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리스틱 기반 자동 프로그램 수정(Automated Program Repair, APR) 기술의 주요 관심사는 탐색 공간의 크기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그를 생성한 수정(Bug Introducing Change)의 유사성을 활용하여 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59396
2025
Korean
자동 프로그램 수정 ; 유사 패치 ; 디버깅 ; 탐색 공간 ; automated program repair ; similar patch ; debugging ; search space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52-160(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휴리스틱 기반 자동 프로그램 수정(Automated Program Repair, APR) 기술의 주요 관심사는 탐색 공간의 크기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그를 생성한 수정(Bug Introducing Change)의 유사성을 활용하여 탐...
휴리스틱 기반 자동 프로그램 수정(Automated Program Repair, APR) 기술의 주요 관심사는 탐색 공간의 크기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그를 생성한 수정(Bug Introducing Change)의 유사성을 활용하여 탐색 공간을 줄이고, 적절한 수정 연산자를 제안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인 Similar Patch Identifier(SPI)를 제안한다. 이 접근법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문맥 기반 APR 도구인 ConFix와 자바 결함 벤치 마크인 Defects4J를 활용했다. 실험을 통해 SPI가 탐색 공간을 각 결함에 적합한 10개의 버그 수정 커밋 후보로 줄였음에도, 기존 APR 도구인 ConFix가 고치지 못했던 4개의 버그에 대한 수정을 만들어내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challenge in Automated Program Repair (APR) techniques is the size of search space.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ovel approach called Similar Patch Identifier (SPI), which reduces the search space by leveraging the similarities among bug...
The primary challenge in Automated Program Repair (APR) techniques is the size of search space.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ovel approach called Similar Patch Identifier (SPI), which reduces the search space by leveraging the similarities among bug-introducing changes and suggesting suitable repair operators. We evaluate this approach using the existing context-based APR tool, ConFix, and the Java defect benchmark, Defects4J. Our experiments revealed that, although SPI narrowed the search space to 10 candidate bug-fixing commits for each defect, it successfully generated meaningful patches for four bugs that ConFix was unable to repair.
노이즈가 추가된 입력에서 멀티 모달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분할 모델의 성능 개선
서비스 품질 연구에 대한 모바일 에지 컴퓨팅의 이동성 중심 고찰
한국어 소형 거대 언어 모델의 차트 이미지 설명 텍스트 생성 가능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