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_(q)가 유한체이고, χ가 F의 곱지표, λ가 F의 자명하지 않은 합지표라고 하자. 이때 G₁(χ, λ)=∑□χ(u)λ(u)가 통상적인 가우스 합이고, G_(n)(χ, λ)=1/q□∑□χοdet(u)λοtr(u)가 지료들을 일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F=F_(q)가 유한체이고, χ가 F의 곱지표, λ가 F의 자명하지 않은 합지표라고 하자. 이때 G₁(χ, λ)=∑□χ(u)λ(u)가 통상적인 가우스 합이고, G_(n)(χ, λ)=1/q□∑□χοdet(u)λοtr(u)가 지료들을 일반�...
F=F_(q)가 유한체이고, χ가 F의 곱지표, λ가 F의 자명하지 않은 합지표라고 하자. 이때
G₁(χ, λ)=∑□χ(u)λ(u)가 통상적인 가우스 합이고,
G_(n)(χ, λ)=1/q□∑□χοdet(u)λοtr(u)가
지료들을 일반선형군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얻어진 새로운 가우스 합이라고 할 때
G_(n)(χ, λ)=G₁(χ, λ)^(n)이 성립함을 보였다.
이 항등식은 고전적인 Davenport-Hasse 정리와 유사하며 이것은 일반선형군의 분해공식을 유도하여 바닥 최대포물부분군만이 합에 기여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밝힐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Monascus anka 코오지를 이용한 간장의 품질특성
섬유의 미세구조 및 형태가 수지가공된 셀룰로오즈 섬유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