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전통적 전쟁에 관한 연구 - 정치 ․ 사회적 비대칭 전략을 중심으로 - = Understanding of Non-Traditional War - Focusing on political and social asymmetric strategi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ost-colonial era and post-Cold War era, Non-Traditional war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ars centered on state actors after the Treaty of Westphalia emerged. Unconventional wars have been mainly in the form of non-regular warfare, and have shown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war activities by non-state actors, attacks against civilians (facilities), and various cruelties.
      Many political and war scholars have studied unconventional wars, and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effort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is peculiar phenomenon such as the fourth generation warfare and New War. The concept of the fourth generation warㆍNew War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plains the features of the non-traditional war and forms the discourse for it, but many criticisms have been rais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estion of “what part of the non-traditional war called the so-called fourth generation war or the new war is different from the primitive and barbaric wars of the past and what strategies are the actors pursuing?”. When I comprehensively compared and examined the views of non-traditional researchers, I found that the majority of scholas has viewed non-traditional wars as irregualar warfare or insurgency.
      I argued that “Non-Traditional War destroys the enemy’s wiil to fight by pursuing political and social asymmetric strategy based on the advantage of legitimacy'. In order to establish hypothesis, I reviewed the views of the former researchers comprehensively and presented hypothesis and the framework of analysis by comparing the fourth generation warfare and the new war strategy in chapter 2. In Chapter 3, I compared and examined the case of Mao's revolutionary war, the South Korea Labor Party & partisan, and the Iraq War in order to confirm the hypothesis.
      번역하기

      In the post-colonial era and post-Cold War era, Non-Traditional war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ars centered on state actors after the Treaty of Westphalia emerged. Unconventional wars have been mainly in the form of non-regular warfare,...

      In the post-colonial era and post-Cold War era, Non-Traditional war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ars centered on state actors after the Treaty of Westphalia emerged. Unconventional wars have been mainly in the form of non-regular warfare, and have shown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war activities by non-state actors, attacks against civilians (facilities), and various cruelties.
      Many political and war scholars have studied unconventional wars, and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effort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is peculiar phenomenon such as the fourth generation warfare and New War. The concept of the fourth generation warㆍNew War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plains the features of the non-traditional war and forms the discourse for it, but many criticisms have been rais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estion of “what part of the non-traditional war called the so-called fourth generation war or the new war is different from the primitive and barbaric wars of the past and what strategies are the actors pursuing?”. When I comprehensively compared and examined the views of non-traditional researchers, I found that the majority of scholas has viewed non-traditional wars as irregualar warfare or insurgency.
      I argued that “Non-Traditional War destroys the enemy’s wiil to fight by pursuing political and social asymmetric strategy based on the advantage of legitimacy'. In order to establish hypothesis, I reviewed the views of the former researchers comprehensively and presented hypothesis and the framework of analysis by comparing the fourth generation warfare and the new war strategy in chapter 2. In Chapter 3, I compared and examined the case of Mao's revolutionary war, the South Korea Labor Party & partisan, and the Iraq War in order to confirm the hypothe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탈식민지ㆍ탈냉전 시대에 접어들면서 베스트 팔렌조약 이후로 확립된 국가 행위자 중심의 전통적 전쟁과 차별된 비전통적 전쟁(Non-Traditional War)이 등장하였다. 비전통적 전쟁은 주로 비정규전의 양상을 보이며, 비국가 행위자의 적극적인 전쟁활동, 민간인(시설)을 대상으로 한 공격, 각종 잔혹행위 등과 같은 특이점들을 보였다.
      많은 정치ㆍ전쟁학자들이 비전통적 전쟁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4세대 전쟁학파와 새로운 전쟁학파를 중심으로 이 특이한 현상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4세대 전쟁ㆍ새로운 전쟁의 개념은 비전통적 전쟁의 특징들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담론의 장을 형성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지만, 많은 비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른바 4세대 전쟁 또는 새로운 전쟁으로 불리우는 비전통적 전쟁이 과거의 원시적ㆍ야만적인 전쟁들과 차별되는 부분은 무엇이며, 행위자들이 추구하는 전략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시작되었다. 비전통적 연구자들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비교ㆍ검토해보았을 때, 대다수가 비전통적 전쟁을 비대칭전 또는 분란전의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논문은 ‘비전통적 전쟁은 정당성의 우위를 바탕으로 정치ㆍ사회적 비대칭 전략을 추구함으로써 상대방의 의지를 파괴하는 전쟁이다’ 라는 연구가설에 대한 논증이다. 가설의 수립을 위해 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기존연구자들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4세대 전쟁과 새로운 전쟁 전략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가설과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가설의 확증을 위해 모택동의 혁명전쟁, 남로당과 빨치산 사례, 이라크 전쟁의 사례 비교ㆍ검토하였다.
      번역하기

      탈식민지ㆍ탈냉전 시대에 접어들면서 베스트 팔렌조약 이후로 확립된 국가 행위자 중심의 전통적 전쟁과 차별된 비전통적 전쟁(Non-Traditional War)이 등장하였다. 비전통적 전쟁은 주로 비정규...

