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음악수업에서 국악을 통한 통일교육 방향 및 내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61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Korean music in elementary music classes. In elementary music classes, unification education was mostly conducted about the North Korean understanding education through folk songs and was taught them about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and the future after unification through creative children s song. In addition, unification education accounts for half of the areas of expression, especiall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cusing on singing. It recommends a method o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activity of forming emotional bonds. Based on this, the study offers three recommendations for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Korean music. First, it highlights the commonalities of music and a sense of togetherness through folk songs of the two Koreas. Second, North Korea s creative children s song “Daehongdan Potato” and the musical instrument “Sohaegeum” emphasize the country’s music culture from a mutual cultural perspective. Third, a unification concert was held on an online platform to appreciate and criticize musical works. In the future, it is critical to develop Korean music sanctions, apply them to secondary music classe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inter-Korean music exchanges. Accordingly, we hope that students will restore the homogeneity of the Korean people based on the emotional and cultural commun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promote a positive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ractice unifi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Korean music in elementary music classes. In elementary music classes, unification education was mostly conducted about the North Korean understanding education through fo...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Korean music in elementary music classes. In elementary music classes, unification education was mostly conducted about the North Korean understanding education through folk songs and was taught them about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and the future after unification through creative children s song. In addition, unification education accounts for half of the areas of expression, especiall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cusing on singing. It recommends a method o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activity of forming emotional bonds. Based on this, the study offers three recommendations for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Korean music. First, it highlights the commonalities of music and a sense of togetherness through folk songs of the two Koreas. Second, North Korea s creative children s song “Daehongdan Potato” and the musical instrument “Sohaegeum” emphasize the country’s music culture from a mutual cultural perspective. Third, a unification concert was held on an online platform to appreciate and criticize musical works. In the future, it is critical to develop Korean music sanctions, apply them to secondary music classe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inter-Korean music exchanges. Accordingly, we hope that students will restore the homogeneity of the Korean people based on the emotional and cultural commun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promote a positive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ractice unif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전통연희사전 ‘봉산탈춤’"

      2 통일부 통일교육원,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

      3 김혜정, "통일대비 국악교육을 위한 북한민요 연구" 한국국악학회 41 : 5-22, 2007

      4 송시아,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학교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충남대학교 2016

      5 박지영, "통일 대비 초등학교 교과서의 북한 민요 제재곡 개발 연구: 통합교과 교과서와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2017

      6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5, 6" 동아출판 2019

      7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5, 6" 와이비엠 2019

      8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5, 6" 지학사 2019

      9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5, 6" 미래엔 2019

      10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5, 6" 비상교육 2019

      1 "한국전통연희사전 ‘봉산탈춤’"

      2 통일부 통일교육원,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

      3 김혜정, "통일대비 국악교육을 위한 북한민요 연구" 한국국악학회 41 : 5-22, 2007

      4 송시아,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학교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충남대학교 2016

      5 박지영, "통일 대비 초등학교 교과서의 북한 민요 제재곡 개발 연구: 통합교과 교과서와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2017

      6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5, 6" 동아출판 2019

      7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5, 6" 와이비엠 2019

      8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5, 6" 지학사 2019

      9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5, 6" 미래엔 2019

      10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5, 6" 비상교육 2019

      11 김애경, "초등학교 음악 5, 6" 천재교육 2019

      12 김용희, "초등학교 음악 5, 6" ㈜금성출판사 2019

      13 양종모, "초등학교 음악 5, 6" 천재 교과서 2019

      14 김용희, "초등학교 음악 3, 4" ㈜금성출판사 2018

      15 김애경, "초등학교 음악 3, 4" 천재교육 2018

      16 권태욱, "초등학교 음악 3, 4" ㈜음악과 생활 2018

      17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3, 4" 동아출판 2018

      18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3, 4" 지학사 2018

      19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3, 4" 비상교육 2018

      20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3, 4" 미래엔 2018

      21 양종모, "초등학교 음악 3, 4" 천재 교과서 2018

      22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3, 4" 와이비엠 2018

      23 국립국악원, "전래동요 이렇게 가르쳐 보세요" 국립국악원 2002

      24 장한업,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 교육과학사 2014

      25 이송희, "음악교육을 통한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6 교육부, "여름 1-1"

      27 국립국악원, "소해금"

      28 이고운, "새터민 구술사를 통한 통일교육의 방향 고찰: 음악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20

      29 박채용,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정부와 민간단체의 역할" 15 (15): 167-194, 1999

      30 유튜브, "대홍단 감자"

      31 김정현,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의 차이에 대한 한 해석 찰스 테일러의 견해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82 : 70-99, 2017

      32 유지인, "남북한 음악교육의 동질성 회복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3 배인교, "남북한 음악교류의 양상과 방향" 통일평화연구원 10 (10): 39-80, 2018

      34 이경언, "남북한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남한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36) : 149-169, 2018

      35 이근복, "남·북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6 성한별, "남·북한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비교·분석: 교육과정과 음악영역별 내용구성을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9

      37 국립국악원, "교육용 국악 표준 악보-향토민요 100선-" 국립국악원 2009

      38 교육부, "교육부, 시·도교육청과 함께 평화·통일교육 활성화 추진(보도자료)" 교육부 2018

      39 교육부, "겨울 1-2"

      40 명현, "‘아이 어르는 소리’의 음악적 특징 연구" 11 : 49-89, 2002

      41 백은빈, "‘달강달강’류 아이어르는 소리의 음악적 특징-MBC 한국민요대전 수록곡을 중심으로-" 26 : 82-119, 2016

      42 통일부 통일교육원, "EBS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 통일 퀴즈북"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9

      43 연합뉴스, "<통일 초대석> 南에 소해금 선율 전하는 탈북 박성진 씨"

      44 교육부, "2020년 학교 평화·통일교육 시행계획" 교육부 2019

      45 교육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2015-74[별책 12]"

      46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47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15-74호[별책 1]"

      48 유튜브, "2014 제1회 북한음악연주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