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발효된 한-EU FTA 10년을 맞아 귀금속 및 손목시계 분야의 수출입 변화양상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국내산업에 미친 영향과 소비자의 인식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84598
인천 :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 물류MBA과정 , 2022. 2
2022
한국어
인천
48 ; 26 cm
지도교수: 김용진
I804:23009-2000006024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1년 발효된 한-EU FTA 10년을 맞아 귀금속 및 손목시계 분야의 수출입 변화양상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국내산업에 미친 영향과 소비자의 인식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을 ...
2011년 발효된 한-EU FTA 10년을 맞아 귀금속 및 손목시계 분야의 수출입 변화양상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국내산업에 미친 영향과 소비자의 인식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발효 전 10년과 발효 후 10년의 기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대상 HS 코드 3개 모두 수입의존도가 높아졌고, 국내 제품의 국제 경쟁력이 약화되었다. 한-EU FTA를 통해 EU국가의 국내 수입액이 더욱 증가하였고, 시장점유율 역시 높아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HS 코드 7113, 7117, 9101로 귀금속 주얼리, 패션주얼리, 손목시계로 한정하였다. 기존 논문에서는 특정 제품군에 대한 연구보다는 FTA 발효 후 경제 파급효과를 전반적으로 연구한 것에 반해, 본 연구는 귀금속 관련 제품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부분이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무역통계 진흥원 자료로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10년분 자료와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10년분 자료를 발효해인 2011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해당 자료는 그래프의 기울기 비교를 통해, 추이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론은 무역 관련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시장점유율 (Market Share Index: MSI)과 무역특화지수 (Trade Specification Index: TSI)를 사용하였고, 對 전세계 및 對 EU 수출입액 통계와 비교를 통해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