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조적 폭력에 대응하는 인권교육 접근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577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직접적 폭력에 비하여 잘 인식되지 않는 구조적 폭력을 인권교육에서 어떻게 다루어 나아가야 하는가? 하는 물음에 답하는 것이다. 구조적 폭력은 사회제도와 구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폭력을 말한다. 이러한 구조적 폭력은 일련의 복합적인 사회구조와 제도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책임소재가 불분명하고, 잘 인식되지 않으며, 당연시 되는 측면이 있어 잘 수정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인권교육에서 이러한 구조적 폭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권침해에 인권조항을 단순히 대응시키는 방식을 벗어나 인권침해를 가져오는 구조적 폭력을 다차원적인 사회과학적 상상력을 통하여 깊이 있게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한 후 이를 실천해 나아갈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즉 본 논문은 이를 위한 인권교수학습단계와 교수학습 아이디어 그리고 적용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직접적 폭력에 비하여 잘 인식되지 않는 구조적 폭력을 인권교육에서 어떻게 다루어 나아가야 하는가? 하는 물음에 답하는 것이다. 구조적 폭력은 사회제도와 구조를 통하...

      본 논문의 목적은 직접적 폭력에 비하여 잘 인식되지 않는 구조적 폭력을 인권교육에서 어떻게 다루어 나아가야 하는가? 하는 물음에 답하는 것이다. 구조적 폭력은 사회제도와 구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폭력을 말한다. 이러한 구조적 폭력은 일련의 복합적인 사회구조와 제도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책임소재가 불분명하고, 잘 인식되지 않으며, 당연시 되는 측면이 있어 잘 수정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인권교육에서 이러한 구조적 폭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권침해에 인권조항을 단순히 대응시키는 방식을 벗어나 인권침해를 가져오는 구조적 폭력을 다차원적인 사회과학적 상상력을 통하여 깊이 있게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한 후 이를 실천해 나아갈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즉 본 논문은 이를 위한 인권교수학습단계와 교수학습 아이디어 그리고 적용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swer the question, that is, ‘How does human rights education deal with structural violence that is not well seen in comparison to direct violence?’ The structural violence is the violence that is usually performed through social structure and institutions. The structural violence tend to be performed in multiple social systems and to be taken for granted so that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subject and responsibilities of violence and to modify it. In order to deal with structural violence in human rights education, we should teach for student to analyse structural violence with multidimensional social scientific imagination and prepare countermeasures and implement them rather than match each human rights clause to human rights violations. This paper suggests the stages of human rights teaching for dealing with structural violence and various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 cas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swer the question, that is, ‘How does human rights education deal with structural violence that is not well seen in comparison to direct violence?’ The structural violence is the violence that is usually performed th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swer the question, that is, ‘How does human rights education deal with structural violence that is not well seen in comparison to direct violence?’ The structural violence is the violence that is usually performed through social structure and institutions. The structural violence tend to be performed in multiple social systems and to be taken for granted so that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subject and responsibilities of violence and to modify it. In order to deal with structural violence in human rights education, we should teach for student to analyse structural violence with multidimensional social scientific imagination and prepare countermeasures and implement them rather than match each human rights clause to human rights violations. This paper suggests the stages of human rights teaching for dealing with structural violence and various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 ca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폭력, 구조적 폭력 그리고 인권 침해
      • Ⅲ. 구조적 폭력에 대응하는 인권교육 접근법
      • Ⅳ. 적용 사례 : 잔혹 동시이야기
      • 요약
      • Ⅰ. 서론
      • Ⅱ. 폭력, 구조적 폭력 그리고 인권 침해
      • Ⅲ. 구조적 폭력에 대응하는 인권교육 접근법
      • Ⅳ. 적용 사례 : 잔혹 동시이야기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표준국어대사전"

      2 조선비즈, "초등학생 잔혹동시 전량 폐기처분…표현의 자유 허용치 문제"

      3 세계일보, "잔혹동시 초등학생의 ‘표현의 자유’VS ‘소름 돋아’ 다양한 의견"

      4 MBN, "잔혹동시 논란, 표현의 자유인가VS충격의 연속인가…극과 극 반응"

      5 박상준, "인권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이론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5 (35): 6-141, 2003

      6 국제사면위원회, "인권교육의 기법" 인간복지 1997

      7 구정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고려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12, 2009

      8 "옥스퍼드 사전"

      9 장원순, "사회적 관행을 변화시키기 위한 사회문화 교육방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3-62, 2003

      10 Bourdieu, Pierre, "남성지배" 동문선 2003

      1 "표준국어대사전"

      2 조선비즈, "초등학생 잔혹동시 전량 폐기처분…표현의 자유 허용치 문제"

      3 세계일보, "잔혹동시 초등학생의 ‘표현의 자유’VS ‘소름 돋아’ 다양한 의견"

      4 MBN, "잔혹동시 논란, 표현의 자유인가VS충격의 연속인가…극과 극 반응"

      5 박상준, "인권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이론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5 (35): 6-141, 2003

      6 국제사면위원회, "인권교육의 기법" 인간복지 1997

      7 구정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고려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12, 2009

      8 "옥스퍼드 사전"

      9 장원순, "사회적 관행을 변화시키기 위한 사회문화 교육방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3-62, 2003

      10 Bourdieu, Pierre, "남성지배" 동문선 2003

      11 구정화, "교사를 위한 학교인권교육의 이해" 도서출판 아침이슬 2004

      12 Galtung, Johan, "“Violence, Peace, and Peace Research”. Peace: Research, Education, Action" Christian Ejlers 109-134, 1975

      13 Pogge, Thomas, "Word Poverty and Human Rights" Polity Press 2008

      14 Iadicola, Peter, "Violence, Inequality, and Human Freedom" Rowman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13

      15 Galtung, Johan, "Violence and its Alternatives: An Interdisciplinary Reader" St. Martin’s Press 39-53, 1999

      16 Senker, Cath, "Violence" Smart Apple Media 2010

      17 Institute for Th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Teacher compendium for Human Rights Education" University of Denver Press 2012

      18 Mills, C. Wright, "Sociological Imagi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9 Young, Iris Marion, "Responsibility for 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0 Nickel, James W., "Making Sense of Human Rights" Blackwell Publishing 2007

      21 Kuper, Andrew, "Global Responsibilities: Who must deliver on Human Rights?"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05

      22 Bourdieu, Pierre., "An Invitation to Reflexive Socio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