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 7 : 대한민국 임시정부" 1990
2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 독립운동사 자료집 30 : 의열투쟁 Ⅲ" 1997
3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제1권" 1977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8권 :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2001
5 국회도서관,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 1976
6 백기인, "한국근대 군사사상사 연구" 군사편찬연구소 2012
7 이종학, "한국군사사연구"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8 육군군사연구소, "한국군사사9 : 근·현대Ⅱ" 2012
9 한용원, "창군과 국군의 정통성" 1993
10 한용원, "창군" 박영사 1984
1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 7 : 대한민국 임시정부" 1990
2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 독립운동사 자료집 30 : 의열투쟁 Ⅲ" 1997
3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제1권" 1977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8권 :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2001
5 국회도서관,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 1976
6 백기인, "한국근대 군사사상사 연구" 군사편찬연구소 2012
7 이종학, "한국군사사연구"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8 육군군사연구소, "한국군사사9 : 근·현대Ⅱ" 2012
9 한용원, "창군과 국군의 정통성" 1993
10 한용원, "창군" 박영사 1984
11 김정명, "조선독립운동 Ⅱ" 1967
12 박성수, "의병, 독립군, 광복군-그 연속성 문제" 1993
13 육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 50년사" 1996
14 서중석, "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 역사와 비평사 2001
15 한용원, "신흥무관학교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출신 독립운동가들" 2012
16 박환, "신흥무관학교 주요 간부와 졸업생의 민족운동" 2012
17 한시준, "신흥무관학교 이후 독립군 군사간부 양성" 백산학회 (100) : 457-492, 2014
18 한시준, "신흥무관학교 이후 독립군 군사간부 양성" 2011
19 국사편찬위원회, "신한국사 48" 2001
20 윤대원, "상해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21 이광린, "미국군사교관의 초빙과 연무공원" 진단학회 28 : 1965
22 정토웅, "미 군정과 조선 경비대" 1993
23 한시준, "몽호(夢乎)황학수(黃學秀)의 생애와 독립운동" 53 : 1998
24 "독립신문(1920.6.10, 1920.3.23, 1921.1.1, 1921.2.25.)"
25 군사편찬연구소, "독립군과 광복군 그리고 국군" 2017
26 김삼웅,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와 신흥무관학교" 2011
27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9 : 군무부" 2006
28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1 : 관련단체Ⅰ" 2009
29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 Ⅰ : 상해 시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30 신용옥, "대한민국 제헌헌법과 ‘건국절’ 논란-헌법 전문과 중앙정부론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65) : 481-526, 2016
31 한시준,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령집" 국가보훈처 1999
32 한용원, "대한민국 국군의 창설과 신흥무관학교의 정통성 계승" 2011
33 제성호, "건국절 제정의 타당성과 추진방안" 법학연구원 39 (39): 193-221, 2015
34 이완범, "건국 기점 논쟁: 1919년설과 1948년설의 양립"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3 (33): 71-90, 2009
35 한용진, "개항 이후 사관양성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사학회 28 (28): 2001
36 이현희, "大韓民國 臨時政府史" 집문당 1982
37 한규무, "《도인권(都寅權) 선생의 기록》 해제" 22 : 2005
38 정경현, "‘한국군의 정통성’ 논의에 대한 개념적 검토" 1993
39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제1권 : 전쟁의 배경과 원인" 2004
40 신효승, "20세기 초 국제 정세 변동과 한인 무장 독립운동" 연세대학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