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인식 형성 과정 연구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에 대한 의미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Building Process of South Korean People about the Residents Escaping North Korea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Media Reports and Audiences’ Percep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37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Based on media effects theor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between media reports and audiences’ perceptions in order to explore how South Korean people consider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Methods For analyzing media perspectives, this study collected 757 newspaper articles from 14 newspaper organizations from January 1st 2017 to December 31st 2019. For analyzing audience persp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the general South Korean people. Finally, a seri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analysing those data.
      Results In the newspapers, words such as Saetemin and residents escaping North Korea were used to closely associate with internal issues like unification betwwen South and North Koreas; while a word like North Korean defectors was closely linked to international issues like human rights.
      The perceptions of audiences included key words like concerns, support, and help.
      Conclusions Newspapers in South Korea have utilized the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inter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 audiences has perceived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pitiful images and emotions. In the PR campaign, PR professionals should attempt to decrease multi-purpose uses of the newspapers and potential negative images of the audiences.
      번역하기

      Objectives Based on media effects theor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between media reports and audiences’ perceptions in order to explore how South Korean people consider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Methods For analyzing ...

      Objectives Based on media effects theor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between media reports and audiences’ perceptions in order to explore how South Korean people consider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Methods For analyzing media perspectives, this study collected 757 newspaper articles from 14 newspaper organizations from January 1st 2017 to December 31st 2019. For analyzing audience persp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the general South Korean people. Finally, a seri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analysing those data.
      Results In the newspapers, words such as Saetemin and residents escaping North Korea were used to closely associate with internal issues like unification betwwen South and North Koreas; while a word like North Korean defectors was closely linked to international issues like human rights.
      The perceptions of audiences included key words like concerns, support, and help.
      Conclusions Newspapers in South Korea have utilized the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inter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 audiences has perceived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pitiful images and emotions. In the PR campaign, PR professionals should attempt to decrease multi-purpose uses of the newspapers and potential negative images of the audie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이 연구는 한국 사람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미디어 효과 이론에 근거해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미디어 보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14개 신문사에서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사 757건을 수집하였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여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시행하여 미디어 보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북한이탈주민 관련 신문 보도에서 새터민과 북한이탈주민은 통일 문제와 같은 국내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탈북자는 난민, 인권 문제와 같은 국제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네트워크에는 관심, 지원, 도움, 적응, 동포 등과 같은 핵심어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신문 보도에서 북한이탈주민은 국내적 시각과 국제적 시각으로 구분해서 바라보고 있었다. 수용자는 북한이탈주민과 연관된 이야기를 이성적인 단어에 의존해서 기억하기보다는 이미지나 감정적인 단어에 의존해서기억하고 있었다. PR의 공공 캠페인 차원에서 신문의 목적에 따른 용어 혼용을 제한하고 일관된 용어 사용을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에서 존재하는 부정적인 단어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이 연구는 한국 사람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미디어 효과 이론에 근거해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을 비교, ...

      배경 및 목적이 연구는 한국 사람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미디어 효과 이론에 근거해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미디어 보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14개 신문사에서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사 757건을 수집하였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여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시행하여 미디어 보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북한이탈주민 관련 신문 보도에서 새터민과 북한이탈주민은 통일 문제와 같은 국내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탈북자는 난민, 인권 문제와 같은 국제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네트워크에는 관심, 지원, 도움, 적응, 동포 등과 같은 핵심어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신문 보도에서 북한이탈주민은 국내적 시각과 국제적 시각으로 구분해서 바라보고 있었다. 수용자는 북한이탈주민과 연관된 이야기를 이성적인 단어에 의존해서 기억하기보다는 이미지나 감정적인 단어에 의존해서기억하고 있었다. PR의 공공 캠페인 차원에서 신문의 목적에 따른 용어 혼용을 제한하고 일관된 용어 사용을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에서 존재하는 부정적인 단어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장령령,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 25 (25): 295-318, 2014

