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활물류서비스발전법의 주요 내용과 과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ain Contents and Issues of Consumer Logistics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48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생활물류의 역할은 여러 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 라스트마일 딜리버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라스트마일 딜리버리는 물류업체가 상품을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하기 위한 배송 ...

      생활물류의 역할은 여러 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 라스트마일 딜리버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라스트마일 딜리버리는 물류업체가 상품을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하기 위한 배송 마지막구간을 의미하는데 수익성에 한계를 느낀 물류기업들이 새로운 돌파구로서 관심을 돌리고 있는 분야이다. 둘째, 도시물류의 문제점의 해결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셋째, 공동주방형 일반 음식점 도입 등 공유경제를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2021년 1월 26일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이 제정되었고, 시행규칙과 시행령이 마련되어 7월 27일부로 시행되고 있다. 동법에서는 택배 등을 생활물류서비스사업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업과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각종지원제도를 마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물류서비스종사자의 보호를 주요 내용으로 규정하고 있다. 동법은 제20대 국회에서도 제정 시도가 있었으나 제21대 국회에서 관련 법률안은 화물업계 등 이해관계당사자, 전문가그룹과의 논의가 있었고, 법안심사과정에서 수정ㆍ보완의견이 반영되어 입법화되었다. 본 논문은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그 과제를 탐색함으로써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이 제대로 정착되어 생활물류가 활성화되고 생활물류 스타트업의 창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생활물류의 정확한 정의와 함께 관련 산업 종사자와 그 범위, 시설, 운송수단 등의 규정이 미흡하여 이의 보완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le of consumer logistics can be viewed from several dimensions. First, it plays the role of last mile delivery. Last mile delivery refers to the last section of delivery for logistics companies to deliver products directly to consumers. Second, ...

      The role of consumer logistics can be viewed from several dimensions. First, it plays the role of last mile delivery. Last mile delivery refers to the last section of delivery for logistics companies to deliver products directly to consumers. Second, it will play a role as a solver of urban logistics problems. Third, it will play a role in accelerating the sharing economy, such as introducing a common kitchen type restaurant. On January 26, 2021, the Consumer Logistics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Act was enacted, and the enforcement rules and ordinances were prepared and implemented as of July 27. The Act defines parcel delivery services as a daily logistics service business, and provides various support systems to systematically foster these businesses and industries, as well as stipulates protection of daily logistics service workers as the main content. Attempts were made to enact the same law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but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the related bills were discussed with stakeholders such as the cargo industry and expert groups, and amendments and supplementary opinions were reflect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By examining the main contents of the Consumer Logistics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Act and exploring its tasks, this thesis aim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umer Logistics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Act to revitalize the consumer logistics and to create a consumer logistics start-u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cise definition of consumer logistics, along with the regulations on related industry workers and their scope, facilities, and means of transportation are insufficient, so it needs to be supplemen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및 생활물류의 일반적 이해 Ⅲ.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도입 배경과 주요내용 Ⅳ.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Ⅴ. 결 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및 생활물류의 일반적 이해 Ⅲ.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도입 배경과 주요내용 Ⅳ.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Ⅴ. 결 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미주, "향후 10년, 국가물류 정책의 뼈대는?" 2016 (2016): 152-157, 2016

      2 한인상, "플랫폼노동 관련 최근 입법동향 및 과제" 한국비교노동법학회 51 : 203-235, 2021

      3 민연주, "스마트 생활물류 신산업 육성 및 지원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1-150, 2019

      4 구세주,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주요 내용과 향후 과" 국회입법조사처 4 (4): 1-4, 2021

      5 임종석,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정의 파급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물류학회 29 (29): 73-89, 2019

      6 국토교통부,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정안, 국회통과"

      7 김영구, "생활물류서비스법에 대한 퀵서비스의 요구" 민주노총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17-23, 2020

      8 민연주, "생활물류 신산업 육성방안" 민주노통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6-14, 2020

      9 변대호, "생활물류 스타트업의 모바일 앱 사용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21 (21): 35-48, 2021

      10 송상화, "물류혁신의 키워드, 온라인 풀필먼트 서비스" 대한상공회의소 2017 (2017): 1-42, 2017

      1 강미주, "향후 10년, 국가물류 정책의 뼈대는?" 2016 (2016): 152-157, 2016

      2 한인상, "플랫폼노동 관련 최근 입법동향 및 과제" 한국비교노동법학회 51 : 203-235, 2021

      3 민연주, "스마트 생활물류 신산업 육성 및 지원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1-150, 2019

      4 구세주,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주요 내용과 향후 과" 국회입법조사처 4 (4): 1-4, 2021

      5 임종석,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정의 파급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물류학회 29 (29): 73-89, 2019

      6 국토교통부,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정안, 국회통과"

      7 김영구, "생활물류서비스법에 대한 퀵서비스의 요구" 민주노총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17-23, 2020

      8 민연주, "생활물류 신산업 육성방안" 민주노통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6-14, 2020

      9 변대호, "생활물류 스타트업의 모바일 앱 사용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21 (21): 35-48, 2021

      10 송상화, "물류혁신의 키워드, 온라인 풀필먼트 서비스" 대한상공회의소 2017 (2017): 1-42, 2017

      11 Park, A., "물류의 새로운 플랫폼 지하배송시스템"

      12 민연주, "물류4.0시대 융복합 물류사업 발굴 및 지원방안" 한국교통연구원 2017

      13 민연주, "물류4. 0시대 도시생활물류서비스의 스마트화" 2020 (2020): 10-14, 2020

      14 민연주, "물류4. 0시대 당면과제와 대응방안" 2018 (2018): 56-58, 2018

      15 강민영,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택배물류의 마지막 1마일 시장을 잡아라" 삼정 KPMG 경제연구원 1 (1): 1-21, 2018

      16 Dolan, S, "The challenges of last mile delivery logistics and the tech solutions cutting costs in the final mile"

      17 Jørgensen, B, H., "DTU International Energy Report 2019 - Transforming Urban Mobility"

      18 장윤정, "2021.7.27. 시행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소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9 1.11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