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돈구, "한국종교교단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2007
2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감" 대흥기획 1992
3 "태극진경"
4 홍범초, "증산사상에서 易을 어떻게 볼 것인가" 5 : 2001
5 차선근, "정역사상과 대순사상의 비교 연구 ― 우주론을 중심으로 ―" 한국종교학회 60 (60): 35-59, 2010
6 "전경"
7 강돈구, "신종교연구의 길" 22 : 1998
8 강돈구, "신종교연구서설" 6 : 1986
9 김홍철, "신인조화 사상의 원리와 그 실천이념" 대진학술원 3 (3): 103-132, 2008
10 태극도편찬원, "범증산교사" 범증산교연구원 1988
1 강돈구, "한국종교교단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2007
2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감" 대흥기획 1992
3 "태극진경"
4 홍범초, "증산사상에서 易을 어떻게 볼 것인가" 5 : 2001
5 차선근, "정역사상과 대순사상의 비교 연구 ― 우주론을 중심으로 ―" 한국종교학회 60 (60): 35-59, 2010
6 "전경"
7 강돈구, "신종교연구의 길" 22 : 1998
8 강돈구, "신종교연구서설" 6 : 1986
9 김홍철, "신인조화 사상의 원리와 그 실천이념" 대진학술원 3 (3): 103-132, 2008
10 태극도편찬원, "범증산교사" 범증산교연구원 1988
11 김일권, "동양천문사상 -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007
12 민영현, "도교사상사전"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4
13 "대순회보"
14 전국대학대진연합회, "대순학생 기초교육" 1997
15 고병철, "대순진리회의 전개와 특징"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2 : 2007
16 이경원, "대순진리회 치성의례의 종교적 특질에 관한 연구" 한국신종교학회 20 (20): 133-162, 2009
17 대순종학교재연구회, "대순사상의 이해" 대진대학교출판부 2003
18 노길명, "대순사상의 신인조화와 사회변혁" 대진학술원 3 (3): 77-102, 2008
19 이경원, "대순사상 연구의 현황과 전망" 대진학술원 2009
20 윤재근, "다종교사회에 있어서 대순진리회와 종교교육" 8 : 1999
21 대진대학교 교정원, "교화모음집" 2003
22 고남식, "강증산 관련 경전의 변이에 대한 고찰: 천지공사 이전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종교학회 통권 (통권): 247-273, 2008
23 范恩君, "道敎神仙" 中國道敎學院 1996
24 "相生의 길" 대순진리회출판부 2005
25 구중회, "玉樞經 硏究" 東文選 2006
26 "牛堂의 生涯와 思想" 대순진리회 2003
27 全羅北道, "無極大道敎槪況" 1926
28 강돈구, "正易의 종교사적 이해 In 한국종교의 이해" 집문당 1985
29 村山智順, "朝鮮の類似宗敎" 朝鮮總督府 1935
30 普天敎中央總正院, "普天敎誌" 1964
31 "太極道通鑑" 태극도본부
32 태극도편찬원, "太極道主 趙鼎山 傳記(자료편)" 태극도출판사 1992
33 대순종교문화연구소, "大巡의 길을 찾아서(手記ㆍ隨筆集)" 대순진리회출판부 1994
34 Barker,Eilen, "The Making of a Moonie:Brainwashing of Choice" Basil Blackwell 1984
35 Shepherd, John J, "Ninian Smart on World Religions" Asgate 2009
36 Clarke,Peter, "New Religions in Global Perspective" Routledge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