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계인(日系人)디아스포라의 귀환과 브라질타운형성에 관한 연구: 군마겐 오이즈미초 일계브라질인타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razil-Diaspora Return and Formation of Brazil Town: Centered on the in Ooizumi-cho, Gunma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8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panese overseas emigration history which began from 1966 when the Edo -Bakufu abolished the Maritime prohibitions has passed 145 years. Since then there were over 250,000,000 people emigrated from Japan and resided abroad. On the contrary, since 1980, with the coming of globalization of Japanese society, there were around 300,000 Japanese Diasporas and their families returning back to Japan and lived in Japan with the purpose of getting a job or studying.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se Overseas Japanese in Korea. Nowadays, the study of Overseas Japanese in North and South America is becoming more active in Japan.
      Since the amendment of immigration law in 1990, Japanese Diasporas Labors began to increase in Japan, and the study activities on them also became more active since then. Those people whose ancestors emigrated from Japan before 1945 were defined as Japanese Diasporas, and most of them resided in Brazil and different regions of the American Continent. Among them, especially those Japanese Diasporas in Brazil and other South America who had entered Japan through foreign labor visas or family visas since 1990 have formed the Japanese Diaspora Community, and attracted a lot concern in Japan.
      Since the middle of 1980s, there were a lot of Japanese Brazilians moved back to Japan for the sake of making money as the reflux immigrants, which is a main multi-national and multi-cultural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overseas migration status of Japanese Diasporas through introducing the case of Japanese Diaspora town in Ōizumi-cho of Gunma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is kind of studies would give some implications for the reflux problems of Korean Diasporas and multi-cultural policy making of Korean society.
      번역하기

      Japanese overseas emigration history which began from 1966 when the Edo -Bakufu abolished the Maritime prohibitions has passed 145 years. Since then there were over 250,000,000 people emigrated from Japan and resided abroad. On the contrary, since 198...

      Japanese overseas emigration history which began from 1966 when the Edo -Bakufu abolished the Maritime prohibitions has passed 145 years. Since then there were over 250,000,000 people emigrated from Japan and resided abroad. On the contrary, since 1980, with the coming of globalization of Japanese society, there were around 300,000 Japanese Diasporas and their families returning back to Japan and lived in Japan with the purpose of getting a job or studying.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se Overseas Japanese in Korea. Nowadays, the study of Overseas Japanese in North and South America is becoming more active in Japan.
      Since the amendment of immigration law in 1990, Japanese Diasporas Labors began to increase in Japan, and the study activities on them also became more active since then. Those people whose ancestors emigrated from Japan before 1945 were defined as Japanese Diasporas, and most of them resided in Brazil and different regions of the American Continent. Among them, especially those Japanese Diasporas in Brazil and other South America who had entered Japan through foreign labor visas or family visas since 1990 have formed the Japanese Diaspora Community, and attracted a lot concern in Japan.
      Since the middle of 1980s, there were a lot of Japanese Brazilians moved back to Japan for the sake of making money as the reflux immigrants, which is a main multi-national and multi-cultural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overseas migration status of Japanese Diasporas through introducing the case of Japanese Diaspora town in Ōizumi-cho of Gunma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is kind of studies would give some implications for the reflux problems of Korean Diasporas and multi-cultural policy making of Korean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인의 해외 이주사는 1866년에도 막부가 해외도항금지령을 폐지한 이후 100년이라는 세월이 경과하고 있다. 일본인의 해외 이주가 시작된 이후 일본인 이주자를 포함하여 그 자손들에 해당되는 해외 거주 일계인의 숫자는 250만 명을 초과하고 있다. 반대로 1980년대 전후 일본사회의 글로벌시대 도래와 함께 일본에서의 취업을 목적으로 약 30만 명의 일계인과 그 가족이 일본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인의 해외이주나 해외에서 생활하는 ‘일계인’들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일본에서는 북미와 남미의 일계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일본에서 일계인 노동자가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 입국관리법 개정으로 촉발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연구활동이 그동안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1945년 이전부터 존재한 일계인이란 원래 일본에서 해외로 이주한 사람들의 자손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그들 대부분은 브라질과 미국대륙의 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국가 출신의 대다수 일계인들이 1990년대 이후 일본에 외국인노동자나 가족비자로 입국하여 일계인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어 이들이 주목받아 왔다.
      1980년 중반이후 일계브라질인의 일본으로의 귀환이민은 돈을 벌기(데카세기) 위한 입이민(入移民) 위주로 초국적인 글로벌화 과정에서 나타난 다민족・다문화현상으로 새롭게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일계인의 해외이주 실태를 역사적인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군마겐 오이즈미초(群馬県大泉町)에 형성된 일계인타운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재외한인의 귀환 문제와 한국사회의 다문화정책 방향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번역하기

      일본인의 해외 이주사는 1866년에도 막부가 해외도항금지령을 폐지한 이후 100년이라는 세월이 경과하고 있다. 일본인의 해외 이주가 시작된 이후 일본인 이주자를 포함하여 그 자손들에 해...

