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忠州高句麗碑>의 건립 목적과 배경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의 연구에서 비문의 ‘5月中’ 이하의 기록은 양국 군주의 會盟에 관한 내용이라 보아 왔다. 그러나 그렇게 판단할 수 있는, 회동의 구체적 장면이나 논의 내용은 보이질 않는다. 대신 이 회합에 후속한 부대행사였을 衣服 賜與의 장면들만이 자세히 기재되고 있다.
      의복 사여의 행사가 특기되었던 것은 그 대상자에 12월 23일 于伐城에 모였던 양국 관계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점에 있다고 보인다. 新羅土內幢主를 비롯한 양국 관계자들은 우벌성에 모여 300명의 신라인을 募人하였다. 당주의 주둔지를 위한 이같은 力役徵發은 그간 당주가 일방적으로 해오던 관행이었으나, 이때에 이르러 신라 측의 협조 아래 시행된다는 점에서 특기해야 할 의미를 가졌다. 그리고 그 의미하는 바로 보아, 이같은 관행은 양국이 대면하고 있던 공간 어디에서나 벌어지고 있었던 문제였다고 여겨진다.
      같은 맥락에서 何瑟羅城主의 高句麗 邊將 살해는 이러한 문제에서 빚어진 사건이었고, 고구려의 군사행동을 불러왔던 것으로 보인다. 訥祗王은 ‘卑辭謝之’를 통해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여기에서 449년 5월 신라 寐錦이 고구려 영내인 충주까지 와야 하였고, 고구려왕이 주재한 의복 사여 행사에 참여해야 했던 연유를 짐작할 수 있다. 하슬라성주의 고구려 변장 살해로 일어난 일련의 사건을 전하는 史書의 기록은 양국 군주가 충주에서 만나게 되었던 배경과 경위였던 것이다.
      그러던 고구려 우위의 양국 관계는 좌면에 古鄒加 등의 군사행동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얼마 지나지 않아 파탄에 이르렀다. 고구려의 군사적 우위가 절대적이지 못하며, 신라의 저항이 만만치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정세 변화에 충주 지역은 직접적으로 관계되었다. 고구려로 보아서 신라에 대한 대응과 함께 당장 시급한 일은 현지의 불안감을 잠재우는 것이었다. 비문에 양국의 차등적 관계를 거듭 부각하고, 모인 활동이 5월중의 합의에 따른 것임을 기술한 까닭도 여기에 있었다. 양국의 우열관계는 분명하며 현재의 상황에 이른 것은 신라가 합의를 저버린 때문임을 강조하려 했던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이 비는 일종의 布告文에 해당한다. 건립 시기는 눌지왕의 ‘비사사지’로 보아 450년 7월 이후가 될 것이다. 입비의 목적과 전달 내용은 後面과 右面에 기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마도 거기에는 불안해 하는 현지민들을 달래기 위한 按撫의 내용과 함께, 남방 경영이 중단없이 진행될 것임을 천명하는 기술이 들어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돌에 刊刻되었다는 점에서 미래까지도 포고의 대상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그동안의 연구에서 비문의 ‘5月中’ 이하의 기록은 양국 군주의 會盟에 관한 내용이라 보아 왔다. 그러나 그렇게 판단할 수 있는, 회동의 구체적 장면이나 논의 내용은 보이질 않는다. 대신...

