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고등학생의 대학 희망 전공과 선택 전공 일치 영향요인 탐색 = A Study on the Congruence between College Major Hopes and Actual Choices of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4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influencing major congruence under the premise that the congruence of students' desired college majors and actual majors measures short-term goal achievement in career education. Mean differenc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based on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s 9th and 10th panel data. First, it was found that career planning is effective in helping high school students enter their desired majors. Students who plan and prepare for their majors relatively early have a higher rate of major congruence in the arts and sciences. The probability of major congruence is higher when career planning is high. Second, students who enter their desired majors perceive college life positively.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their desired majors were more likely to be engaged in learning and satisfied with their college and less likely to want to choose another college or major.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major congruence according to student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participation in career activities,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aspirations,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ajor congruence prob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ill, these relationships were found to be different when the academic level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analysi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influencing major congruence under the premise that the congruence of students' desired college majors and actual majors measures short-term goal achievement in career education. Mean difference tests and logistic regre...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influencing major congruence under the premise that the congruence of students' desired college majors and actual majors measures short-term goal achievement in career education. Mean differenc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based on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s 9th and 10th panel data. First, it was found that career planning is effective in helping high school students enter their desired majors. Students who plan and prepare for their majors relatively early have a higher rate of major congruence in the arts and sciences. The probability of major congruence is higher when career planning is high. Second, students who enter their desired majors perceive college life positively.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their desired majors were more likely to be engaged in learning and satisfied with their college and less likely to want to choose another college or major.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major congruence according to student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participation in career activities,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aspirations,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ajor congruence prob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ill, these relationships were found to be different when the academic level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analy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등학교 시기는 학생이 진로계획에 있어서 가치와 관점을 설정하고, 대학에서 심화학습할 전공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시간이라는 점에서 효과적인 진로교육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등학교 시기 학생의 희망 전공과 실제 대학 전공의 일치가 진로교육의 단기적 목표 달성 척도라는 전제하에 전공일치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경기교육종단연구 초등학교 패널의 고등학교 3학년 및 대학교 1학년 시기의 자료를 바탕으로, 평균차이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진로계획 수립은 고등학생이 희망 전공으로 진학하는 데 효과적이다. 상대적으로 일찍 희망 전공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예체능 계열, 수시전형에서 전공일치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진로계획성이 높을 때 전공일치 확률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망 전공에 진학한 학생은 대학생활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전공일치 대학생은 학습참여도와 대학에 대한 만족감이 높으며, 대학과 전공을 다시 선택하는 것을 희망하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생 특성에 따라 직업적, 개인적, 환경적 요인이 전공일치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다. 진로계획성, 진로활동참여도, 학업성적, 교육포부, 부모자녀일치, 부모학력과 전공일치확률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이러한 관계는 학업수준을 세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할 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진로교육에 있어 자기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의 각 진로활동 영역이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진로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진로교육의 지지자로서 학부모에 대한 연수 제공이 필요함 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고등학교 시기는 학생이 진로계획에 있어서 가치와 관점을 설정하고, 대학에서 심화학습할 전공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시간이라는 점에서 효과적인 진로교육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고등학교 시기는 학생이 진로계획에 있어서 가치와 관점을 설정하고, 대학에서 심화학습할 전공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시간이라는 점에서 효과적인 진로교육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등학교 시기 학생의 희망 전공과 실제 대학 전공의 일치가 진로교육의 단기적 목표 달성 척도라는 전제하에 전공일치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경기교육종단연구 초등학교 패널의 고등학교 3학년 및 대학교 1학년 시기의 자료를 바탕으로, 평균차이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진로계획 수립은 고등학생이 희망 전공으로 진학하는 데 효과적이다. 상대적으로 일찍 희망 전공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예체능 계열, 수시전형에서 전공일치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진로계획성이 높을 때 전공일치 확률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망 전공에 진학한 학생은 대학생활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전공일치 대학생은 학습참여도와 대학에 대한 만족감이 높으며, 대학과 전공을 다시 선택하는 것을 희망하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생 특성에 따라 직업적, 개인적, 환경적 요인이 전공일치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다. 진로계획성, 진로활동참여도, 학업성적, 교육포부, 부모자녀일치, 부모학력과 전공일치확률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이러한 관계는 학업수준을 세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할 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진로교육에 있어 자기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의 각 진로활동 영역이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진로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진로교육의 지지자로서 학부모에 대한 연수 제공이 필요함 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문선 ; 김지현 ; 김복환, "후기 청소년 직업포부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 요인" 한국상담학회 15 (15): 1495-1513, 2014

