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양 섭입판 내부의 응력 분포와 열적 구조 진화에 대한 연구 : 2차원 점탄성 구조역학 관점에서 = Evoultion[i.e. Evolution] process of stress distribution and thermal structure in oceanic subducting plate using 2D finite element method : in a framework of viscoelastic structural mechan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6492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대학원 , 지구물리학과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451 판사항(6)

      • DDC

        55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 57장 : 삽화, 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소병달
        참고문헌: 장 45-54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치 모사 기법을 이용한 해양 섭입판의 진화 과정 규명 연구는 지난 반세기 동안 지속되었다. 지진파 단층촬영 연구에서 제시된 현생 섭입대의 지표면과 하부의 다양한 형상이 만들어진 과정을 재현하는 것은 수치 모사가 적합하기 때문이다.
      섭입대 수치 모사에는 다양한 접근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해양 섭입판을 점탄성 고체로 가정하고 완전-라그랑지안(Fully-Lagrangian)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을 바탕으로 한 대변형 모사가 가능한 수치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치 모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슬랩의 하강속도가 해양 암석권과 맨틀의 밀도차가 80 일 때, 약 4.2 이고, 열적 구조 또한 슬랩의 중앙에서 100 이상의 차가운 부분을 얻었고, 이는 기존 연구와 유사함을 확인 하였다.
      나아가 해령 밀기와 자체 중력에 의한 힘이 동시에 작용하는 자유 섭입 모형을 개발하여, 해령 밀기 속도가 5 일 때, 슬랩의 하부 힌지에서의 응력이 2.2까지 집중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슬랩 내부의 점성도 구조를 고려하기 위하여 깊이와 온도 따른 슬랩 내의 점성도를 반영하였다. 슬랩의 중앙 부분에서 최대 을 얻었고, 맨틀과 인접한 슬랩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최소 의 값을 얻었다. 이를 통해 초기 해양 암석권의 전단 강도를 제시하였다.
      섭입판의 응력 분포로부터 얻어진 섭입판 내부의 전단열(Shear heating) 분포를 계산하여, 강한 응력이 집중되는 슬랩의 하부 힌지(hinge) 부분에서 최대 의 전단열이 뚜렷하게 발생하였다. 전단열은 탈수작용에 의한 취성화(Dehydration embrittlement), 상변화에 의한 단층작용(Transformational faulting)과 함께 매우 깊은 심도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대한 주요 발생기작 중 하나임을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어 왔다. 또한 2015년 5월 30일에 발생한 규모 7.9의 오가사와라(Ogasawara)지진의 진원은 여러 지진파 단층촬영 연구와 진원 기구(Focal mechanism) 연구들에서 슬랩의 하부 힌지에 위치함을 지시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얻어진 슬랩 내부의 전단열 분포는 이 지진의 발생기작의 가능성으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수치 모사 기법을 이용한 해양 섭입판의 진화 과정 규명 연구는 지난 반세기 동안 지속되었다. 지진파 단층촬영 연구에서 제시된 현생 섭입대의 지표면과 하부의 다양한 형상이 만들어진 과...

      수치 모사 기법을 이용한 해양 섭입판의 진화 과정 규명 연구는 지난 반세기 동안 지속되었다. 지진파 단층촬영 연구에서 제시된 현생 섭입대의 지표면과 하부의 다양한 형상이 만들어진 과정을 재현하는 것은 수치 모사가 적합하기 때문이다.
      섭입대 수치 모사에는 다양한 접근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해양 섭입판을 점탄성 고체로 가정하고 완전-라그랑지안(Fully-Lagrangian)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을 바탕으로 한 대변형 모사가 가능한 수치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치 모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슬랩의 하강속도가 해양 암석권과 맨틀의 밀도차가 80 일 때, 약 4.2 이고, 열적 구조 또한 슬랩의 중앙에서 100 이상의 차가운 부분을 얻었고, 이는 기존 연구와 유사함을 확인 하였다.
      나아가 해령 밀기와 자체 중력에 의한 힘이 동시에 작용하는 자유 섭입 모형을 개발하여, 해령 밀기 속도가 5 일 때, 슬랩의 하부 힌지에서의 응력이 2.2까지 집중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슬랩 내부의 점성도 구조를 고려하기 위하여 깊이와 온도 따른 슬랩 내의 점성도를 반영하였다. 슬랩의 중앙 부분에서 최대 을 얻었고, 맨틀과 인접한 슬랩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최소 의 값을 얻었다. 이를 통해 초기 해양 암석권의 전단 강도를 제시하였다.
      섭입판의 응력 분포로부터 얻어진 섭입판 내부의 전단열(Shear heating) 분포를 계산하여, 강한 응력이 집중되는 슬랩의 하부 힌지(hinge) 부분에서 최대 의 전단열이 뚜렷하게 발생하였다. 전단열은 탈수작용에 의한 취성화(Dehydration embrittlement), 상변화에 의한 단층작용(Transformational faulting)과 함께 매우 깊은 심도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대한 주요 발생기작 중 하나임을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어 왔다. 또한 2015년 5월 30일에 발생한 규모 7.9의 오가사와라(Ogasawara)지진의 진원은 여러 지진파 단층촬영 연구와 진원 기구(Focal mechanism) 연구들에서 슬랩의 하부 힌지에 위치함을 지시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얻어진 슬랩 내부의 전단열 분포는 이 지진의 발생기작의 가능성으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umerical simulations to investigate the evolution process for oceanic subducting plate have been carried out over the last half century. Because the numerical simulations are suitable to reproduce that various shapes of present-day subduction zones suggested in seismic tomography research.
      There are various approaches to numerical simulations of subduction zones, but in this study, numerical models are developed that can simulate large deformation based on the Fully-Lagrangian finite element method, assuming that the oceanic subducting plate is a viscoelastic solid.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free subduction model, compared with previous study. The model confirmed the sinking velocity of the slab was about 4.2 when the density difference of the oceanic lithosphere and the mantle was 80 . Also, the model confirmed that the center of the slab was cooler than the adjacent upper mantle (more than 100K).
      In the free subduction model with ridge push effect, stress at the lower hinge of the slab is concentrated up to 2.2 when the horizontal kinematic boundary condition is 5 .
      Furthermore, the free subduction model reflected the viscosity with the depth and temperature in the slab to take into account the viscosity structure inside the realistic slab. A maximum of was obtained at the center of the slab and a minimum of at the edge of the slab adjacent to the mantle. This viscosity structure suggested the shear strength of the early oceanic lithosphere and interior of slab during subducting process.
      Shear heating up to was distinctly generated in the lower hinge of the slab where strong stress was concentrated by calculating the shear heating from the stress distribution inside slab.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shear heating is one of the major mechanisms for deep-focus earthquakes, with dehydration embrittlement and transformational faulting due to phase changes.
      In addition, since the epicenter of the Ogasawara earthquake of Mw 7.9 on May 30, 2015 is suggested to be located in the lower hinge of the slab in several seismic tomography and focal mechanism studies, The distribution of shear heating inside the slab can be suggested as the possibility of mechanism of this earthquake.
      번역하기

