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라는 소설이 베스트셀러에 오랫동안 머물렀던 기억이 난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 더욱 재미있었고 가슴을 졸이며 읽을 수 있었던 이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25026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2018. 8
2018
한국어
서울
ii, 59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김부성
참고문헌: 장 58-59
I804:11009-00000008224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어린 시절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라는 소설이 베스트셀러에 오랫동안 머물렀던 기억이 난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 더욱 재미있었고 가슴을 졸이며 읽을 수 있었던 이유...
어린 시절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라는 소설이 베스트셀러에 오랫동안 머물렀던 기억이 난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 더욱 재미있었고 가슴을 졸이며 읽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본 연구자는 도시 속 학교를 다녔지만 생각해 보면 소설 속 촌락의 학교라고 해도 우리들이 다니는 학교의 모습과 많이 다르지 않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물론 소설속의 이야기처럼 모든 일이 우리 학급에서 벌어지는 일을 아니었지만 우리 교실 속 닫힌 사회의 구조 안에서 우리는 어떠한 문제를 맞이해도 그 시절, 그 나이의 권력 앞에 큰 소리를 내기 힘들었기 때문이었다. 나이가 들어 그 책을 다시 읽어 보았을 때는 단순히 학급의 닫힌 사회 속에서 벌어지는 일을 비유했기 보다는 당시 사회 구조에 대한 비판을 학교라는 공간과 닫힌 사회로 비교하여 소설을 이어나갔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최근 들어 이른바 닫힌 사회와 관련된 여러 가지 사건이 국가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신안 염전 노예 사건,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제 28보병 사단 의무병 살인사건, 교육 기관에서 발생하는 각종 폭력 사건 등을 들 수 있다. 모두 21세기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받아들이기 어려운 사건들이다.
본 연구자는 ‘닫힌 사회’의 주요 형성 배경과 그로 인한 부작용, 개선 방안에 대해 지리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언급하였으며 ‘학교 폭력’의 원인에 대한 시각을 학교의 문제, 학생들의 문제가 아닌 ‘닫힌 사회 구조’의 개선으로 접근해 본다면 참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여겼기 때문에 연구를 시작하였다.
실제 학생들의 사례와 고충을 참고하여 학교 폭력의 비가시성을 파악하여 닫힌 사회에 대한 고찰이 학교 폭력 문제의 근본적인 문제가 될 것이라는 문제제기를 증명하기 위해 설문을 통해 닫힌 사회의 구조를 갖춘 학교 폭력 문제를 분석하였다.
닫힌 사회와 학교 폭력의 연관성을 조사해보며 학생들이 학습하는 작은 공간은 이미 닫힌 사회의 공간적 분포를 보였으며 외부로 자신들의 과오가 전해지는 것을 철저히 차단하고 있었다. 이것이 가장 핵심 주제였으며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개선의 시작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닫힌 사회가 주는 장점도 당연히 많다. 어떠한 목적을 가진 공동체가 형성되면 그 누구보다 서로를 아끼고 도울 것이며 타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도 닫힌 사회의 장점이 될 수 있다.
전면(철거)재개발을 통해 전통적인 공동체가 무너지고 내가 살던 마을에 재정착률이 낮아지고 있으며 아파트가 들어서면 우리가 살아왔던 마을의 개념과 모습이 달라진다. 하지만 새로운 아파트 단지라는 공간이 또 어느새 닫힌 사회로 변할 수도 있지만 그 전까지는 누구보다 행정적으로 깨끗하고 옳은 방향으로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며 거주 공간에서 일어나는 비리나 문제점들을 서로 감시하고 공유해 나가고 때론 돕기도 하며 이상적인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는 어떤 공간 범위 안에서 구성원들이 닫힌 사회화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열린 사회화를 통해서도 서로 상호할 수 있는 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다는 반증이 된다.
학교 폭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 구조의 형성에 대해 먼저 파악을 하고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다시한번 고찰해 보아야 학생들이 학교라는 공간에서 정신적 안정감을 갖고 학업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