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지하다시피 설화는 구구 전숭되어온 구비문학이다 가장 自自然然한 자연스러운 문학이다 그 속에 해당 민족의 원형-집단무의식이 습배여 있다 칼•융의 신화원형비평은 이를 잘 설명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주지하다시피 설화는 구구 전숭되어온 구비문학이다 가장 自自然然한 자연스러운 문학이다 그 속에 해당 민족의 원형-집단무의식이 습배여 있다 칼•융의 신화원형비평은 이를 잘 설명해...
주지하다시피 설화는 구구 전숭되어온 구비문학이다 가장 自自然然한 자연스러운 문학이다 그 속에 해당 민족의 원형-집단무의식이 습배여 있다 칼•융의 신화원형비평은 이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이로부터 설화를 통한 해당 민족의 집단무의식을 읽어내기는 문학 내지는 민족학 연구의 하나의 좋은 시각과 방법이 되겠다. 중국조선족은 디아스포라적인 존재 조선족문학은 알게 모르게 조선족의 디아스포라적인 특성을 표현해왔다. 이 가운데 설화가 집단적인 문학으로서 가상 확실하게 그 몫을 해왔음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조선족설화는 한민즉 전래설화와 자생설화로 나누어볼 수 있다. 1) 물론 전래설화를 통해서도 조선족의 디아스포라적인 특색을 알 수 있겠지만 자생설화를 통하여 보다 집중적으로 그 특색을 알수 있다. 조선족설화는 그간 학계에서 "중국조선즉 구비문학연구"(김동훈, 한국문화사 1999), "중국조선족 설화 종합적 연구" 등 저서를 비롯한 연구업적이 제법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문학연구의 주요 포커스의 하나로 되고 있는 디아스포라를 둘러싼 논의는 그리 진행되지 못한 아쉬움을 노정 하고 있다. 본고는 이린 아쉬움을 얼마간 들어보고자 출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s known to all, tale is a kind of natural literature and folklore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and it infiltrates ethnic archetype-Collective Unconscious which is one of Carl Gustav Jung's theories. Therefore, it is a good ...
As is known to all, tale is a kind of natural literature and folklore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and it infiltrates ethnic archetype-Collective Unconscious which is one of Carl Gustav Jung's theories. Therefore, it is a good perspective and method for the studies on literature and even the whole nation by approaching ethnic collective unconscious through tales.
China's ethnic Koreans is an existence of diaspora which is naturally shown in the literary works of this ethnic group.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ale shows its value as a kind of collective literature. Tales of China's ethnic Koreans include traditional stories and wild tales. Diaspora can certainly be found in traditional stories, while it sparkles in wild tales. Tales of ethnic Koreans have been studied in literary world for so long, such as "Studies on folklore of China's ethnic Koreans" (Kim Dong-Hoon, Korean literature 1999) "Holistic Approach on Tales of China's ethnic Koreans" (sketch-up made in Information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2002), etc. Diaspora is not so much referred to in the previous studies and achievements,. On this basis, this essay is focused on diaspora which is one of the hottest spots in recent literary studi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