      일본인의 해외 이주사는 1866년에도 막부가 해외도항금지령을 폐지한 이후 100년이라는 세월이 경과하고 있다. 일본인의 해외 이주가 시작된 이후 일본인 이주자를 포함하여 그 자손들에 해당되는 해외 거주 일계인의 숫자는 250만 명을 초과하고 있다. 반대로 1980년대 전후 일본사회의 글로벌시대 도래와 함께 일본에서의 취업을 목적으로 약 30만 명의 일계인과 그 가족이 일본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인의 해외이주나 해외에서 생활하는 ‘일계인’들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일본에서는 북미와 남미의 일계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일본에서 일계인 노동자가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 입국관리법 개정으로 촉발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연구활동이 그동안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1945년 이전부터 존재한 일계인이란 원래 일본에서 해외로 이주한 사람들의 자손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그들 대부분은 브라질과 미국대륙의 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국가 출신의 대다수 일계인들이 1990년대 이후 일본에 외국인노동자나 가족비자로 입국하여 일계인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어 이들이 주목받아 왔다.
      1980년 중반이후 일계브라질인의 일본으로의 귀환이민은 돈을 벌기(데카세기) 위한 입이민(入移民) 위주로 초국적인 글로벌화 과정에서 나타난 다민족・다문화현상으로 새롭게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일계인의 해외이주 실태를 역사적인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군마겐 오이즈미초(群馬県大泉町)에 형성된 일계인타운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재외한인의 귀환 문제와 한국사회의 다문화정책 방향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석원, "일본정부의 일계인(日係人) 정책 : JICA의 해외일계인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37) : 103-119, 2009

      2 임영언, "일계인(日系人:닛케이진)디아스포라: 초민족공동체 형성과정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46) : 455-476, 2010

      3 김재기, "세계 한민족 Diaspora와 네트워크 구축의 정치경제" 21세기정치학회 15 (15): 163-187, 2005

      4 김재기, "미국의 유대인 단체와 AIPAC의 친이스라엘 정치활동" 대한정치학회 14 (14): 351-380, 2006

      5 임성모, "근대 일본의 국내식민과 해외이민" 동양사학회 103 (103): 181-214, 2008

      6 渡邊博顕, "間接雇用の増加と日系人労働者" 531 : 2004

      7 外交資料館所蔵, "第7回送金目録, in 在外日本人送金送達雑件" 第三巻参照 1918

      8 独立行政法人国際協力機構横浜センター, "海外移住資料館展示案内-われら新世界に参加す" 算用印刷株式会社 2004

      9 "海外移住資料館ホームページ"

      10 海外移住資料館, "海外移住資料館だより"

      1 송석원, "일본정부의 일계인(日係人) 정책 : JICA의 해외일계인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37) : 103-119, 2009

      2 임영언, "일계인(日系人:닛케이진)디아스포라: 초민족공동체 형성과정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46) : 455-476, 2010

      3 김재기, "세계 한민족 Diaspora와 네트워크 구축의 정치경제" 21세기정치학회 15 (15): 163-187, 2005

      4 김재기, "미국의 유대인 단체와 AIPAC의 친이스라엘 정치활동" 대한정치학회 14 (14): 351-380, 2006

      5 임성모, "근대 일본의 국내식민과 해외이민" 동양사학회 103 (103): 181-214, 2008

      6 渡邊博顕, "間接雇用の増加と日系人労働者" 531 : 2004

      7 外交資料館所蔵, "第7回送金目録, in 在外日本人送金送達雑件" 第三巻参照 1918

      8 独立行政法人国際協力機構横浜センター, "海外移住資料館展示案内-われら新世界に参加す" 算用印刷株式会社 2004

      9 "海外移住資料館ホームページ"

      10 海外移住資料館, "海外移住資料館だより"

      11 米山裕, "日系人の経験と国際移動:在外日本人・移民の近現代史" 人文書院 2007

      12 パウリスタ新聞社, "日本・ブラジル交流人名辞典" 五月書房 1996

      13 日本ブラジル交流史編纂委員会, "日本ブラジル交流史日伯関係100年の回顧と展望" 1995

      14 大泉町住民課, "外国人登録の推移"

      15 "外務省ホームページ"

      16 渡辺雅子, "共同研究出稼ぎ日系ブラジル人(上)論文編・就労と生活" 明石書店 1995

      17 サンパウロ人文科学研究所, "ブラジル日本移民史年表" 無明舎出版 1997

      18 斉藤広志, "ブラジルにおける邦人移住者の地域的移動" 10 : 1960

      19 斉藤広志, "ブラジルにおける日系人の人口と地域的移動" 6 : 1959

      20 石川友紀, "ブラジルにおける日本移民の地域的分布と職業構成の変遷第二次世界大戦前を中心に, In 琉球大学法文学部紀要, 史学・地理学編" 1989

      21 大泉町企画調整部企画課, "くらしのべんり帳"

      22 アンジェロ, "「出稼ぎビジネス」の発生と生活環境の変化, In 共同研究出稼ぎ日系ブラジル人" 明石書店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