헌에서 용례가 많고, 우리나라 고문헌에서는 ‘창기’의 용례도 혼용한 것을 찾을 수 있다. ‘기생’은 접미사 ‘-생’으로 조선 후기부터 용례가 두드러진다. 여기서 ‘생’은 ‘어떤 생업으로 생계를 삼고 있는 것’을 뜻한다. 바로 ‘기업으로 생계를 삼고 있는 기녀’가 바로 ‘기생’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유생’, ‘서생’, ‘학생’ 등의 경우를 들 수 있다. ‘기생’의 총칭은 성리학이 통치이념으로 자리 잡은 조선 중기 15-16세기부터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학술적 개념에서 정의는 중요하다. 나손 선생의 기녀사 논문에서는 ‘기생’, ‘기녀’, ‘가기’, ‘수청기’, ‘관기’, ‘창기’ 등의 총칭을 혼용하고 있다. 개념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말한다. ‘기생’의 총칭은 기업을 생업으로 삼고 있는 기녀에 대한 두루 일컬음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생’, ‘기녀’, ‘가기’, ‘수청기’, ‘관기’, ‘창기’ 등의 정의에 대한 개념은 당시 시대적 사회를 반영한 총칭인 셈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나손 선생의 1966년에 발표된 「이조 기녀사 서설(사대부와 기녀)-이조 사대부와 기녀에 대한 풍속사적 접근-」 중심으로 ‘기녀/기생/창기’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하였다. 특히 ...

      이 글은 나손 선생의 1966년에 발표된 「이조 기녀사 서설(사대부와 기녀)-이조 사대부와 기녀에 대한 풍속사적 접근-」 중심으로 ‘기녀/기생/창기’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하였다. 특히 논문의 중심 개념은 기생, 기녀, 창기, 사대부, 풍속사 등으로 볼 수 있다.
      ‘기녀’의 어휘는 동아시아 문헌에 출전을 찾기 어렵지 않다. 통시적 표기의 변화도 없이 지금도 동아시아에서 자료 검색은 동일하다. ‘기녀’는 가장 보편적인 어휘로 판단된다. 학계에서 고려시대에 주로 ‘기녀’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고, 조선시대 경우에는 ‘기생’으로 구분되며, 동아시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기생’ 용례를 찾아 볼 수 있다. ‘창기’의 경우는 동아시아 문헌에서 용례가 많고, 우리나라 고문헌에서는 ‘창기’의 용례도 혼용한 것을 찾을 수 있다. ‘기생’은 접미사 ‘-생’으로 조선 후기부터 용례가 두드러진다. 여기서 ‘생’은 ‘어떤 생업으로 생계를 삼고 있는 것’을 뜻한다. 바로 ‘기업으로 생계를 삼고 있는 기녀’가 바로 ‘기생’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유생’, ‘서생’, ‘학생’ 등의 경우를 들 수 있다. ‘기생’의 총칭은 성리학이 통치이념으로 자리 잡은 조선 중기 15-16세기부터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학술적 개념에서 정의는 중요하다. 나손 선생의 기녀사 논문에서는 ‘기생’, ‘기녀’, ‘가기’, ‘수청기’, ‘관기’, ‘창기’ 등의 총칭을 혼용하고 있다. 개념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말한다. ‘기생’의 총칭은 기업을 생업으로 삼고 있는 기녀에 대한 두루 일컬음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생’, ‘기녀’, ‘가기’, ‘수청기’, ‘관기’, ‘창기’ 등의 정의에 대한 개념은 당시 시대적 사회를 반영한 총칭인 셈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욱, "허균과 여성 : 이조관원의 一生에 관한 연구 중에서" 숙명여대아세아여성연구소 6 : 1968

      2 이려추, "한ㆍ중 기녀시인 김운초와 류여시 비교연구" 서울대 대학원 2009

      3 리양, "한ㆍ중 기녀시문학의 비교연구 : 조선조와 명ㆍ청시기의 기녀시문학을 중심으로" 대구대 대학원 2016

      4 류자, "한ㆍ중 고전소설에 나타난 기녀 양상 비교 연구: 조선 기녀 등장 소설과 중국 『삼언(三言)』을 중심으로" 경성대 대학원 2018

      5 김동욱, "학문 성취에 밑거름된 ‘잡동산이’" 대한출판문화협회 12 : 1988

      6 신현규, "평양기생 왕수복 : 10대 가수 여왕되다" 경덕출판사 2006

      7 신현규, "중국창기사" 어문학사 2012

      8 이능화, "조선해어화사" 학문각 1967

      9 조성옥, "조선시대 기녀 트레머리 고찰과 재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10 신현규, "조선기생 선연동연구" 보고사 2017

