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민족의 전통사상과 정체성 - 경북의 整體性과 새마을정신의 연관성 맥락에서 - = Traditional thought of the nation and ident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8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yeongsangbukdo is the birthplace of the brilliant Silla Millennium Buddhist culture and the mysterious Gaya culture and Confucian culture of spirit of the scholar. It was national culture birthplace and Korea Culture's face, and the area of the defense spirit and the bulwark of overcoming national emergency, and was the birthplace of the national spirit exercise and the New community Movement and the nature protection movement. So residents took over the Hwarang spirit and the spirit of the scholar, faith and endurance, spirit and strong sense of justice, which emphasizes the protagonist as an illustrious future of industrial modernization also has a pioneering spirit. Therefore residents of Gyeongbuk is a dynamic, driven and creative, challenging and future oriented. Due to this identity challenge of poverty and towards affluence is New community Movement sprit, New community Movement is the spirit and its practice, the reality of today's Republic of Korea as may be the result. But If we recreate a brilliant cultural heritage which our eyes can see, namely superficial abortion and the spirit, we is the underdog. we must be followed the motivation and the spirit that made it from the superficial heritage of our ancestors. If we stay in a fixed form of superficial heritage, we lags behind the times. Now that we have to abandon the stereotypes about identity, we can accept new things. Today, Never we have to reproduce the Hwarang culture, Buddhist culture, scholars culture, modernization and new community spirit itself, we should find the fundamental heart and intrinsic motivation which such a culture was created. Challenge and innovation for a better life, change and creation for solutionof a given adversity, these things need to promote self-esteem and self-esteem and its fundamental attitude of mind, and these would melt to themself. Therefore, In response to historical and social requests, constantly the challenging attitudes and innovation to find the answer only can solve practical challenges.
      번역하기

      Gyeongsangbukdo is the birthplace of the brilliant Silla Millennium Buddhist culture and the mysterious Gaya culture and Confucian culture of spirit of the scholar. It was national culture birthplace and Korea Culture's face, and the area of the defen...

      Gyeongsangbukdo is the birthplace of the brilliant Silla Millennium Buddhist culture and the mysterious Gaya culture and Confucian culture of spirit of the scholar. It was national culture birthplace and Korea Culture's face, and the area of the defense spirit and the bulwark of overcoming national emergency, and was the birthplace of the national spirit exercise and the New community Movement and the nature protection movement. So residents took over the Hwarang spirit and the spirit of the scholar, faith and endurance, spirit and strong sense of justice, which emphasizes the protagonist as an illustrious future of industrial modernization also has a pioneering spirit. Therefore residents of Gyeongbuk is a dynamic, driven and creative, challenging and future oriented. Due to this identity challenge of poverty and towards affluence is New community Movement sprit, New community Movement is the spirit and its practice, the reality of today's Republic of Korea as may be the result. But If we recreate a brilliant cultural heritage which our eyes can see, namely superficial abortion and the spirit, we is the underdog. we must be followed the motivation and the spirit that made it from the superficial heritage of our ancestors. If we stay in a fixed form of superficial heritage, we lags behind the times. Now that we have to abandon the stereotypes about identity, we can accept new things. Today, Never we have to reproduce the Hwarang culture, Buddhist culture, scholars culture, modernization and new community spirit itself, we should find the fundamental heart and intrinsic motivation which such a culture was created. Challenge and innovation for a better life, change and creation for solutionof a given adversity, these things need to promote self-esteem and self-esteem and its fundamental attitude of mind, and these would melt to themself. Therefore, In response to historical and social requests, constantly the challenging attitudes and innovation to find the answer only can solve practical challen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상북도는 찬란한 신라 천년의 불교문화와 신비의 가야문화 그리고 선비정신의 유교문화 등 민족문화의 본산지이자 한국문화의 얼굴이고, 호국충절의 고장으로 국난극복의 보루였으며, 새마을운동과 자연보호운동 등 국민정신운동의 발상지이기도 하다고 한다. 그래서 경북인은 주도적이고 창조적이고 역동적이고 도전적이고 미래지향적이라고 한다. 특히 가난에서 풍요를 향한 도전정신이 새마을정신이고 그 실천이 새마을운동이며 오늘날의 대한민국의 현실이 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들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찬란한 문화적 유산, 즉 외형적 유산이나 정신을 재현하고 답습에 머문다면 시대적 낙오자이다. 우리는 그 외형적 유산이나 정신에서 선조들이 그것을 만든 동기와 정신을 이어받아야 한다. 오늘날 우리가 밝혀야 할 것은 화랑문화, 불교문화, 선비문화, 근대화와 새마을정신 그 자체가 아니라 그러한 문화를 받아들이고 만들어 내었던 근원적 마음과 자세인 내재적 동기를 찾아야 한다. 그 동기가 역사적으로나 현실적으로나 도전과 혁신이며, 사회적 국가적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수단과 결과물로써 영광스러운 문화적 유산을 남긴 원동력이다.
      번역하기

      경상북도는 찬란한 신라 천년의 불교문화와 신비의 가야문화 그리고 선비정신의 유교문화 등 민족문화의 본산지이자 한국문화의 얼굴이고, 호국충절의 고장으로 국난극복의 보루였으며, ...

