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80년대 民族運動史연구 기반의 형성과 학회 창립의 의의 - 韓國民族運動史學會의 사례를 중심으로 - = The Formation of Research Foundations for National Movement Studies and the Significance of Establishing an Academic Society in the 1980s - a Case Study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memorate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in 2024, examining the formation of the research foundation for national movement history in 1980s Korea,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 society's establishment and its early activities. The 1982 controversy surrounding the distortion of Japanese history textbooks heightened public interest in th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Korean resistance during the modern period,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institutions such as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which in turn catalyzed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Founded in 1984, the association has systematically deepened research on independence and national movements, becoming a vital pillar in the stud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The process of naming the association and its journal reflects the academic efforts of the time to encompass not only anti-colonial independence movements but also the broader spectrum of modern national movements. Following its establishment, the association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national movement history research through activities such as academic presentations, historical text readings, conferences, and the publication of its journal.
      This study highlights the pivotal role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in solidifying national movement history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particularly through its activities and publications that have shaped the academic identity and status of this discipline. It suggests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views of Korean national movement histor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to further the scholarly development of this field and to explore new research methodologies.
      번역하기

      This study commemorate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in 2024, examining the formation of the research foundation for national movement history in 1980s Korea, as well as...

      This study commemorate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in 2024, examining the formation of the research foundation for national movement history in 1980s Korea,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 society's establishment and its early activities. The 1982 controversy surrounding the distortion of Japanese history textbooks heightened public interest in th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Korean resistance during the modern period,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institutions such as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which in turn catalyzed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Founded in 1984, the association has systematically deepened research on independence and national movements, becoming a vital pillar in the stud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The process of naming the association and its journal reflects the academic efforts of the time to encompass not only anti-colonial independence movements but also the broader spectrum of modern national movements. Following its establishment, the association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national movement history research through activities such as academic presentations, historical text readings, conferences, and the publication of its journal.
      This study highlights the pivotal role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in solidifying national movement history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particularly through its activities and publications that have shaped the academic identity and status of this discipline. It suggests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views of Korean national movement histor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to further the scholarly development of this field and to explore new research methodolog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24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1980년대 한국에서 민족운동사 연구의 기반 형성과 한국민족운동사학회의 창립 및 초기 활동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1982년 일본의 역사 교과서왜곡 사건을 계기로 한국 사회에서는 근대시기 일제의 침략과 민족적 저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으며, 이는 독립기념관과 국가보훈처와 같은 관련 연구기관의 설립 및 발전과 더불어 한국민족운동사학회의 탄생을촉진하였다.
      1984년 창립된 한국민족운동사학회는 독립운동사와 민족운동사 연구를 체계적으로 심화하며 근현대사 연구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였다. 학회의 명칭 및 학회지 제호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항일독립운동 뿐만 아니라 근대 민족운동 전반을 포괄하려는 당대의 학문적 고민과 연구 방향이 반영되었다. 창립 후 학회는 연구발표회, 고전독회, 학술회의, 학회지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민족운동사 연구의 심화와 외연 확대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사회적·학문적 배경과 한국민족운동사학회의 창립 및 초기 활동을 통해, 민족운동사 연구가 하나의 독립적 학문 분야로 자리 잡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회의 활동과 학술지에 나타나는 연구 방향이 민족운동사라는 연구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과 위상을 형성하는 데 의미 있는 기여를 했음을 밝혔다. 향후 한국민족운동사 연구의 종합적 검토와 국제적 비교연구를 통해 민족운동사의 학문적 발전과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2024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1980년대 한국에서 민족운동사 연구의 기반 형성과 한국민족운동사학회의 창립 및 초기 활동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1982년 ...

      본 연구에서는 2024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1980년대 한국에서 민족운동사 연구의 기반 형성과 한국민족운동사학회의 창립 및 초기 활동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1982년 일본의 역사 교과서왜곡 사건을 계기로 한국 사회에서는 근대시기 일제의 침략과 민족적 저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으며, 이는 독립기념관과 국가보훈처와 같은 관련 연구기관의 설립 및 발전과 더불어 한국민족운동사학회의 탄생을촉진하였다.
      1984년 창립된 한국민족운동사학회는 독립운동사와 민족운동사 연구를 체계적으로 심화하며 근현대사 연구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였다. 학회의 명칭 및 학회지 제호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항일독립운동 뿐만 아니라 근대 민족운동 전반을 포괄하려는 당대의 학문적 고민과 연구 방향이 반영되었다. 창립 후 학회는 연구발표회, 고전독회, 학술회의, 학회지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민족운동사 연구의 심화와 외연 확대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사회적·학문적 배경과 한국민족운동사학회의 창립 및 초기 활동을 통해, 민족운동사 연구가 하나의 독립적 학문 분야로 자리 잡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회의 활동과 학술지에 나타나는 연구 방향이 민족운동사라는 연구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과 위상을 형성하는 데 의미 있는 기여를 했음을 밝혔다. 향후 한국민족운동사 연구의 종합적 검토와 국제적 비교연구를 통해 민족운동사의 학문적 발전과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