      3 권수현, "피를 나눈 형제, 이웃보다 못한 친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과 결정요인, 2007-2014"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0 (30): 123-160, 2015

      4 태지호,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 A)의 탈북 여성들의 사적 기억 재구성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하여" 한국언론정보학회 60 (60): 104-124, 2012

      5 이민규, "탈북자들의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에 따른 남한사회 현실 인식에 관한 연구 : 문화계발 효과와 문화 동화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248-273, 2004

      6 이재창, "탈북자들의 심리적 특성이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 탈북자들과 남한주민들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41-66, 2005

      7 오원환, "탈북자 정체성의 정치학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과 ‘탈북자’ 정체성의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0 (30): 5-41, 2016

      8 박현선, "탈북자 국내 정착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 북한연구학회 6 (6): 209-240, 2002

      9 방희경, "탈북민 프로그램과 ‘정동(affect)’의 정치 : 미디어 문화연구 확장을 위한 시론" 한국언론정보학회 87 (87): 135-171, 2018

      10 이선민, "탈북 여성은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 A)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75-115, 2014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장령령,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 25 (25): 295-318, 2014

      3 권수현, "피를 나눈 형제, 이웃보다 못한 친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과 결정요인, 2007-2014"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0 (30): 123-160, 2015

      4 태지호,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 A)의 탈북 여성들의 사적 기억 재구성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하여" 한국언론정보학회 60 (60): 104-124, 2012

      5 이민규, "탈북자들의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에 따른 남한사회 현실 인식에 관한 연구 : 문화계발 효과와 문화 동화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248-273, 2004

      6 이재창, "탈북자들의 심리적 특성이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 탈북자들과 남한주민들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41-66, 2005

      7 오원환, "탈북자 정체성의 정치학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과 ‘탈북자’ 정체성의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0 (30): 5-41, 2016

      8 박현선, "탈북자 국내 정착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 북한연구학회 6 (6): 209-240, 2002

      9 방희경, "탈북민 프로그램과 ‘정동(affect)’의 정치 : 미디어 문화연구 확장을 위한 시론" 한국언론정보학회 87 (87): 135-171, 2018

      10 이선민, "탈북 여성은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 A)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75-115, 2014

      11 나은경, "정서의 프레이밍: 경제 뉴스 보도 기사의 정서 반응 유발 효과" 한국언론학회 52 (52): 378-406, 2008

      12 김동수, "외국인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인식:6개 외국인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1-23, 2011

      13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회 49 (49): 5-32, 2005

      14 김예란, "여성 탈북민에 대한 감정경제: 여성 탈북민 출연 프로그램의 생산 및 수용의 회로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3 (53): 105-148, 2016

      15 송경화, "신문기사의 언어 사용 양상: 코퍼스언어학적 접근" 한국인지과학회 17 (17): 255-269, 2006

      16 손현정, "성범죄 보도가 여성 수용자의 사회적 현실인식에 미치는 영향:2단계 문화계발 모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언론학회 56 (56): 357-378, 2012

      17 이윤수, "새터민 인식에 대한 사회경제적 결정요인" 국회입법조사처 6 (6): 197-222, 2014

      18 정진원,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55-182, 2019

      19 김기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 상징정치이론과 경제이익이론을 이용한 시계열 분석" 극동문제연구소 34 (34): 1-36, 2018

      20 추병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고정관념 해소를 위한 교수 전략" 평화문제연구소 23 (23): 29-62, 2011

      21 안이수,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7-45, 2018

      22 양계민,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97-115, 2005

      23 이준웅, "미세먼지 재해 보도의 프레임 분석 : 구조적 주제모형(Structural Topic Modeling)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62 (62): 125-158, 2018

      24 김희상, "미디어 접촉에 따른 북한이탈주민 수용성의 변화" 사회과학연구소 25 (25): 8-42, 2017

      25 우형진, "문화계발이론의 ‘공명효과’ (resonance effect)에 대한 재 고찰: 위험인식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254-276, 2006

