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성성분이 술어로 쓰인 구문은 다양하지만, 명사성성분이 술어로 기능하는 전형성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았다. 명사성성분이 술어성을 갖는지의 여부는 일도양단할 수 있는 것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명사성성분이 술어로 쓰인 구문은 다양하지만, 명사성성분이 술어로 기능하는 전형성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았다. 명사성성분이 술어성을 갖는지의 여부는 일도양단할 수 있는 것이 ...
명사성성분이 술어로 쓰인 구문은 다양하지만, 명사성성분이 술어로 기능하는 전형성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았다.
명사성성분이 술어성을 갖는지의 여부는 일도양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명사의 의미적, 구조적 특징에 따라 일련의 연속된 특징을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명사성성분이 술어로 기능하는 경우는 ‘是’의 부가는 불필요하다. 부가되면 대조, 확인의 의미를 나타낸다. 음성적으로는 주어의 뒤에 긴 휴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의미적으로는 수량표현이 가장 전형적이고 그 다음으로는 주어의 속성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구조적으로는 단순명사구조보다 앞에 수식어가 오는 경우가 많다.
명사성성부이 술어로 기능하나 그 기능이 전형적인 술어로 보이지 않는 경우는 주어와 술어의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긴 휴지가 와서 술어의 진입을 나타내주며, 적절한 ‘동사’가 부가될 수 있다. 언어맥락의 도움으로 청자가 충분히 추론해낼 수 있는 경우에 쓰일 수 있다. 명사가 단독으로 술어가 될 수 없는 경우, 어기사의 도움을 받아 속성이나 변화를 나타낼 수 있으며 변화의 의미를 나타내게 된다
명사의 의미적인 특징이 그의 서술성을 결정하는 관건이지만, 구조적 특징, 음성적 특징도 함께 수반된다.
국문 초록 (Abstract)
I.연구목적 III.연구내용 1.기존연구에 대한 분석과 비판 2.언어 자료의 수집,분석 3.명사성 성분이 수량을 표현하는 경우 4.술어가 속성을 나타내는 경우 5.다양한 ...
I.연구목적
III.연구내용
1.기존연구에 대한 분석과 비판
2.언어 자료의 수집,분석
3.명사성 성분이 수량을 표현하는 경우
4.술어가 속성을 나타내는 경우
5.다양한 동사가 생략된 경우
5.1.‘처소+존재물’의 어순
5.2.주어와 술어가 모두 수량표현이 있는 경우
6.문미에 ‘了’가 오는 경우
6.1.명사+了
6.2.시단+了
7.문미에 ‘的’가 오는 경우
7.1.‘명사성성분+的’
7.음성분석
8.나오면서
IV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V.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