      1 김동욱, "허균과 여성 : 이조관원의 一生에 관한 연구 중에서" 숙명여대아세아여성연구소 6 : 1968

      2 이려추, "한ㆍ중 기녀시인 김운초와 류여시 비교연구" 서울대 대학원 2009

      3 리양, "한ㆍ중 기녀시문학의 비교연구 : 조선조와 명ㆍ청시기의 기녀시문학을 중심으로" 대구대 대학원 2016

      4 류자, "한ㆍ중 고전소설에 나타난 기녀 양상 비교 연구: 조선 기녀 등장 소설과 중국 『삼언(三言)』을 중심으로" 경성대 대학원 2018

      5 김동욱, "학문 성취에 밑거름된 ‘잡동산이’" 대한출판문화협회 12 : 1988

      6 신현규, "평양기생 왕수복 : 10대 가수 여왕되다" 경덕출판사 2006

      7 신현규, "중국창기사" 어문학사 2012

      8 이능화, "조선해어화사" 학문각 1967

      9 조성옥, "조선시대 기녀 트레머리 고찰과 재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10 신현규, "조선기생 선연동연구" 보고사 2017

      11 신현규, "일제강점기 기생인물생활사 : 꽃을 잡고" 경덕출판사 2005

      12 신현규, "일제강점기 기생의 권번시조 연구 -『조선미인보감』(1918년)과 『가곡보감』(1928년)을 중심으로-" 한국시조학회 (39) : 171-199, 2013

      13 신현규, "일제강점기 권번기생연구" 북페리타 2016

      14 신현규, "일제강점기 권번 기생의 일람표 연구(2) - 조선권번(1938년) 소속의 기생 중심으로 -1"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873-894, 2021

      15 신현규, "일제강점기 권번 기생의 일람표 연구(1)- 종로권번(1938년) 소속의 기생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445-467, 2021

      16 김동욱, "이조기녀사 서설(사대부와 기녀) : 이조사대부와 기녀에 대한 풍속사적 접근" 숙명여대 아세아여성연구소 (5) : 1966

      17 水谷淸佳,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Ⅰ - 이능화의 친일 반민족 행적과 신라시대의 왜곡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565-597, 2020

      18 신현규, "운초 시에 나타난 선연동(嬋娟洞) 연구" 우리문학회 (49) : 7-31, 2016

      19 신현규, "문헌에 나타난 ‘기(妓)’의 기원 연구- ?화동기원변증설(華東妓源辨證說)?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23) : 399-421, 2007

      20 가와무라 미나토, "말하는 꽃 기생" 소담출판사 2002

      21 김동욱, "나의 학구생활과 논문집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9 : 1984

      22 신현규, "기생이야기, 살림지식총서" 살림출판사 2007

      23 이경민, "기생은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 근대 기생의 탄생과 표상 공간" 아카이브연구소 2005

      24 신현규, "기생에 대한 오해와 진실" 2006

      25 신현규, "기생, 푸르디푸른 꿈을 꾸다" 북페리타 2014

      26 신현규, "기생, 조선을 사로잡다" 어문학사 2010

      27 신현규, "기생 매창을 소재로 한 문화 융복합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1-28, 2018

      28 신현규, "기생 「康春紅小傳」 연구" 중앙어문학회 61 : 227-250, 2015

      29 신현규, "기생 : 문화콘텐츠 관점에 본 권번기생 연구" 연경문화사 2022

      30 신현규, "기생 '백운선'을 콘텐츠로 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 고찰 -『매일신보』에 연재된 「백운선의 비밀」을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43 : 219-244, 2010

      31 김일근, "기녀와 문학" 건국대 5 : 1958

      32 전재옥, "기녀와 국문학" 명지어문학회 2 : 1961

      33 조광국, "기녀담, 기녀등장소설의 기녀 자의식 구현 양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4 김창현, "기녀 작품 소고" 안암어문학회 8 : 1964

      35 조선희, "근세 한ㆍ일 기녀복식의 조형특성 비교연구 : 풍속화와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경성대 대학원 2015

      36 김영숙, "규중문학과 기녀작품의 위치" 건국대 1 : 1960

      37 김동욱, "교수임용에 학위만이 필요한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9 : 1986

      38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13) 조선시대의 인구: 장기 변동"

      39 李慶馥, "高麗妓女 風俗과 文學의 硏究"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6

      40 李信馥, "韓國 妓流文學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77

      41 中山太郞, "賣笑三千年史" 春陽堂 1927

      42 中山太郞, "日本巫女史" 大岡山書店 1930

      43 玄文子, "妓女考" 동아대학교 1967

      44 신현규, "1920년대 기녀 시조문학의 한 양상 연구 - 기생 잡지 <장한(長恨, 1927년)>에 수록된 시조 중심으로-" 한국시조학회 (35) : 9-3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