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의 효시(嚆矢)에 대한 연구 = An Study on the roots of the Korea Miltary Acade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4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he beginning of efforts to find out the history of Republic of Korea Army(ROKA) and Korea Military Academy(KMA) at the turning point where the time and space of modern Korean history recognition is expanding. In addition, it is part of efforts to properly describe the legitimacy and efforts to describe the history of the ROKA and KMA in the course of the overall history.
      The historical narrative of the KMA can be given meaning by distinguishing the period and the institution as follows. The Military Academy in the period of Great Han Empire was the beginning of an independent modern officer training institute. Sinheung Military School and other military schools in 1910s were the source of the mental legitimacy of the KMA. Military Academy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the source of legal and substantive legitimacy of the KMA. Military Language School and Korean National Guard Academies in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of Korea can be described as the predecessor of the KMA.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Military Academy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a somewhat poorly researched historical description of KMA. This academy has historical significance in light of the constitutional spirit that the Republic of Korea succeeds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more research will be made in the future.
      Based on this paper, I hope that further discussion and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e future and legitimacy of the ROKA and KMA.
      번역하기

      This paper is the beginning of efforts to find out the history of Republic of Korea Army(ROKA) and Korea Military Academy(KMA) at the turning point where the time and space of modern Korean history recognition is expanding. In addition, it is part of ...

      This paper is the beginning of efforts to find out the history of Republic of Korea Army(ROKA) and Korea Military Academy(KMA) at the turning point where the time and space of modern Korean history recognition is expanding. In addition, it is part of efforts to properly describe the legitimacy and efforts to describe the history of the ROKA and KMA in the course of the overall history.
      The historical narrative of the KMA can be given meaning by distinguishing the period and the institution as follows. The Military Academy in the period of Great Han Empire was the beginning of an independent modern officer training institute. Sinheung Military School and other military schools in 1910s were the source of the mental legitimacy of the KMA. Military Academy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the source of legal and substantive legitimacy of the KMA. Military Language School and Korean National Guard Academies in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of Korea can be described as the predecessor of the KMA.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Military Academy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a somewhat poorly researched historical description of KMA. This academy has historical significance in light of the constitutional spirit that the Republic of Korea succeeds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more research will be made in the future.
      Based on this paper, I hope that further discussion and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e future and legitimacy of the ROKA and KM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대한민국 근현대사 인식의 시·공간이 확대되고 있는 전환점에서 대한민국 육군과 육군사관학교의 효시를 찾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더불어 보다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서 육군과 육군사관학교의 역사를 서술하려는 노력과 그 정통성을 제대로 정리하기 위한 노력의 시작이다.
      논문을 통해 주장하고자 하는 육군사관학교의 역사적 서술은 다음과 같이 시기와 기관을 구분하여 의미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는 자주적인 근대적 장교양성기관의 시작으로 의미가 있다.
      그리고 1910년대의 신흥무관학교 등 군사교육기관들은 독립군 양성소로서 육군사관학교의 정신적 정통성의 연원으로 볼 수 있다. 이때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육군무관학교는 육군사관학교의 법제적 및 실체적 정통성의 연원으로 주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군정기의 군사영어학교와 국방경비대사관학교 및 조선경비대사관학교는 육군사관학교의 전신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그간 육군사관학교에 대한 역사 서술에서 연구가 다소 부진하였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육군무관학교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 학교는 대한민국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헌법정신에 비추어 보더라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가 개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향후 육군과 육군사관학교의 효시와 정통성에 대한 보다 발전적인 논의와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대한민국 근현대사 인식의 시·공간이 확대되고 있는 전환점에서 대한민국 육군과 육군사관학교의 효시를 찾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더불어 보다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