      그동안의 연구에서 비문의 ‘5月中’ 이하의 기록은 양국 군주의 會盟에 관한 내용이라 보아 왔다. 그러나 그렇게 판단할 수 있는, 회동의 구체적 장면이나 논의 내용은 보이질 않는다. 대신 이 회합에 후속한 부대행사였을 衣服 賜與의 장면들만이 자세히 기재되고 있다.
      의복 사여의 행사가 특기되었던 것은 그 대상자에 12월 23일 于伐城에 모였던 양국 관계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점에 있다고 보인다. 新羅土內幢主를 비롯한 양국 관계자들은 우벌성에 모여 300명의 신라인을 募人하였다. 당주의 주둔지를 위한 이같은 力役徵發은 그간 당주가 일방적으로 해오던 관행이었으나, 이때에 이르러 신라 측의 협조 아래 시행된다는 점에서 특기해야 할 의미를 가졌다. 그리고 그 의미하는 바로 보아, 이같은 관행은 양국이 대면하고 있던 공간 어디에서나 벌어지고 있었던 문제였다고 여겨진다.
      같은 맥락에서 何瑟羅城主의 高句麗 邊將 살해는 이러한 문제에서 빚어진 사건이었고, 고구려의 군사행동을 불러왔던 것으로 보인다. 訥祗王은 ‘卑辭謝之’를 통해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여기에서 449년 5월 신라 寐錦이 고구려 영내인 충주까지 와야 하였고, 고구려왕이 주재한 의복 사여 행사에 참여해야 했던 연유를 짐작할 수 있다. 하슬라성주의 고구려 변장 살해로 일어난 일련의 사건을 전하는 史書의 기록은 양국 군주가 충주에서 만나게 되었던 배경과 경위였던 것이다.
      그러던 고구려 우위의 양국 관계는 좌면에 古鄒加 등의 군사행동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얼마 지나지 않아 파탄에 이르렀다. 고구려의 군사적 우위가 절대적이지 못하며, 신라의 저항이 만만치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정세 변화에 충주 지역은 직접적으로 관계되었다. 고구려로 보아서 신라에 대한 대응과 함께 당장 시급한 일은 현지의 불안감을 잠재우는 것이었다. 비문에 양국의 차등적 관계를 거듭 부각하고, 모인 활동이 5월중의 합의에 따른 것임을 기술한 까닭도 여기에 있었다. 양국의 우열관계는 분명하며 현재의 상황에 이른 것은 신라가 합의를 저버린 때문임을 강조하려 했던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이 비는 일종의 布告文에 해당한다. 건립 시기는 눌지왕의 ‘비사사지’로 보아 450년 7월 이후가 될 것이다. 입비의 목적과 전달 내용은 後面과 右面에 기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마도 거기에는 불안해 하는 현지민들을 달래기 위한 按撫의 내용과 함께, 남방 경영이 중단없이 진행될 것임을 천명하는 기술이 들어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돌에 刊刻되었다는 점에서 미래까지도 포고의 대상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vious researches indicated that the inscriptions below “5月中” are about the league(會盟) of the sovereigns of the two kingdoms(Koguryeo and Silla). However, the specific scenes or the content of discussions of the meeting, which is the basis for such judgement, cannot be found. Instead, only the scenes of bestowal of garment, which was an additional ceremony following this meeting, are described in detail.
      The reason why the garment bestowal ceremony was specially mentioned is that the recipients included the officials from two kingdoms who gathered at Ubeolseong(于伐城) on December 23. Officials from the two kingdoms, including Dangju(幢主, the commander of Koguryeo) within the Silla territory, gathered in Ubeolseong and brought 300 Silla people. This requisition of compulsory labor for the post of Dangju was a practice that the Dangju had been doing unilaterally, but it is noteworthy record in that it was implemented under the cooperation of Silla from that time on. It suggests that this practice was a problem taking place wherever the two kingdoms faced each other.
      The murder of the Koguryeo Byeonjang(邊將, general guarding the border) by the lord of the Haseulla Castle(何瑟羅城主) was a case caused by that problem, and is thought to be brought the military operation of Koguryeo. Nuljiwang(訥祗王) was able to get through a crisis by “apologizing with humble words(卑辭謝之).”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how the reason why Silla Maegeum(寐錦) had to come to Chungju, the territory of Koguryeo, in May 449, and to participate in the garment bestowal ceremony hosted by the king of Koguryeo. The historical records which tells a series of incidents resulted from the murder of the Koguryeo Byeonjang by the lord of the Haseulla Castle shows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meeting of two sovereigns in Chungju.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military operation by Gochuga(古鄒加) is seen on the left side,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ingdoms that Koguryeo holds superiority was soon over. It shows that Koguryeo’s military superiority was not absolute, and that Silla strongly resisted. The Chungju region was directly related to this change of situation. The immediate task for Koguryeo was to respond to Silla and calm the unrest of that region. It is the reason why the inscriptions repeatedly emphasized the domin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ingdoms and described that the bringing people was in accordance with the agreement of ”5月中.” It was to emphasize that the dominance relationship is clear, and that the current situation is due to Silla’s abandonment of the agreement.
      In view of the examination so far, the stele corresponds to a kind of proclamation. This article estimates the timing of the erection to be after July 450, considering the “卑辭謝之” of Nuljiwang. It is assumed that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stele were written on the back and right sid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se sides included a statement to appease the anxious locals, as well as a description proclaiming that the southern management will continue without interruption. This is because the target of proclamation includes even the future, considering that contents were carved on the stone.
      번역하기