      경상북도는 찬란한 신라 천년의 불교문화와 신비의 가야문화 그리고 선비정신의 유교문화 등 민족문화의 본산지이자 한국문화의 얼굴이고, 호국충절의 고장으로 국난극복의 보루였으며, 새마을운동과 자연보호운동 등 국민정신운동의 발상지이기도 하다고 한다. 그래서 경북인은 주도적이고 창조적이고 역동적이고 도전적이고 미래지향적이라고 한다. 특히 가난에서 풍요를 향한 도전정신이 새마을정신이고 그 실천이 새마을운동이며 오늘날의 대한민국의 현실이 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들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찬란한 문화적 유산, 즉 외형적 유산이나 정신을 재현하고 답습에 머문다면 시대적 낙오자이다. 우리는 그 외형적 유산이나 정신에서 선조들이 그것을 만든 동기와 정신을 이어받아야 한다. 오늘날 우리가 밝혀야 할 것은 화랑문화, 불교문화, 선비문화, 근대화와 새마을정신 그 자체가 아니라 그러한 문화를 받아들이고 만들어 내었던 근원적 마음과 자세인 내재적 동기를 찾아야 한다. 그 동기가 역사적으로나 현실적으로나 도전과 혁신이며, 사회적 국가적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수단과 결과물로써 영광스러운 문화적 유산을 남긴 원동력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강녕, "한국인의 호국정신과 국난극복" 한국민족사상학회 5 (5): 209-255, 2011

      2 "한국경제신문"

      3 이재규, "피터 트러거의 사회관 지식사회" 한국경제신문 2009

      4 박홍규, "주자학과 조선건국(1)" 아세아문제연구소 103 : 2000

      5 "연합뉴스"

      6 李相鎭, "성학십도 동국십팔선정" 자유문고 2011

      7 "새마을신문"

      8 金裕赫, "새마을運動의 特性과 그 發展原理, In 새마을운동과 지역사회" 檀國大學校 새마을硏究所 1979

      9 앨빈 토플러, "부의 미래" 청림출판 2006

      10 조엘 오스틴, "긍정의 힘" 두란도서원 2006

      1 김강녕, "한국인의 호국정신과 국난극복" 한국민족사상학회 5 (5): 209-255, 2011

      2 "한국경제신문"

      3 이재규, "피터 트러거의 사회관 지식사회" 한국경제신문 2009

      4 박홍규, "주자학과 조선건국(1)" 아세아문제연구소 103 : 2000

      5 "연합뉴스"

      6 李相鎭, "성학십도 동국십팔선정" 자유문고 2011

      7 "새마을신문"

      8 金裕赫, "새마을運動의 特性과 그 發展原理, In 새마을운동과 지역사회" 檀國大學校 새마을硏究所 1979

      9 앨빈 토플러, "부의 미래" 청림출판 2006

      10 조엘 오스틴, "긍정의 힘" 두란도서원 2006

      11 "경향신문"

      12 경상북도, "경북정신 및 정체성 확립을 위한 조사연구" 2011

      13 김영수, "건국의 정치: 여말선초, 혁명과 문명전환" 이학사 2006

      14 "高麗史節要"

      15 鄭在景, "韓民族의 中興思想" 신라문화사 1979

      16 朴忠錫, "韓國政治思想史" 삼영사 2002

      17 김진윤, "韓國思想의 意味와 그 原流" (사)한국정치발전연구원 13 : 2008

      18 금장태, "聖學十圖와 퇴계철학의 구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19 尹絲淳, "東洋思想과 韓國思想" 乙酉文化社 1993

      20 柳正基, "東洋思想體系" 大韓公報社 1976

      21 李基東, "新羅 花郞徒의 起源에 대한 一考察" 69 : 1976

      22 李基東, "新羅 花郞徒의 社會學的 考察" 82 : 1979

      23 李克燦, "政治學" 法文社 2001

      24 "三國遺事"

      25 "三國史記"

      26 대통령 비서실, "『새마을운동』(朴正熙大統領演說文選集)" 1978

      27 "http://www.saemaul.com/newspaper/opinion_view.asp?idx=969"

      2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8858"

      29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12750"

      30 "http://kosis.kr/feature/feature_0103List.jsp?mode=getList&menuId=03&NUM=81"

      3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o7san&logNo=110137310458"

      32 "http://100.naver.com/100.nhn?docid=125601"

      33 Erikson, E.H, "The problem of ego identity" 4 : 56-121, 1956

      34 "Political Ideologies" Prentice-Hall 1979

      35 Erikson, E.H, "Identity Youth and Crisis" W.W.Norton&Company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