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의 對 한반도 전략분석과 함의 (청·일전쟁기 일본의 군사전략수립과정을 중심으로) = Implications of Japan's Korean Peninsula srt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Japan's the military chrysanthemum in Japan is accelerating the concem about the Jeong-han, which was discussed in the past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ense, regardless of our will, examining the Sino-Japanese War that took pl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9th century is meaningful in that it indirectly confirms Japan's strategy for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past. This thesis is based on the diplomatic and military documents published by Japan focusing on the historical approach of the Sino-Japanese War, but it i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at comprehensively uses the documents mentioning them in the objective standpoint, published papers and seminar materials Respectively.
      The collected reference data were used ot derive implications for Japan's strategy for the Korean peninsula by analyzing the security environment evaluation, strategic objectives, concepts, resources and means and risk factors selected through various strategy selection method models as independent variables. Japan resolves the war when the influence of the Korean peninsula Qing Dynasty is increased, which should be dominated by geopolitic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for their survival. For this purpose, Japan's strategy for the Korean peninsula is to secure international legitimacy so that it can intervene at any time in the pre-war period and to tak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execution of war by taking over Gyeongbok Palace, a decisive center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inland area, it was necessary to separate enemies from each other and defeat each other, and to secure an important terrain for blocking the reinforcement of the Korean peninsula. Japan's strateg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in the same direction, and it is very valuable to us especially considering the current security environment in East Asia.
      번역하기

      Recently, Japan's the military chrysanthemum in Japan is accelerating the concem about the Jeong-han, which was discussed in the past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ense, regardless of our will, examining the Sino-Japanese War that took place on th...

      Recently, Japan's the military chrysanthemum in Japan is accelerating the concem about the Jeong-han, which was discussed in the past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ense, regardless of our will, examining the Sino-Japanese War that took pl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9th century is meaningful in that it indirectly confirms Japan's strategy for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past. This thesis is based on the diplomatic and military documents published by Japan focusing on the historical approach of the Sino-Japanese War, but it i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at comprehensively uses the documents mentioning them in the objective standpoint, published papers and seminar materials Respectively.
      The collected reference data were used ot derive implications for Japan's strategy for the Korean peninsula by analyzing the security environment evaluation, strategic objectives, concepts, resources and means and risk factors selected through various strategy selection method models as independent variables. Japan resolves the war when the influence of the Korean peninsula Qing Dynasty is increased, which should be dominated by geopolitic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for their survival. For this purpose, Japan's strategy for the Korean peninsula is to secure international legitimacy so that it can intervene at any time in the pre-war period and to tak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execution of war by taking over Gyeongbok Palace, a decisive center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inland area, it was necessary to separate enemies from each other and defeat each other, and to secure an important terrain for blocking the reinforcement of the Korean peninsula. Japan's strateg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in the same direction, and it is very valuable to us especially considering the current security environment in East As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일본의 군사대국화는 과거 한반도에 대한 공략논(攻略論)으로 논의 되었던 정한론에 대한 우려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19세기 한반도에서 일어났던 청·일전쟁을 살펴보는 것은 과거를 통해 현재 일본의 한반도 전략을 간접 확인해 본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방법론적으로는 청·일전쟁이라는 역사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일본이 공개한 외교 및 군사문서를 기초로 하되 객관적 입장에서 이를 언급한 문헌과 발표된 논문 및 세미나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문헌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집된 참고자료는 여러 전략선택방법 모델을 통해 선정한 안보환경평가와 전략목표 및 개념, 자원 및 수단 그리고 위험(risk)요인을 독립변수로 분석하여 일본의 한반도 전략과 함의를 도출하였다.
      일본은 지정학적으로 경제적으로 정치적으로 그들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장악되어야 할 한반도에 청나라의 영향력이 증대되자 전쟁을 결심한다. 이를 위한 일본의 한반도 전략은 전쟁이전 단계에서 언제든지 군사적 개입이 가능토록 국제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한반도에 있어 결정적 중심(中心)인 경복궁을 점령함으로써 전쟁수행을 위한 유리한 여건을 조성한 다음 전쟁실시단계에서는 제해권을 확보하고 내륙에서는 적을 분리하여 내선에서 각개 격파한 후 한반도 증원 차단을 위한 유리한 지형을 확보함으로써 협상에 유리한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한반도가 그들의 통제 가능한 범위에 있어야 한다는 일본의 대 한반도 전략은 현재도 그 맥을 같이 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의 동아시아의 안보환경을 고려한다면 우리에게 매우 귀중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최근 일본의 군사대국화는 과거 한반도에 대한 공략논(攻略論)으로 논의 되었던 정한론에 대한 우려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19세기 한반도에서 일...