      Previous researches indicated that the inscriptions below “5月中” are about the league(會盟) of the sovereigns of the two kingdoms(Koguryeo and Silla). However, the specific scenes or the content of discussions of the meeting, which is the bas...

      Previous researches indicated that the inscriptions below “5月中” are about the league(會盟) of the sovereigns of the two kingdoms(Koguryeo and Silla). However, the specific scenes or the content of discussions of the meeting, which is the basis for such judgement, cannot be found. Instead, only the scenes of bestowal of garment, which was an additional ceremony following this meeting, are described in detail.
      The reason why the garment bestowal ceremony was specially mentioned is that the recipients included the officials from two kingdoms who gathered at Ubeolseong(于伐城) on December 23. Officials from the two kingdoms, including Dangju(幢主, the commander of Koguryeo) within the Silla territory, gathered in Ubeolseong and brought 300 Silla people. This requisition of compulsory labor for the post of Dangju was a practice that the Dangju had been doing unilaterally, but it is noteworthy record in that it was implemented under the cooperation of Silla from that time on. It suggests that this practice was a problem taking place wherever the two kingdoms faced each other.
      The murder of the Koguryeo Byeonjang(邊將, general guarding the border) by the lord of the Haseulla Castle(何瑟羅城主) was a case caused by that problem, and is thought to be brought the military operation of Koguryeo. Nuljiwang(訥祗王) was able to get through a crisis by “apologizing with humble words(卑辭謝之).”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how the reason why Silla Maegeum(寐錦) had to come to Chungju, the territory of Koguryeo, in May 449, and to participate in the garment bestowal ceremony hosted by the king of Koguryeo. The historical records which tells a series of incidents resulted from the murder of the Koguryeo Byeonjang by the lord of the Haseulla Castle shows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meeting of two sovereigns in Chungju.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military operation by Gochuga(古鄒加) is seen on the left side,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ingdoms that Koguryeo holds superiority was soon over. It shows that Koguryeo’s military superiority was not absolute, and that Silla strongly resisted. The Chungju region was directly related to this change of situation. The immediate task for Koguryeo was to respond to Silla and calm the unrest of that region. It is the reason why the inscriptions repeatedly emphasized the domin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ingdoms and described that the bringing people was in accordance with the agreement of ”5月中.” It was to emphasize that the dominance relationship is clear, and that the current situation is due to Silla’s abandonment of the agreement.
      In view of the examination so far, the stele corresponds to a kind of proclamation. This article estimates the timing of the erection to be after July 450, considering the “卑辭謝之” of Nuljiwang. It is assumed that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stele were written on the back and right sid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se sides included a statement to appease the anxious locals, as well as a description proclaiming that the southern management will continue without interruption. This is because the target of proclamation includes even the future, considering that contents were carved on the sto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비의 석독과 주요 내용
      • III. 高句麗王의 衣服賜與와 대상자
      • IV. 新羅土內 幢主의 募人 활동과 그 의미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비의 석독과 주요 내용
      • III. 高句麗王의 衣服賜與와 대상자
      • IV. 新羅土內 幢主의 募人 활동과 그 의미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통대 박물관, "충주 고구려비의 어제와 오늘" 2019