      Numerical simulations to investigate the evolution process for oceanic subducting plate have been carried out over the last half century. Because the numerical simulations are suitable to reproduce that various shapes of present-day subduction zones s...

      Numerical simulations to investigate the evolution process for oceanic subducting plate have been carried out over the last half century. Because the numerical simulations are suitable to reproduce that various shapes of present-day subduction zones suggested in seismic tomography research.
      There are various approaches to numerical simulations of subduction zones, but in this study, numerical models are developed that can simulate large deformation based on the Fully-Lagrangian finite element method, assuming that the oceanic subducting plate is a viscoelastic solid.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free subduction model, compared with previous study. The model confirmed the sinking velocity of the slab was about 4.2 when the density difference of the oceanic lithosphere and the mantle was 80 . Also, the model confirmed that the center of the slab was cooler than the adjacent upper mantle (more than 100K).
      In the free subduction model with ridge push effect, stress at the lower hinge of the slab is concentrated up to 2.2 when the horizontal kinematic boundary condition is 5 .
      Furthermore, the free subduction model reflected the viscosity with the depth and temperature in the slab to take into account the viscosity structure inside the realistic slab. A maximum of was obtained at the center of the slab and a minimum of at the edge of the slab adjacent to the mantle. This viscosity structure suggested the shear strength of the early oceanic lithosphere and interior of slab during subducting process.
      Shear heating up to was distinctly generated in the lower hinge of the slab where strong stress was concentrated by calculating the shear heating from the stress distribution inside slab.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shear heating is one of the major mechanisms for deep-focus earthquakes, with dehydration embrittlement and transformational faulting due to phase changes.
      In addition, since the epicenter of the Ogasawara earthquake of Mw 7.9 on May 30, 2015 is suggested to be located in the lower hinge of the slab in several seismic tomography and focal mechanism studies, The distribution of shear heating inside the slab can be suggested as the possibility of mechanism of this earthquak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연구 배경 1
      • Ⅱ. 연구 방법 5
      • 1. 유한요소법 5
      • 1) 유한요소법 개요 5
      • I. 연구 배경 1
      • Ⅱ. 연구 방법 5
      • 1. 유한요소법 5
      • 1) 유한요소법 개요 5
      • 2) 갤러킨 법(Galerkin Method) 7
      • 2. 수치 모형 17
      • 1) 맥스웰 점탄성 물질(Maxwell viscoelastic material) 17
      • 2) 수치 모형 구성 21
      • 3) 윈클러 파운데이션(Winkler foundation) 23
      • 4) 지배방정식 25
      • Ⅲ. 연구 결과 28
      • 1. 동역학적 결과 28
      • 1) 순수 자유 섭입 모형 28
      • 2) 해령밀기와 자체 중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자유 섭입 모형 31
      • 3) 상부 맨틀의 점성도 증가와 섭입판의 응력 분포의 상관관계 34
      • 2. 열역학적 결과 36
      • 3. 슬랩 내부의 전단열 분포 40
      • IV. 토 의 42
      • 1. 심발지진에 대한 지구동역학적 함의 42
      • Ⅴ. 결 론 44
      • 참고문헌 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