      26 권금상, "대중매체가 생산하는 ‘이주여성’ 재현의 사회적 의미: 결혼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 TV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6 (6): 39-81, 2013

      27 곽정래, "김대중ㆍ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구 : 「조선일보」ㆍ「한겨레」 등 5대 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196-217, 2009

      28 임종섭, "근거이론방법의 고찰과 언론학 연구에 주는 함의: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의 탈북자 기획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427-452, 2015

      29 최윤형, "“대한민국은 우릴 받아줬지만, 한국인들은 탈북자를 받아준 적이 없어요.” 댓글에 나타난 남한사람들의 탈북자에 대한 인식과 공공 PR의 과제" 한국광고홍보학회 15 (15): 187-219, 2013

      30 Gerbner, G., "Violence pofile No. 10:Trends in network television drama and viewer conceptions of social reality 1967-1978"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67

      31 Donohue, J. C., "Understanding scientific literature : A bibliographic approach" The MIT Press 1973

      32 Borgatti, S. P., "Ucinet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Analytic Technologies 2002

      33 Guo, L., "Toward the third-level agenda-setting theory: A network agenda-setting model" 2011

      34 Shin, M. N., "The study on the general awareness between South Korean and the displaced people from the North Korea" 5 (5): 119-143, 2009

      35 Kiousis, S., "The power of information networks" Routledge 161-174, 2015

      36 Chung, T. C., "The increase of headline consuming and understanding of headlines in newspapers" 33 : 203-228, 1995

      37 McCombs, M., "Setting the agenda" Polity Press 2014

      38 Ministry of Unification, "Recent status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39 Shrum, L. J., "Processing Strategy Moderates the Cultivation Effect" 27 (27): 94-120, 2001

      40 Kim, H. S., "Prejudice, feeling, and attitude toward North Korea" 6 (6): 115-133, 2000

      41 Vargo, C. J., "Networks, big data, and intermedia agenda setting: An analysis of traditional, partisan, and emerging online U.S. news" 94 (94): 1031-1055, 2017

      42 Korea Press Foundation, "Media users in Korea 2020" Korea Press Foundation 2020

      43 Guo, L., "Global intermedia agenda setting : A big data analysis of international news flow" 67 : 499-520, 2017

      44 Lee, C. -J., "Genre-specific cultivation effects : Lagged association between overall TV viewing, local TV news viewing, and fatalistic beliefs about cancer prevention" 38 (38): 731-753, 2011

      45 Rothman, B. K., "Genetic maps and human imaginations : The limits of science in understanding who we are" Norton 1998

      46 Vu, H. T., "Exploring the world outside and the pictures in our heads : A network agenda-setting study" 91 : 669-686, 2014

      47 Potter, W. J., "Examining cultivation from a psychological perceptive" 18 : 77-102, 1991

      48 Lee, K., "Development of social adaptation programs"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05

      49 Arendt, F., "Cultivation effect of a newspaper on reality estimates,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22 : 147-159, 2010

      50 Yoon, I., "Co-perception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s" Korean Hana Foundation 2010

      51 Wu, H. D., "Beyond salience transmission : Linking agenda networks between media and voters" 47 (47): 1-27, 2017

      52 Shrum, L. J., "An online process model of second-order cultivation effects : How television cultivates materialism and its consequences for life satisfaction" 37 : 34-57, 2011

      53 Condit, C. M., "An exploring study of the impact of news headlines on genetic determinism" 22 (22): 379-395, 2001

      54 Guo, L., "Agenda setting in a 2.0 world: New agendas in communication" Routledge 112-133, 2013

      55 Yang, K. M., "A study for exploring multi-cultural educatio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05

      56 Arendt, F., "A newspaper’s effect on the strength of automatic assoications in memory" 24 (24): 1-8,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 Journal of Public Relations KCI등재
      2014-03-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홍보학회 -> 한국PR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5 1.55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2 1.71 2.371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