      2 박찬흥, "중원고구려비의 건립 목적과 신라의 위상" 고려사학회 (51) : 145-165, 2013

      3 손영종, "중원고구려비에 대하여" 85 (85): 1985

      4 徐榮一, "중원고구려비에 나타난 고구려 성과 방어체계-于伐城과 古牟婁城을 중심으로-" 10 : 2000

      5 장창은, "신라 訥祗王代 고구려세력의 축출과 그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33 : 211-248, 2004

      6 하워드 J. 웨슬러,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고즈원 2005

      7 김병준,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교류와 변용" 2011

      8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 지배 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5

      9 정운용, "고구려의 국제관계" 2005

      10 武田幸男, "高句麗史と東アジア-「廣開土王碑」 硏究序說-" 岩波書店 1989

      1 한국교통대 박물관, "충주 고구려비의 어제와 오늘" 2019

      2 박찬흥, "중원고구려비의 건립 목적과 신라의 위상" 고려사학회 (51) : 145-165, 2013

      3 손영종, "중원고구려비에 대하여" 85 (85): 1985

      4 徐榮一, "중원고구려비에 나타난 고구려 성과 방어체계-于伐城과 古牟婁城을 중심으로-" 10 : 2000

      5 장창은, "신라 訥祗王代 고구려세력의 축출과 그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33 : 211-248, 2004

      6 하워드 J. 웨슬러,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고즈원 2005

      7 김병준,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교류와 변용" 2011

      8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 지배 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5

      9 정운용, "고구려의 국제관계" 2005

      10 武田幸男, "高句麗史と東アジア-「廣開土王碑」 硏究序說-" 岩波書店 1989

      11 武田幸男, "東アジア世界における 日本古代史講座 4- 朝鮮三國と日本" 學生社 1980

      12 木村誠, "朝鮮社會の史的展開と東アジア" 山川出版社 1997

      13 金相範, "唐 前期 封禪儀禮의 展開와 그 意義" 17 : 2002

      14 籾山明, "古代東アジアの文字文化と社會" 臨川書店 2019

      15 金貞培, "原高句麗碑에 대하여" 13 : 1979

      16 張彰恩, "中原高句麗碑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189 : 2006

      17 李丙燾, "中原高句麗碑의 몇가지 문제점" 13 : 1979

      18 李基白, "中原高句麗碑의 몇가지 문제" 13 : 1979

      19 鄭永浩, "中原高句麗碑의 發見調査와 硏究展望" 13 : 1979

      20 李道學, "中原高句麗碑의 建立 目的" 10 : 2000

      21 邊太燮, "中原高句麗碑의 內容과 年代에 대한 檢討" 13 : 1979

      22 이용현, "中原高句麗碑와 新羅의 諸碑" 10 : 2000

      23 林起煥, "中原高句麗碑를 통해 본 高句麗와 新羅의 관계" 10 : 2000

      24 南豊鉉, "中原高句麗碑文의 解釋과 吏讀的 性格" 10 : 2000

      25 시노하라 히로타카, "「中原高句麗碑」의 釋讀과 內容의 意義" 51 : 2000

      26 서지영, "5세기 羅・麗 관계변화와 中原高句麗碑의 建立" 한국고대사학회 (68) : 101-136, 2012

      27 鄭雲龍, "5世紀 高句麗 勢力圈의 南限" 35 : 1989

      28 김현숙, "4~6세기경 소백산맥 이동지역의 영역 향방" 한국고대사학회 26 : 75-114,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