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곤약의 제조 및 품질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956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산물 가공 부산물로 여겨지는 미더덕 껍질을 소재로 한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건조한 미더덕 껍질에 물을 가하여 끓인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미더덕 껍질 추출물 함유 곤약...

      수산물 가공 부산물로 여겨지는 미더덕 껍질을 소재로 한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건조한 미더덕 껍질에 물을 가하여 끓인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미더덕 껍질 추출물 함유 곤약을 제조하였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항산화능을 보유하고 있었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 함유 곤약의 색도는 미더덕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지만 a값과 b값은 증가하였고, 갈색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미더덕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곤약의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였으며, 절곡검사 결과 모든 곤약에서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맛과 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미더덕 특유의 맛과 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질감과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곤약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인 선호도는 25% 농도의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곤약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적절한 농도의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이용하면 기존의 곤약과 비교하여 영양적, 물성적, 관능적으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제품이 제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yela (S.) clava (Korean name: miduduk) tunic is produced as a by-product after processing of S. clava. For utilizing this tunic, a konjac containing the tunic extracts was prepared and the qualities evaluated for their color, textural properties, an...

      Styela (S.) clava (Korean name: miduduk) tunic is produced as a by-product after processing of S. clava. For utilizing this tunic, a konjac containing the tunic extracts was prepared and the qualities evaluated for their color,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The tunic extract was prepared by boiling tunic with water, followed by filtration through filter paper. Significant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in the tunic extract.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unic extract in the konjac tended to decrease lightness (L) and increase the redness (a) and the yellowness (b) of the konjac. The strength and hardness of the konjac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tunic extract. All test samples with a 3 mm thickness had good flexibility and did not break even after 4 times folds. In sensory evaluations, the konjac containing 25% S. clava tunic extracts acquired a relatively higher score. The results suggest that S. clava tunic can be applied to konjac products to improve their quality and function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원, "채취시기에 따른 미더덕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ACE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31-336, 2010

      2 이승철, "주름 미더덕(Styela plicata)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항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937-941, 2005

      3 이승철, "암세포주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823-827, 2006

      4 박은주, "알코올로 인한 흰쥐의 백혈구 및 간 DNA 손상에 미치는미더덕과 오만둥이 분말의 보충섭취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271-1278, 2007

      5 정은실, "미더덕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674-1678, 2008

      6 배명숙, "미더덕을 첨가한 김치의 발효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573-579, 2008

      7 이승철,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및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038-1042, 2007

      8 이승철, "미더덕 함유 어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908-911, 2006

      9 안삼환, "미더덕 껍질로부터 Glycosaminoglycans의 추출" 한국생물공학회 18 (18): 180-185, 2003

      10 최소연, "미더덕 껍질 분말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및 품질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591-1595, 2012

      1 이동원, "채취시기에 따른 미더덕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ACE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31-336, 2010

      2 이승철, "주름 미더덕(Styela plicata)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항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937-941, 2005

      3 이승철, "암세포주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823-827, 2006

      4 박은주, "알코올로 인한 흰쥐의 백혈구 및 간 DNA 손상에 미치는미더덕과 오만둥이 분말의 보충섭취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271-1278, 2007

      5 정은실, "미더덕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674-1678, 2008

      6 배명숙, "미더덕을 첨가한 김치의 발효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573-579, 2008

      7 이승철,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및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038-1042, 2007

      8 이승철, "미더덕 함유 어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908-911, 2006

      9 안삼환, "미더덕 껍질로부터 Glycosaminoglycans의 추출" 한국생물공학회 18 (18): 180-185, 2003

      10 최소연, "미더덕 껍질 분말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및 품질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591-1595, 2012

      11 이승철, "가공방법 및 용매에 따른 미더덕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278-283, 2006

      12 Choi BD., "Utilization of ascidian(Halocynthia roretzi)tunic. 3. Carotenoid compositions of ascidian tunic" 27 : 344-350, 1994

      13 Joh YG., "The sterol composition of Styela clava" 11 : 97-101, 1978

      14 Fellegrini N.,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 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99 : 379-389, 1999

      15 SPSS., "SPSS 14.0 for Windows" SPSS Inc. 2006

      16 Kang N., "Purific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 from peptic hydrolysates of Miduduk(Styela clava)flesh tissue"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in press 2013

      17 Ko SC.,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Styela clava flesh tissue" 47 : 34-40, 2012

      18 Yoo MH.,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s prepared with glucomannan extracted from Amorphophallus konjac" 29 : 255-260, 1997

      19 Kang KH., "Food Analysis" Sungkyungkwan University Academic Press 387-394, 1998

      20 Adekunte AO., "Effect of sonication on colour, ascorbic acid and yeast inactivation in tomato juice" 122 : 500-50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