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한 자연상징물을 활용하여 지역경관을 개선하고 디자인 프로젝트를 활성화하여 지역의 정체성과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전국의 각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22866
2008
Korean
658.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9-25(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한 자연상징물을 활용하여 지역경관을 개선하고 디자인 프로젝트를 활성화하여 지역의 정체성과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전국의 각 자...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한 자연상징물을 활용하여 지역경관을 개선하고 디자인 프로젝트를 활성화하여 지역의 정체성과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전국의 각 자치단체는 다른 지역과 특별히 다른 차별성을 찾아내고 개발함으로써 발전역량을 넓히는데 최선을 기울인다. 그런 노력의 일환으로 자연자원을 배경으로 그 지방을 상징할 만한 캐릭터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대부분의 구(區)나 시군단위 자치단체는 상징목(象徵木) 및 상징화(象徵花)를 지정해 놓고 있다. 이런 소재를 활용하여 지역의 경관과 디자인을 특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아울러 지방의 경쟁력과 정체성을 배가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창안하였다.
경상남도 창원시를 선정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자연상징물의 지정유래와 근거를 분석하고 관리현황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상징목인 소나무와 상징화인 진달래를 활용하여 자연경관미를 살리는 동시에 그 정체성과 부합되는 환경디자인 요소를 제안하였다. 진입도로와 주요간선도로에 시목인 소나무를 집중 식재하고, 근린공원과 체육공원 등 주요 녹지공간을 상징목과 상징화를 중심으로 테마공원화하고, 도시의 주요 공공기관과 학교 등에 집중 식재하고, 식목운동을 통해 도시의 상징화와 상징목을 위주로 수목원을 조성하며, 그 품종의 다양화내지는 고급화를 위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제언을 담았다.
창원시의 자연상징물에 대한 관심과 전승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고 이를 토대로 시민이 만족할 만한 수준의 관리 및 조성에 정성을 쏟아야 한다는 결론을 담았다. 조례제정을 통해 시민이 지정한 자연상징물에 대한 투자는 그 정당성이 보장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한 지역경관 개선노력은 시민의 공감이 수반될 것이며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을 한층 강화시킬 도시경관 디자인 프로젝트의 핵심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진입로 및 주변 보행공간 기본계획
지역자원의 효과적 활용과 컨텐츠화를 위한 서산시 축제의 특화·발전 방안 연구
앤서니 브라운의 일러스트레이션에 내재된 조형요소와 상징성 분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