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차시 기반 중재반응모델(Session-Base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을 적용한 수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동분모 분수 덧셈과 뺄셈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해당 학년 수학 교육과정 성취 기준 도달 및 학급 내 학생 간 성취도 격차 완화를 위하여, 차시 기반 중재반응모델(Session-Base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동분모 덧셈과 뺄셈 성취도 및 성취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성취도 격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이며 단일대상연구방법 중 AB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성취 집단과 수학 학습지원대상 집단의 동분모 분수 덧셈과 뺄셈 성취도가 향상되었으며,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둘째, 일반성취 집단과 수학 학습지원대상 집단 간 성취도 격차가 감소하였다. 셋째, 수학 학습지원대상학생 모두 개인별 동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 성취도가 향상되었으며,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결론 및 논의: 차시 기반 중재반응모델은 일반성취 집단과 수학 학습지원대상 집단의 동분모 분수 덧셈과 뺄셈 성취도 향상 및 두 집단 간 성취도 격차 감소에 효과적이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구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초학력 지원 체계가 될 수 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해당 학년 수학 교육과정 성취 기준 도달 및 학급 내 학생 간 성취도 격차 완화를 위하여, 차시 기반 중재반응모델(Session-Base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을 설계...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해당 학년 수학 교육과정 성취 기준 도달 및 학급 내 학생 간 성취도 격차 완화를 위하여, 차시 기반 중재반응모델(Session-Base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동분모 덧셈과 뺄셈 성취도 및 성취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성취도 격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이며 단일대상연구방법 중 AB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성취 집단과 수학 학습지원대상 집단의 동분모 분수 덧셈과 뺄셈 성취도가 향상되었으며,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둘째, 일반성취 집단과 수학 학습지원대상 집단 간 성취도 격차가 감소하였다. 셋째, 수학 학습지원대상학생 모두 개인별 동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 성취도가 향상되었으며,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결론 및 논의: 차시 기반 중재반응모델은 일반성취 집단과 수학 학습지원대상 집단의 동분모 분수 덧셈과 뺄셈 성취도 향상 및 두 집단 간 성취도 격차 감소에 효과적이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구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초학력 지원 체계가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 mathematics program based on the Session-Base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S-RTI) model on the achievement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lving addition and subtraction problems with fractions of like denominators, with a focus on reducing the achievement gap between different student group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urth-grade class in a general elementary school in Seoul, South Korea. An AB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Results: First, both the general achievement group and the mathematics support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lving addition and subtraction problems with like denominators, with these gains being sustained over time. Second, the achievement gap between the general achievement group and the mathematics support group was noticeably reduced. Finally, all students in the mathematics support group showed measurable and sustained improvement in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Conclusion: The Session-Based RTI model effectively enhanced the performance of students requiring math support in solving fraction problems while also reducing the achievement gap with their peers. These findings highlight its potential as an efficient foundational math support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in school.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 mathematics program based on the Session-Base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S-RTI) model on the achievement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lving addition and subtraction problems with fr...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 mathematics program based on the Session-Base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S-RTI) model on the achievement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lving addition and subtraction problems with fractions of like denominators, with a focus on reducing the achievement gap between different student group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urth-grade class in a general elementary school in Seoul, South Korea. An AB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Results: First, both the general achievement group and the mathematics support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lving addition and subtraction problems with like denominators, with these gains being sustained over time. Second, the achievement gap between the general achievement group and the mathematics support group was noticeably reduced. Finally, all students in the mathematics support group showed measurable and sustained improvement in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Conclusion: The Session-Based RTI model effectively enhanced the performance of students requiring math support in solving fraction problems while also reducing the achievement gap with their peers. These findings highlight its potential as an efficient foundational math support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in schoo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