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19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성공적 노화의 의미와 본질을 드러내고자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는 9명의 여성노인들이 참여했으며 연구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수행하...

      본 연구는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성공적 노화의 의미와 본질을 드러내고자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는 9명의 여성노인들이 참여했으며 연구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원자료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성공적 노화 연구에서 여성이라는 젠더적 특성 그리고 지역사회의 환경을 고려한 동시에 75세 후기 노인인구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자료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이 구성한 성공적 노화의 의미는 ‘약함에 대한 감사’, ‘낙관속의 편안함’, ‘가난/고독과 친구하기’, ‘순리에 몸 맡기기’, ‘시비에서 벗어난 초연함’, ‘소소한 일상의 향유’, ‘경륜의 확장’, ‘위대한 용서’라는 8개의 본질적 주제로 결집되었다. 이 본질적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성공적 노화의 경향성과 구조를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은 연구논의에 입각하여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which aims to reveal the meaning and essence of successful aging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In this study, nine elderly women participated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earc...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which aims to reveal the meaning and essence of successful aging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In this study, nine elderly women participated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was analyzed by Giorgi"s technical phenomenological apprach. In the study of successful aging,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the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meaningful to study th population of the elderly in the late 75s.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is the tendency and structure of successful aging of research participants. Finally, The researchers made specific suggestions to support the successful anging of elderly women living in rural areas based on the discu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선행연구 검토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요약]
      • 1. 서론
      • 2. 선행연구 검토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지은,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37-153, 2007

      2 송기영, "정서사회적 노후준비가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94-206, 2018

      3 이묘숙,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289-314, 2012

      4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5 배윤조, "스포츠 활동 참여 노인의 죽음수용태도와 삶의 만족도" 한국스포츠학회 16 (16): 399-407, 2018

      6 염동문,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낙관성과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00-111, 2016

      7 이미정, "삶의 만족도가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장애유지기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67-389, 2016

      8 이민홍, "사회자본이 노인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85-110, 2015

      9 진재문, "부산시 독거노인의 빈곤유형별 삶의 질 및노인복지서비스 인지도에 관한 연구: 맞춤형복지 빈곤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327-354, 2016

      10 성명옥, "베이비붐 세대의 노노케어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732-1744, 2015

      1 백지은,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37-153, 2007

      2 송기영, "정서사회적 노후준비가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94-206, 2018

      3 이묘숙,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289-314, 2012

      4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5 배윤조, "스포츠 활동 참여 노인의 죽음수용태도와 삶의 만족도" 한국스포츠학회 16 (16): 399-407, 2018

      6 염동문,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낙관성과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00-111, 2016

      7 이미정, "삶의 만족도가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장애유지기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67-389, 2016

      8 이민홍, "사회자본이 노인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85-110, 2015

      9 진재문, "부산시 독거노인의 빈곤유형별 삶의 질 및노인복지서비스 인지도에 관한 연구: 맞춤형복지 빈곤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327-354, 2016

      10 성명옥, "베이비붐 세대의 노노케어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732-1744, 2015

      11 반금옥, "농촌지역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화, 우울과 가족기능간의 관계" 7 (7): 19-27, 2012

      12 김보람,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여가시간 신체활동(LTPA) 참여가 운동태도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6 (26): 193-207, 2017

      13 김희영, "농촌지역 노인의 주관적인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과 사회심리적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5 (35): 295-313, 2015

      14 남승구,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체조 참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스포츠학회 10 (10): 31-45, 2012

      15 박성희, "농촌여성노인의 생애사분석을 통한 성공적 노화에 관한 지역사회교육 전략"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217-244, 2009

      16 정혜윤, "농촌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167-2181, 2016

      17 김연주, "농촌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23-36, 2018

      18 윤순덕,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회 24 (24): 57-77, 2004

      19 강신옥,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비교연구-충북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9) : 287-310, 2010

      20 박경숙, "농촌과 도시 재가 생활보호노인의 욕구와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 비교" 17 (17): 175-211, 2001

      21 조시울, "농촌 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18

      22 유희정, "농촌 사별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경험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617-634, 2007

      23 안옥희, "농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99-508, 2013

      24 김원중, "논어" 휴머니스트 2017

      25 유영미,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가족지지와 친구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3 (23): 1-16, 2019

      26 양남영, "노인의 성격특성이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간호학회 23 (23): 177-185, 2016

      27 강지애,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28 남민정, "노인의 기본심리욕구와 지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30 (30): 70-78, 2018

      29 이향범, "노인여성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저항성 밴드운동의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135-144, 2018

      30 행정안전부, "노인실태조사"

      31 농림식품부, "노인소득실태"

      32 사혜지, "노인들의 여가참여, 성공적 노화, 그리고 사회적지지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 56 (56): 511-521, 2017

      33 고윤순, "노인대학에 참여하는 농촌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 능력, 여가만족 및 성공적 노화" 한국노인간호학회 11 (11): 226-235, 2009

      34 염지혜, "노노(老老)케어의 빛과 그늘: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269-297, 2016

      35 강수연, "노년기 사회활동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육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35 (35): 563-587, 2016

      36 김희경,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한국노년학회 32 (32): 819-834, 2012

      37 이신영, "국내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 관한 일 고찰" 16 (16): 117-136, 2006

      38 윤현숙,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 5-31, 2006

      39 Denzin, N,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Prentice-Hall 1989

      40 Rowe, J. W., "Sucessful aging" Pantheon Books 1998

      41 Crosnoe, R.,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 A Life course approach to aging" 65 (65): 309-328, 2002

      42 이창수,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모델에 대한 비평과 향후 과제" 한국웰니스학회 8 (8): 1-11, 2013

      43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Sage 1994

      44 Giorgi, A.,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Advanced Workshi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Ewha Woman University 2004

      45 Lincoln, Y. S,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Publication 1985

      46 Montross, L., "Correlates of self-rated successful aging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14 (14): 43-51, 2006

      47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7 2.08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