      2 김경근 ; 변수용,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7, 2006

      3 김희규 ; 주영효, "학생부종합전형 개선을 위한 학생부 기재 항목 중요도-신뢰도 분석" 안암교육학회 25 (25): 159-186, 2019

      4 이명애, "학부제에서의 전공선택 및 전공결정 과정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81-101, 2007

      5 고홍월 ; 황재원 ; 이자명, "초기 대학생활경험이 향후 전공일치도 및 직무·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47-866, 2018

      6 이응택 ; 이은경, "청소년의 진로미결정 변화양상과 진로장벽의 시간효과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41-460, 2015

      7 유홍준 ; 김기헌 ; 신인철 ; 오병돈, "청소년의 직업포부와 희망직업 -대학전공 선택과의 관련성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91-110, 2013

      8 김성환 ; 박상우, "청소년의 가정환경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학회 16 (16): 199-214, 2008

      9 어윤경,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1793-1811, 2011

      10 장석민, "진학과 직업 선택을 위한 고등학교 진로 교육지도안" 한국교육개발원 1989

      1 하문선 ; 김지현 ; 김복환, "후기 청소년 직업포부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 요인" 한국상담학회 15 (15): 1495-1513, 2014

      2 김경근 ; 변수용,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7, 2006

      3 김희규 ; 주영효, "학생부종합전형 개선을 위한 학생부 기재 항목 중요도-신뢰도 분석" 안암교육학회 25 (25): 159-186, 2019

      4 이명애, "학부제에서의 전공선택 및 전공결정 과정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81-101, 2007

      5 고홍월 ; 황재원 ; 이자명, "초기 대학생활경험이 향후 전공일치도 및 직무·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47-866, 2018

      6 이응택 ; 이은경, "청소년의 진로미결정 변화양상과 진로장벽의 시간효과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41-460, 2015

      7 유홍준 ; 김기헌 ; 신인철 ; 오병돈, "청소년의 직업포부와 희망직업 -대학전공 선택과의 관련성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91-110, 2013

      8 김성환 ; 박상우, "청소년의 가정환경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학회 16 (16): 199-214, 2008

      9 어윤경,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1793-1811, 2011

      10 장석민, "진학과 직업 선택을 위한 고등학교 진로 교육지도안" 한국교육개발원 1989

      11 강순희 ; 이상준, "진로지도가 전공 선택, 고용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1-18, 2009

      12 전현영 ; 손은령, "진로의사결정에서의 타협과정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1-17, 2012

      13 임언,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보고서(01-1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14 이호준 ; 김영식 ; 양민석, "진로교육정책 변화에 따른 일반고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변화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8 (28): 81-107, 2019

      15 장석민, "진로교육의 기본개념과 철학 및 실천방향 탐색" 27 (27): 29-56, 2014

      16 조현영 ; 손민호, "진로교육은 언제 역량교육이 되는가?"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199-219, 2017

      17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동문사 2004

      18 김봉환, "진로교육개론" 사회평론 2017

      19 임언, "직업가치관 검사 개발 보고서(01-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20 최수정, "중등단계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사회경제적 수준 및 학업성적과 진로성숙변화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변화모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31-57, 2007

      21 문찬주 ; 이민욱, "중·고등학교 진로체험의 운영 결과 및 성과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35 (35): 1-22, 2022

      22 박나실, "일반고 진로교육에 관한 주요 쟁점 검토: 교육목표와 실행 주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151-176, 2017

      23 황여정,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정보인지수준 영향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31-158, 2007

      24 홍세희,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육과학사 2005

      25 정철영 ; 정진철 ; 이종범 ; 정동열 ; 임효신 ; 이서정 ; 임정훈,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155-171, 2015

      26 이윤경 ; 양기종 ; 유재연, "예체능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이 첫 일자리 전공일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10 (10): 79-99, 2020

      27 김수현, "예술 계열 전공 인력수급 분석(2016-56)" 한국고용정보원 2016

      28 정설미, "시·도교육청의 진로교육 여건과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수준의 관계 분석"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4 (24): 31-59, 2021

      29 정서영, "성별, 대학의 유형, 부모의 학력에 따른 진로타협요인 및 진로타협절차의 차이 비교" 전북대 법학전문대학원 796 : 2016

      30 한국진로교육학회, "선진 패러다임을 위한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1

      31 이기형 ; 전윤두, "상업정보계고교의 교육환경 변인과 진로선택의 상관관계 분석" 글로벌경영학회 6 (6): 59-86, 2009

      32 윤민종, "사교육은 “수시” 탓? 대학 입학 전형에 따른 사교육비 차이 탐색" 한국교육학회 59 (59): 215-238, 2021

      33 허균,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의 최초 진로고민과 진로장벽 경험 시점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01-118, 2014

      34 이종호, "부산지역 조리ㆍ외식전공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요인이 전공 선택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19 (19): 69-85, 2011