      본 논문은 대한민국 근현대사 인식의 시·공간이 확대되고 있는 전환점에서 대한민국 육군과 육군사관학교의 효시를 찾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더불어 보다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서 육군과 육군사관학교의 역사를 서술하려는 노력과 그 정통성을 제대로 정리하기 위한 노력의 시작이다.
      논문을 통해 주장하고자 하는 육군사관학교의 역사적 서술은 다음과 같이 시기와 기관을 구분하여 의미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는 자주적인 근대적 장교양성기관의 시작으로 의미가 있다.
      그리고 1910년대의 신흥무관학교 등 군사교육기관들은 독립군 양성소로서 육군사관학교의 정신적 정통성의 연원으로 볼 수 있다. 이때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육군무관학교는 육군사관학교의 법제적 및 실체적 정통성의 연원으로 주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군정기의 군사영어학교와 국방경비대사관학교 및 조선경비대사관학교는 육군사관학교의 전신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그간 육군사관학교에 대한 역사 서술에서 연구가 다소 부진하였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육군무관학교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 학교는 대한민국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헌법정신에 비추어 보더라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가 개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향후 육군과 육군사관학교의 효시와 정통성에 대한 보다 발전적인 논의와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 7 : 대한민국 임시정부" 1990

      2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 독립운동사 자료집 30 : 의열투쟁 Ⅲ" 1997

      3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제1권" 1977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8권 :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2001

      5 국회도서관,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 1976

      6 백기인, "한국근대 군사사상사 연구" 군사편찬연구소 2012

      7 이종학, "한국군사사연구"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8 육군군사연구소, "한국군사사9 : 근·현대Ⅱ" 2012

      9 한용원, "창군과 국군의 정통성" 1993

      10 한용원, "창군" 박영사 1984

      1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 7 : 대한민국 임시정부" 1990

      2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 독립운동사 자료집 30 : 의열투쟁 Ⅲ" 1997

      3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제1권" 1977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8권 :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2001

      5 국회도서관,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 1976

      6 백기인, "한국근대 군사사상사 연구" 군사편찬연구소 2012

      7 이종학, "한국군사사연구"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8 육군군사연구소, "한국군사사9 : 근·현대Ⅱ" 2012

      9 한용원, "창군과 국군의 정통성" 1993

      10 한용원, "창군" 박영사 1984

      11 김정명, "조선독립운동 Ⅱ" 1967

      12 박성수, "의병, 독립군, 광복군-그 연속성 문제" 1993

      13 육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 50년사" 1996

      14 서중석, "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 역사와 비평사 2001

      15 한용원, "신흥무관학교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출신 독립운동가들" 2012

      16 박환, "신흥무관학교 주요 간부와 졸업생의 민족운동" 2012

      17 한시준, "신흥무관학교 이후 독립군 군사간부 양성" 백산학회 (100) : 457-492, 2014

      18 한시준, "신흥무관학교 이후 독립군 군사간부 양성" 2011

      19 국사편찬위원회, "신한국사 48" 2001

      20 윤대원, "상해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21 이광린, "미국군사교관의 초빙과 연무공원" 진단학회 28 : 1965

      22 정토웅, "미 군정과 조선 경비대" 1993

      23 한시준, "몽호(夢乎)황학수(黃學秀)의 생애와 독립운동" 53 : 1998

      24 "독립신문(1920.6.10, 1920.3.23, 1921.1.1, 1921.2.25.)"

      25 군사편찬연구소, "독립군과 광복군 그리고 국군" 2017

      26 김삼웅,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와 신흥무관학교" 2011

      27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9 : 군무부" 2006

      28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1 : 관련단체Ⅰ" 2009

      29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 Ⅰ : 상해 시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30 신용옥, "대한민국 제헌헌법과 ‘건국절’ 논란-헌법 전문과 중앙정부론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65) : 481-526, 2016

      31 한시준,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령집" 국가보훈처 1999

      32 한용원, "대한민국 국군의 창설과 신흥무관학교의 정통성 계승" 2011

      33 제성호, "건국절 제정의 타당성과 추진방안" 법학연구원 39 (39): 193-221, 2015

      34 이완범, "건국 기점 논쟁: 1919년설과 1948년설의 양립"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3 (33): 71-90, 2009

      35 한용진, "개항 이후 사관양성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사학회 28 (28): 2001

      36 이현희, "大韓民國 臨時政府史" 집문당 1982

      37 한규무, "《도인권(都寅權) 선생의 기록》 해제" 22 : 2005

      38 정경현, "‘한국군의 정통성’ 논의에 대한 개념적 검토" 1993

      39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제1권 : 전쟁의 배경과 원인" 2004

      40 신효승, "20세기 초 국제 정세 변동과 한인 무장 독립운동" 연세대학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
      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