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는 일단 감염이 되면 그 활동범위가 숙주세포내로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세포외로 노출될 기회가 매우 적다. 그러므로 백신의 접종에 의해 생성된 항체가 혈액내에 많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590780
1994
Korean
518.000
학술저널
71-79(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바이러스는 일단 감염이 되면 그 활동범위가 숙주세포내로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세포외로 노출될 기회가 매우 적다. 그러므로 백신의 접종에 의해 생성된 항체가 혈액내에 많이 ...
바이러스는 일단 감염이 되면 그 활동범위가 숙주세포내로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세포외로 노출될 기회가 매우 적다. 그러므로 백신의 접종에 의해 생성된 항체가 혈액내에 많이 존재하더라도 그 항체가 바이러스를 직접 공격할 수 있는 기회는 매우 적게 된다. 한편, 체내에서 바이러스의 감염을 완화하여 궁극적으로 그 감염으로부터 완전히 회복되는 것은 체내의 면역방응을 통하여 유도되는 CTL에 희한 감염세포의 직접적인 파괴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CTL의 작용에 의해 세포 밖으로 노출된 바이러스는 혈중에 존재하는 항체나 다른 식균세포의 작용으로 분해 처리된다. 그러나 이렇듯 특정항원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CTL을 선택적으로 유발시키는 것은 종래의 백신을 통하여서는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따라서 종래의 백신이 기능하는 항체생산을 유도하는 방향보다 CTL의 생산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백신이 개발된다면, 그 백신은 치료제로서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The Effect of Vitamin A and Its Provitamins on the Interaction of Anticancer Agents with DNA
상황(Phellinus linteus)의 Guinea pig 적출 심장에 대한 보호 작용 및 항혈소판응집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