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트 던지기 과제에서의 시선 고정 현상 고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차년도에 걸쳐 운동 수행, 특히 다트를 던질 때 신체의 균형이 어떻게 유지되지는를 초자세 과제의 관점에서 4개의 연구(연구 1-1, 1-2, 2-1, 2-2)를 수행하여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렇게 실시한 연구들을 통해 다양한 자료가 추출되었으며,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트 던지기는 가급적 적은 숫자의 근육, 특히 팔꿈치와 손목을 이용하여 던지는 기술로서 다른 신체 부위들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는 것, 특히 하체와 몸통, 어깨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표적과의 거리(연구 1-2), 표적의 크기(연구 2-1)를 변화시키거나, 지지면을 변화(연구 2-2)시킬 경우 신체의 균형유지체계는 그 제약에 적응적으로 대처한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특히 연구 1-2에서 표적과의 거리를 변화시켰을 때, 먼거리 조건에서 먼거리 투척에 필요한 가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팔꿈치와 하체가 더 강력하게 결합되었을 뿐 아니라, 어깨의 변산성 또한 증가되었다. 이런 결과는 변화된 과제 수행에 요구되는 자세 유지를 위해서 신체의 보정 행동(compensatory behavior)을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보다 흥미로운 사실은 지지면을 변화시켜 신체 균형 유지를 어렵게 하였을 때(연구 2-2), 지지면의 난이도가 어려워질수록 가변 오차 및 반경 오차가 줄어드는, 즉 수행 정도가 향상되었으며, 머리와 어깨의 AP 방향 흔들림 또한 다른 지지면 조건에서는 증가하였지만 나무빔에서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에 더불어 손목과 무릎, 팔꿈치와 무릎의 교차 상관 값은 0에 가까워졌으며, 이런 결과는 두 관절 사이의 결합력이 낮아져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트를 던지는 것과 동시에 균형 유지에도 치중해야 하는 이중 과제의 요구가 주어졌을 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자세유지체계와 초자세 행위(다트 던지기)가 기능적으로 통합(functional integration)되어 적응적으로 대처해 간다는 Stoffregen 등(1999, 2000, 2006, 2007)의 주장과 일치한다. 즉 균형유지체계(주과제, primary task)와 초자세과제(부과제, secondary task)가 상호 경쟁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촉진적인 관계에 있다는 관점과 일치하는 결과다.
      Smart와 Smith(2001)는 자세의 목적은 다른 행위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며, 생체역학적으로 특정 분절의 협응을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통하여 다른 행위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는 증거를 제공한다. 중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이차년도에 걸쳐 운동 수행, 특히 다트를 던질 때 신체의 균형이 어떻게 유지되지는를 초자세 과제의 관점에서 4개의 연구(연구 1-1, 1-2, 2-1, 2-2)를 수행하여 규명하고자 시도하...

