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어란 사람, 동물, 사물 그리고 자연계의 소리를 모방하는 말이다.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모두 상당한 수량의 의성어가 있다. 두 언어는 각각 교착어와 고립어로서 서로 다른 계통에 속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13982
2010
Korean
의성어 ; 문법기능 ; 의미 ; 특징 ; 비교 연구 ; onomatopoeia ; grammatical technique ; semantics ; features ; contrastive analysis.
370
학술저널
123-146(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의성어란 사람, 동물, 사물 그리고 자연계의 소리를 모방하는 말이다.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모두 상당한 수량의 의성어가 있다. 두 언어는 각각 교착어와 고립어로서 서로 다른 계통에 속하...
의성어란 사람, 동물, 사물 그리고 자연계의 소리를 모방하는 말이다.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모두 상당한 수량의 의성어가 있다. 두 언어는 각각 교착어와 고립어로서 서로 다른 계통에 속하는 언어들이다. 이로 인해 한·중 의성어의 양상이 많이 다를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사람이 중국어를 배울 때나 중국 사람이 한국어를 배울 때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문법과 의미 측면에서 한·중 의성어 각각의 특징을 찾아내고 비교를 통해서 양자가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중국어 학습 및 중국인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의성어 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논의를 전개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1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정리하고 의성어의 문법 범주문제를 제시한다. 2 장과 3 장에서는 문법 의미 영역별로 한·중 의성어의 특징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여 결론을 제시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꼬리표 붙은 중학생에 대한 담임교사들의 대응전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동화 확장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