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李崇寧 선생의 西海島嶼 方言 조사 및 연구에 대하여 = About Lee Soong Nyoung’s Western Sea/Island Dialect Investigation and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9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has its purpose on introducing Lee Soong Nyoung’s Dialect research notes and reports on Eocheong-do and Heuksan-do, and discovering the features of Island Dialects featured there. His notes on Eocheng-do have a great meaning in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Dialectology as the data was recorded by Professor Lee’s own handwriting in detail, in 1949. Also, his notes on the Western Islands including the Heuksan-do, in 1954, has great meaning in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Dialectology in the fact that it not only have dialect data but also explanations and interpretations. Professor Lee wanted to disclose the features of geological language by researching Western Islands dialects such as wind names and tide names, in relation with the people’s livelihoods. He even tried dialect divisions around Island areas. Furthermore, he addressed explanations to problems that were importantly discussed in Korean Linguistics by using his dialect collection data.
      번역하기

      This article has its purpose on introducing Lee Soong Nyoung’s Dialect research notes and reports on Eocheong-do and Heuksan-do, and discovering the features of Island Dialects featured there. His notes on Eocheng-do have a great meaning in Korean L...

      This article has its purpose on introducing Lee Soong Nyoung’s Dialect research notes and reports on Eocheong-do and Heuksan-do, and discovering the features of Island Dialects featured there. His notes on Eocheng-do have a great meaning in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Dialectology as the data was recorded by Professor Lee’s own handwriting in detail, in 1949. Also, his notes on the Western Islands including the Heuksan-do, in 1954, has great meaning in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Dialectology in the fact that it not only have dialect data but also explanations and interpretations. Professor Lee wanted to disclose the features of geological language by researching Western Islands dialects such as wind names and tide names, in relation with the people’s livelihoods. He even tried dialect divisions around Island areas. Furthermore, he addressed explanations to problems that were importantly discussed in Korean Linguistics by using his dialect collection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心岳 이숭녕 선생이 於靑島와 黑山島 등 서해도서의 방언을 조사한 노트와 보고서를 소개하고 여기에 나타난 도서 방언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49년도에 어청도를 조사한 후 자료를 꼼꼼하게 기록한 노트는 이숭녕 선생의 친필 노트라는 점에서, 그리고 1954년도에 흑산도를 비롯한 서해도서를 조사한 후 펴낸 보고서는 방언 자료 외에 설명과 해석까지 곁들여졌다는 점에서 국어학적으로나 방언학적으로 매우 의의가 크다. 이숭녕 선생은 서해도서를 대상으로 한 방언 연구에서 도서지역의 생활과 관련지어 風名, 潮水干滿名이 등 지역 언어의 특수성을 밝히고자 했고 도서지역의 방언구획을 시도하기도 했다. 또한 다양한 방언자료를 활용해 국어사에서 중요시되어온 문제에 대한 설명을 하기도 했다.
      번역하기

      이 글은 心岳 이숭녕 선생이 於靑島와 黑山島 등 서해도서의 방언을 조사한 노트와 보고서를 소개하고 여기에 나타난 도서 방언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49년도에 어청도를...

      이 글은 心岳 이숭녕 선생이 於靑島와 黑山島 등 서해도서의 방언을 조사한 노트와 보고서를 소개하고 여기에 나타난 도서 방언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49년도에 어청도를 조사한 후 자료를 꼼꼼하게 기록한 노트는 이숭녕 선생의 친필 노트라는 점에서, 그리고 1954년도에 흑산도를 비롯한 서해도서를 조사한 후 펴낸 보고서는 방언 자료 외에 설명과 해석까지 곁들여졌다는 점에서 국어학적으로나 방언학적으로 매우 의의가 크다. 이숭녕 선생은 서해도서를 대상으로 한 방언 연구에서 도서지역의 생활과 관련지어 風名, 潮水干滿名이 등 지역 언어의 특수성을 밝히고자 했고 도서지역의 방언구획을 시도하기도 했다. 또한 다양한 방언자료를 활용해 국어사에서 중요시되어온 문제에 대한 설명을 하기도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근, "李崇寧 선생의 方言 採集과 方言 硏究" 한국방언학회 (9) : 211-276, 2009

      2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3 정승철, "한국 방언학사 In: 《方言學 事典》" 태학사 2001

      4 박창원, "이숭녕 In:《方言學 事典》방언연구회 편" 태학사 2001

      5 박창원, "심악 이숭녕 선생의 음운연구" 國語學會 34 : 283-320, 1999

      6 李崇寧, "나의 履歷書" 韓國日報社 (9111-9182) : 1978

      7 李崇寧, "나의 硏究生活《나의 걸어온 길-學術院 元老會員 回顧錄》1983" 大韓民國學術院 1983

      8 李基文, "국어사연구가 걸어온 길" 외솔회 26 : 135-146, 1977

      9 李崇寧, "각 고장의 사투리 이야기" 學園社 2 (2): 146-149, 1965

      10 김재원, "西海島嶼調査報告" 을유문화사 1957

      1 이병근, "李崇寧 선생의 方言 採集과 方言 硏究" 한국방언학회 (9) : 211-276, 2009

      2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3 정승철, "한국 방언학사 In: 《方言學 事典》" 태학사 2001

      4 박창원, "이숭녕 In:《方言學 事典》방언연구회 편" 태학사 2001

      5 박창원, "심악 이숭녕 선생의 음운연구" 國語學會 34 : 283-320, 1999

      6 李崇寧, "나의 履歷書" 韓國日報社 (9111-9182) : 1978

      7 李崇寧, "나의 硏究生活《나의 걸어온 길-學術院 元老會員 回顧錄》1983" 大韓民國學術院 1983

      8 李基文, "국어사연구가 걸어온 길" 외솔회 26 : 135-146, 1977

      9 李崇寧, "각 고장의 사투리 이야기" 學園社 2 (2): 146-149, 1965

      10 김재원, "西海島嶼調査報告" 을유문화사 1957

      11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 岩波書店 1944

      12 崔明玉, "方言 In:《國語硏究 어디까지 왔나》" 東亞出版社 1990

      13 李秉根, "方言 In:《國語國文學硏究史》" 宇石 1985

      14 都守熙, "忠南方言의 母音變化에 대하여 In: ≪國語國文學論叢≫(이숭녕선생고희기념)" 탑출판사 95-124, 1977

      15 이병근, "心岳 李崇寧 선생의 삶과 學問-10週忌에 다시 떠올리는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77-493, 2004

      16 이진호, "心岳 李崇寧 선생의 學問 世界-音韻論 分野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95-521, 2004

      17 田光鉉, "心岳 李崇寧 先生의 語彙.意味 硏究에 대한 槪觀" 韓國語文敎育硏究會 (82) : 39-44, 1994

      18 李秉根, "國語方言硏究의 흐름과 反省"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 : 12-31, 1979

      19 李相揆, "『方言集』 檢討 In: ≪方言集≫" 慕山學術硏究所 423-440,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2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