      본 연구에서는 이차년도에 걸쳐 운동 수행, 특히 다트를 던질 때 신체의 균형이 어떻게 유지되지는를 초자세 과제의 관점에서 4개의 연구(연구 1-1, 1-2, 2-1, 2-2)를 수행하여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렇게 실시한 연구들을 통해 다양한 자료가 추출되었으며,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트 던지기는 가급적 적은 숫자의 근육, 특히 팔꿈치와 손목을 이용하여 던지는 기술로서 다른 신체 부위들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는 것, 특히 하체와 몸통, 어깨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표적과의 거리(연구 1-2), 표적의 크기(연구 2-1)를 변화시키거나, 지지면을 변화(연구 2-2)시킬 경우 신체의 균형유지체계는 그 제약에 적응적으로 대처한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특히 연구 1-2에서 표적과의 거리를 변화시켰을 때, 먼거리 조건에서 먼거리 투척에 필요한 가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팔꿈치와 하체가 더 강력하게 결합되었을 뿐 아니라, 어깨의 변산성 또한 증가되었다. 이런 결과는 변화된 과제 수행에 요구되는 자세 유지를 위해서 신체의 보정 행동(compensatory behavior)을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보다 흥미로운 사실은 지지면을 변화시켜 신체 균형 유지를 어렵게 하였을 때(연구 2-2), 지지면의 난이도가 어려워질수록 가변 오차 및 반경 오차가 줄어드는, 즉 수행 정도가 향상되었으며, 머리와 어깨의 AP 방향 흔들림 또한 다른 지지면 조건에서는 증가하였지만 나무빔에서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에 더불어 손목과 무릎, 팔꿈치와 무릎의 교차 상관 값은 0에 가까워졌으며, 이런 결과는 두 관절 사이의 결합력이 낮아져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트를 던지는 것과 동시에 균형 유지에도 치중해야 하는 이중 과제의 요구가 주어졌을 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자세유지체계와 초자세 행위(다트 던지기)가 기능적으로 통합(functional integration)되어 적응적으로 대처해 간다는 Stoffregen 등(1999, 2000, 2006, 2007)의 주장과 일치한다. 즉 균형유지체계(주과제, primary task)와 초자세과제(부과제, secondary task)가 상호 경쟁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촉진적인 관계에 있다는 관점과 일치하는 결과다.
      Smart와 Smith(2001)는 자세의 목적은 다른 행위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며, 생체역학적으로 특정 분절의 협응을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통하여 다른 행위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는 증거를 제공한다. 중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roject we conducted 4 experiments directed at postural coordination in dart throwing. Darts can be thrown using only the elbow and wrist while keeping the rest of the body stationary. Because all movements occur based on three factors—the interactions of the organisms, the environment in which movements take place, and the task being performed as Haywood & Getchell (2009) suggest, we constrained the task to be performed in Experiments 1-2 and 2-1 and the environment in Experiment 2-2. We first started by training participants, all novice dart throwers, by having them throw darts 50 times a session over six sessions (Experiment 1-1). Dart throwing data were obtained using a wireless motion tracking system via sensors attached to the index finger, wrist, elbow, shoulder, hip, knee, and ankle of the right side (the throwing hand) with additional sensors attached to the head and the left shoulder, for a total of 9 sensors. Cross-correlations between joints (wrist-elbow, wrist-shoulder, wrist-hip, wrist-knee, elbow-shoulder, elbow-hip, elbow-knee, shoulder-hip, and shoulder-knee) were used to determine coordination patterns. The standard deviations of the head and the right shoulder motion were used to assess body sway. Experiment 1-2 and Experiment 2-1 varied the distance to
      번역하기

      In this project we conducted 4 experiments directed at postural coordination in dart throwing. Darts can be thrown using only the elbow and wrist while keeping the rest of the body stationary. Because all movements occur based on three factors—the i...

      In this project we conducted 4 experiments directed at postural coordination in dart throwing. Darts can be thrown using only the elbow and wrist while keeping the rest of the body stationary. Because all movements occur based on three factors—the interactions of the organisms, the environment in which movements take place, and the task being performed as Haywood & Getchell (2009) suggest, we constrained the task to be performed in Experiments 1-2 and 2-1 and the environment in Experiment 2-2. We first started by training participants, all novice dart throwers, by having them throw darts 50 times a session over six sessions (Experiment 1-1). Dart throwing data were obtained using a wireless motion tracking system via sensors attached to the index finger, wrist, elbow, shoulder, hip, knee, and ankle of the right side (the throwing hand) with additional sensors attached to the head and the left shoulder, for a total of 9 sensors. Cross-correlations between joints (wrist-elbow, wrist-shoulder, wrist-hip, wrist-knee, elbow-shoulder, elbow-hip, elbow-knee, shoulder-hip, and shoulder-knee) were used to determine coordination patterns. The standard deviations of the head and the right shoulder motion were used to assess body sway. Experiment 1-2 and Experiment 2-1 varied the distance to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