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간 고용 성과 격차에 관한 연구 = Regional Disparities in Employment Performanc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4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지역 간 고용 격차의 지속성과 원인에 관한 여러 쟁점들을 살펴보고 이에 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다. 지역 간 고용 격차의 지속성, 격차의 조정메...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지역 간 고용 격차의 지속성과 원인에 관한 여러 쟁점들을 살펴보고 이에 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다. 지역 간 고용 격차의 지속성, 격차의 조정메커니즘, 격차의 원인 등을 분석한 결과, 고용증가에서의 지역 간 격자는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실업률과 임금률의 지역 간 격자 구조는 단기적으로는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간 격자의 조정메커니즘은 단기적으로는 지역 내 실업률이나 임금률의 조정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장기적으로는 지역 간 이동으로 조정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지역의 고용증가는 지역의 산업구조적 요인보다는 지역 특수 요인에 의해서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되었으며 지역의 실업률이나 고용률은 지역의 인구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diverse issues concerning regional employment disparitie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doing additional empirical analyses. As empirical foundations of regional policies, persistence of regional employment disparities, regio...

      This paper deals with diverse issues concerning regional employment disparitie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doing additional empirical analyses. As empirical foundations of regional policies, persistence of regional employment disparities, regional labor market adjustment mechanism, causes of regional employment disparities are examined.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regional disparities in terms of employment growth persist while the structure of regional disparities in terms of unemployment rate and wage level has changed in the short run. The regional disparities are adjusted not by the changes in unemployment rate or wage level but by the internal migration between regions in the long run. The regional employment growth are affected not by industrial factors such as specialization in specific industries or industrial diversification but by region-specific factors. The regional disparities in unemployment rate and employment rate are more related with regional demographic factors. These research results, however, should be complemented or tested by more detailed data and elaborate methodol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고용 증가, 실업, 그리고 임금에서의 지역 간 격차와 지속성
      • Ⅲ. 지역 고용 변동과 실업, 노동시장참가, 그리고 임금의 관계
      • Ⅳ. 지역 간 고용 성과 격차의 설명 요인
      • 요약
      • Ⅰ. 머리말
      • Ⅱ. 고용 증가, 실업, 그리고 임금에서의 지역 간 격차와 지속성
      • Ⅲ. 지역 고용 변동과 실업, 노동시장참가, 그리고 임금의 관계
      • Ⅳ. 지역 간 고용 성과 격차의 설명 요인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원, "한국의 지역노동시장 조정의 동학" 한국노동연구원 7 (7): 1-33, 2007

      2 이상호, "한국 지역노동시장의 구조와 동학에 관한 세 가지 연구" 경북대학교 2009

      3 전병유, "지역노동시장에서 일자리 변동과 노동이동" 한국사회경제학회 21 : 327-368, 2003

      4 오민홍, "지역 간 노동이동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1 (1): 87-104, 2007

      5 전병유, "우리나라의 지역 간 고용경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8) : 1-21, 2006

      6 강동희, "우리 나라 고용 변동의 지역간 파급효과: 4대 광역권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 9 (9): 171-191, 2000

      7 신동균, "실질임금의 경기변동상 변화패턴과 임금곡선" 한국노동경제학회 25 (25): 1-32, 2002

      8 김혜원, "노동시장 성과의 지역별 격차는 지속되는가" 한국노동연구원 11 : 3-18, 2005

      9 Blanchflower, David G., "Wage Curve" Mit Press 1994

      10 Elhorst, J.Paul., "The Mystery of Regional Unemployment Differentials: Theoretical And Empirical Explanations" 17 (17): 709-748, 2003

      1 김혜원, "한국의 지역노동시장 조정의 동학" 한국노동연구원 7 (7): 1-33, 2007

      2 이상호, "한국 지역노동시장의 구조와 동학에 관한 세 가지 연구" 경북대학교 2009

      3 전병유, "지역노동시장에서 일자리 변동과 노동이동" 한국사회경제학회 21 : 327-368, 2003

      4 오민홍, "지역 간 노동이동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1 (1): 87-104, 2007

      5 전병유, "우리나라의 지역 간 고용경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8) : 1-21, 2006

      6 강동희, "우리 나라 고용 변동의 지역간 파급효과: 4대 광역권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 9 (9): 171-191, 2000

      7 신동균, "실질임금의 경기변동상 변화패턴과 임금곡선" 한국노동경제학회 25 (25): 1-32, 2002

      8 김혜원, "노동시장 성과의 지역별 격차는 지속되는가" 한국노동연구원 11 : 3-18, 2005

      9 Blanchflower, David G., "Wage Curve" Mit Press 1994

      10 Elhorst, J.Paul., "The Mystery of Regional Unemployment Differentials: Theoretical And Empirical Explanations" 17 (17): 709-748, 2003

      11 Jacobs, J., "The Economy of Cities" Random House 1969

      12 Arrow, Kenneth J.,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Learning by Doing" 29 : 155-173, 1962

      13 Decressin, J., "Regional labour Market Dynamics in Europe" 39 : 1627-1655, 1995

      14 Blanchard, O., "Regional Evolution" 1 : 1-75, 1992

      15 Marshall, A., "Principles of economics" Macmillan 1890

      16 Choy, W.K., "Modelling Regional Labour Market Adjustment in New Zealand" New Zealand Treasury 2002

      17 Peri, G., "Lo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in Italian cities and provinces: 1961-1991"

      18 Debelle, G., "Labour Market Adjustment: Evidence on Interstate Mobility" 3 : 249-263, 1999

      19 Henderson, J., "Industrial Development in cities" 103 : 1067-1090, 1995

      20 Romer, Paul. M., "Increasing Returins and Long-Run Growth" 994 : 1002-1037, 1986

      21 OECD, "How Persistent are Regional Disparities in Employment"

      22 Glaeser, E., "Growth in cities" 100 : 1126-1152, 1992

      23 Nahuis, R., "Factor Mobility and Regional Disparities: East, West, Home's Best?" University of East Anglia

      24 Combes P., "Economic Structure and Local Growth: France 1984-1993" 47 : 329-355, 2000

      25 Duranton, Gilles., "Diversity and specialisation in cities: Why, where and when does it matter?”" University of Toronto, Department of Economics 1999

      26 OECD, "Disparities in Regional Labour Marke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민경제학회 -> 한국경제통상학회
      영문명 : The Korean National Economic Association -> The Korean Economic and Business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46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2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