      탈식민지ㆍ탈냉전 시대에 접어들면서 베스트 팔렌조약 이후로 확립된 국가 행위자 중심의 전통적 전쟁과 차별된 비전통적 전쟁(Non-Traditional War)이 등장하였다. 비전통적 전쟁은 주로 비정규전의 양상을 보이며, 비국가 행위자의 적극적인 전쟁활동, 민간인(시설)을 대상으로 한 공격, 각종 잔혹행위 등과 같은 특이점들을 보였다.
      많은 정치ㆍ전쟁학자들이 비전통적 전쟁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4세대 전쟁학파와 새로운 전쟁학파를 중심으로 이 특이한 현상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4세대 전쟁ㆍ새로운 전쟁의 개념은 비전통적 전쟁의 특징들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담론의 장을 형성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지만, 많은 비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른바 4세대 전쟁 또는 새로운 전쟁으로 불리우는 비전통적 전쟁이 과거의 원시적ㆍ야만적인 전쟁들과 차별되는 부분은 무엇이며, 행위자들이 추구하는 전략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시작되었다. 비전통적 연구자들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비교ㆍ검토해보았을 때, 대다수가 비전통적 전쟁을 비대칭전 또는 분란전의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논문은 ‘비전통적 전쟁은 정당성의 우위를 바탕으로 정치ㆍ사회적 비대칭 전략을 추구함으로써 상대방의 의지를 파괴하는 전쟁이다’ 라는 연구가설에 대한 논증이다. 가설의 수립을 위해 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기존연구자들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4세대 전쟁과 새로운 전쟁 전략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가설과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가설의 확증을 위해 모택동의 혁명전쟁, 남로당과 빨치산 사례, 이라크 전쟁의 사례 비교ㆍ검토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만, "현대 비정규전 개념 범주에 관한 고찰"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3 (53): 47-70, 2010

      2 이선아, "한국전쟁 전후 빨찌산의 형성과 활동" 역사학연구소 (13) : 155-188, 2003

      3 박명림, "한국 1950 전쟁과 평화" 나남 2009

      4 서진영, "중국혁명사" 도서출판 한울 1992

      5 이수형, "제4세대 전쟁의 등장과 한국의 대응방안 : 비대칭 위협을 중심으로" 2001

      6 김재엽, "제4세대 전쟁: 미래전과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 신아시아연구소 17 (17): 162-191, 2010

      7 이관후, "정치적 정당성의 기초에 대한 비판적 검토: 법, 동의, 정의, 토의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소 8 (8): 97-123, 2015

      8 칼 폰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책세상 1998

      9 정관호, "전남 유격투쟁사" 선인 2008

      10 손석현, "이라크전쟁과 안정화작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4

      1 이성만, "현대 비정규전 개념 범주에 관한 고찰"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3 (53): 47-70, 2010

      2 이선아, "한국전쟁 전후 빨찌산의 형성과 활동" 역사학연구소 (13) : 155-188, 2003

      3 박명림, "한국 1950 전쟁과 평화" 나남 2009

      4 서진영, "중국혁명사" 도서출판 한울 1992

      5 이수형, "제4세대 전쟁의 등장과 한국의 대응방안 : 비대칭 위협을 중심으로" 2001

      6 김재엽, "제4세대 전쟁: 미래전과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 신아시아연구소 17 (17): 162-191, 2010

      7 이관후, "정치적 정당성의 기초에 대한 비판적 검토: 법, 동의, 정의, 토의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소 8 (8): 97-123, 2015

      8 칼 폰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책세상 1998

      9 정관호, "전남 유격투쟁사" 선인 2008

      10 손석현, "이라크전쟁과 안정화작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4

      11 이근욱, "이라크 전쟁" 한울아카데미 2011

      12 중앙일보, "여순 사건 좌파 폭력에 우익 피의 보복...‘반공’ 뿌리내리는 계기로"

      13 매리 캘도어, "새로운 전쟁과 낡은 전쟁" 그린비 2010

      14 박창희, "비대칭 전략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국방연구원 24 (24): 177-205, 2008

      15 모택동, "모택동의 군사전략" 중문출판사 1994

      16 모택동, "모택동의 군사전략" 중문출판사 1994

      17 손석현, "대반란전 사례연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6

      18 이태, "남부군" 두레 2014

      19 박창희, "군사전략론 : 국가전략과 작전술의 원천" 플래닛미디어 2013

      20 국방군사연구소, "中國人民解放軍史" 국방군사연구소 1998

      21 Bennett Bruce, "What are asymmetric strategies?" RAND 1999

      22 William S. Lind, "The Changing Face of War : Into the Fourth Generation" 1989

      23 Kiras James D, "Strategy in the contemporary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4 Lykke Jr, Arthur F, "Military Strategy : Theory and Application" U.S. Army War College 1989

      25 Snow, Donald M, "Making Twenty-First-Century Strategy" Air University Press 2006

      26 "JP 3-24, Counterinsurgency"

      27 US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Global Trends : Paradox of Progress"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2017

      28 "FM 3-24/MCWP 3-33.5, Insurgencies and Conutering Insurgencies"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 Headquarters Marine Corps combat Development Command 2014

      29 조한승, "4세대 전쟁의 이론과 실제: 분란전(insurgency)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0 (50): 217-240, 2010

      30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 대사전" 아카데미아리서치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
      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