      35 문찬주 ; 이영선 ; 이지영 ; 정동욱, "부모-자녀 간 희망전공계열 일치가 중학생의 학습 경험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0 (20): 617-645, 2019

      36 정철영 ; 이영광, "부모 진로지지 관련 변인과 청소년 진로선택 및 발달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33 (33): 125-151, 2020

      37 김기헌 ; 오병돈, "대학 전공 선택: 성별 및 가족배경 요인 검증"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59-84, 2013

      38 윤수경 ; 한유경 ; 임소현 ; 김화영, "대학 및 전공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2 (42): 87-107, 2015

      39 정지선 ; 이수정 ; 신정철,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 분석: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4 (14): 53-78, 2011

      40 이정미 ; 길혜지, "대졸자의 대학교육 및 취업 준비 경험이 전공일치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127-148, 2019

      41 이상준,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결정요인과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대학 전공학과 선택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7 (17): 385-408, 2011

      42 김경근 ; 전하람, "고등학생의 교육포부 결정요인 분석: 의미 있는 타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85-206, 2006

      43 徐雨錫,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과 관련변인"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44 김성길,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이오북스 2018

      45 안연근,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삼양미디어 2018

      46 이용순,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미래엔 2021

      47 박종섭, "고등학교 진로교육 목적 및 프로그램 현황 분석-J지역을 중심으로-" 26 : 69-93, 2017

      48 유정,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역할" 4 (4): 81-95, 2012

      49 윤옥한, "고교학점제도 문제점 해결을 위한 운영 방향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21 (21): 236-246, 2021

      50 이재덕 ; 김도기 ; 박태양 ; 이길재,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필요 교원수 추산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9 (39): 325-345, 2021

      51 장재성 ; 문성채 ; 이상봉, "강원도 춘천·원주·강릉 지역 일반고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및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기술교육학회 17 (17): 83-100, 2017

      52 Balsamo, M., "Work values and college major choice" 24 : 110-116, 2013

      53 Ware, N. C., "Undergraduate women : Who chooses a science major" 56 (56): 73-84, 1985

      54 Osipow, S. H.,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 Prentice-Hall 1983

      55 Babbie, E. R.,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Cengage Learning 2020

      56 Tracey, T. J. G., "The interest-major congruence and college success relation : A longitudinal study" 69 (69): 64-89, 2006

      57 O’Brien, K. M.,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 women" 48 (48): 257-274, 1996

      58 Leppel, K., "The impact of parental occup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on choice of college major" 22 (22): 373-394, 2001

      59 Iselin, E., "The impact of information diversity on information overload effects in unstructured managerial decision making" 15 (15): 163-173, 1989

      60 Wolniak, G. C., "The effects of college major and job field congruence on job satisfaction" 67 (67): 233-251, 2005

      61 Sewell, W. H., "The educational and early occupational attainment process" 34 (34): 82-92, 1969

      62 Schoon, I., "Teenage aspirations for future careers and occupational outcomes" 60 (60): 262-288, 2002

      63 Lawrence, C. H., "Statistics with Stata: Updated for version 12" Cengage Learning 2013

      64 Werfhorst, H. G., "Social class, ability and choice of subject in secondary and tertiary education in Britain" 29 (29): 41-62, 2003

      65 Ware, N. C., "Sex differences in choice of college science majors" 25 (25): 593-614, 1988

      66 Allen, J., "Prediction of college major persistence based on vocational interests, academic preparation, and first-year academic performance" 49 (49): 62-79, 2008

      67 Bawden, D., "Perspectives on information overload" 51 (51): 249-255, 1999

      68 Balsamo, M., "Personality and college major choice : Which come first?" 3 (3): 399-405, 2012

      69 Holland, J. L.,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7

      70 Davies, S., "Fields of study, college selectivity, and student inequalities in higher education" 75 (75): 1417-1438, 1997

      71 Allen, J., "Effects of interest-major congruence,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on timely degree attainment" 57 (57): 23-35, 2010

      72 Trusty, J., "Effects of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nd early academic performance on postsecondary educational choice" 78 (78): 463-472, 2000

      73 Päßler, K., "Do interests and cognitive abilities help explain college major choice equally well for women and men?" 20 (20): 479-496, 2012

      74 Gottfredson, L. S.,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28 (28): 545-579, 1981

      75 Gray, M. P., "Advancing the assessment of women’s career choices : The career aspiration scale" 15 (15): 317-337, 2007

      76 Sawitri, D. R.,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as a predictor of job search preparatory behaviors : The role of proactivity" 49 (49): 60-75, 2022

      77 Rogers, M. E.,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adolescent career planning and exploration using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ramework" 34 (34): 163-172, 2011

      78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79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해설(고등학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