      최근 일본의 군사대국화는 과거 한반도에 대한 공략논(攻略論)으로 논의 되었던 정한론에 대한 우려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19세기 한반도에서 일어났던 청·일전쟁을 살펴보는 것은 과거를 통해 현재 일본의 한반도 전략을 간접 확인해 본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방법론적으로는 청·일전쟁이라는 역사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일본이 공개한 외교 및 군사문서를 기초로 하되 객관적 입장에서 이를 언급한 문헌과 발표된 논문 및 세미나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문헌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집된 참고자료는 여러 전략선택방법 모델을 통해 선정한 안보환경평가와 전략목표 및 개념, 자원 및 수단 그리고 위험(risk)요인을 독립변수로 분석하여 일본의 한반도 전략과 함의를 도출하였다.
      일본은 지정학적으로 경제적으로 정치적으로 그들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장악되어야 할 한반도에 청나라의 영향력이 증대되자 전쟁을 결심한다. 이를 위한 일본의 한반도 전략은 전쟁이전 단계에서 언제든지 군사적 개입이 가능토록 국제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한반도에 있어 결정적 중심(中心)인 경복궁을 점령함으로써 전쟁수행을 위한 유리한 여건을 조성한 다음 전쟁실시단계에서는 제해권을 확보하고 내륙에서는 적을 분리하여 내선에서 각개 격파한 후 한반도 증원 차단을 위한 유리한 지형을 확보함으로써 협상에 유리한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한반도가 그들의 통제 가능한 범위에 있어야 한다는 일본의 대 한반도 전략은 현재도 그 맥을 같이 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의 동아시아의 안보환경을 고려한다면 우리에게 매우 귀중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태진, "청일전쟁은 왜 한반도에서 일어나야 했는가" 29 : 1994

      2 왕현종,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 전략" 동북아역사재단 2009

      3 김경록,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경복궁 침략에 관한 군사사적 검토" 군사편찬연구소 2014

      4 후지무라 미치오, "청일전쟁" 소화 1997

      5 하라다 게이치, "청일러일전쟁" 어문학사 2013

      6 이종호, "청·일전쟁의 開戰원인과 청과 일본의 군사전략 비교연구" 한국동북아학회 20 (20): 27-50, 2015

      7 일본외무성, "주한일본공사관기록 4권" 일본국제연합협회 1963

      8 국방대학원, "일본의 대외 팽창정책과 전쟁지도" 1995

      9 후지와라 아키라, "일본군사사" 시사일본어사 1994

      10 시바류타로, "언덕 위의 구름" 명문각출판 1992

      1 양태진, "청일전쟁은 왜 한반도에서 일어나야 했는가" 29 : 1994

      2 왕현종,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 전략" 동북아역사재단 2009

      3 김경록,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경복궁 침략에 관한 군사사적 검토" 군사편찬연구소 2014

      4 후지무라 미치오, "청일전쟁" 소화 1997

      5 하라다 게이치, "청일러일전쟁" 어문학사 2013

      6 이종호, "청·일전쟁의 開戰원인과 청과 일본의 군사전략 비교연구" 한국동북아학회 20 (20): 27-50, 2015

      7 일본외무성, "주한일본공사관기록 4권" 일본국제연합협회 1963

      8 국방대학원, "일본의 대외 팽창정책과 전쟁지도" 1995

      9 후지와라 아키라, "일본군사사" 시사일본어사 1994

      10 시바류타로, "언덕 위의 구름" 명문각출판 1992

      11 앤드루존스, "세계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동녘 2012

      12 박영준, "명치시대 일본군대의 형성과 팽창" 국방군사연구소 1997

      13 야마무로 신이치, "러일전쟁의 세기" 소화 2010

      14 위텐렌, "대본영의 참모들" 나남천서 2014

      15 야마다 아키라, "군비확장의 근대사" 吉川弘文官 1997

      16 陸戰學會戰史部會, "近代戰爭史 槪說" 陸戰學會 1997

      17 "朝鮮王朝實錄, 고종실록"

      18 국방정보본부, "2014년 일본 방위백서" 국방정보본부 일본동남아과 2014

      19 나카츠가 아키라, "1894년, 경복궁을 점령하라" 푸른역사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
      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