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박탈에 따른 운동중독자의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뇌 생리심리적 접근인 EEG 대뇌반구의 비대칭 활성화 지표를 통해 검증하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운동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2507
-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박탈에 따른 운동중독자의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뇌 생리심리적 접근인 EEG 대뇌반구의 비대칭 활성화 지표를 통해 검증하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운동박...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박탈에 따른 운동중독자의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뇌 생리심리적 접근인 EEG 대뇌반구의 비대칭 활성화 지표를 통해 검증하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운동박탈 시 나타나는 운동중독자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D, K대학교의 마라톤 동아리에서 활동하고 있는 남자 대학생 87명 중에서 운동중독자로 판명되는 20명을 선정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난수표를 활용하여 무선 할당되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실험집단은 운동중독자들로 5일 동안 운동박탈을 시키는 조건을 적용한 집단이고, 통제집단은 운동중독자들로 운동박탈 없이 평소대로 운동을 계속하는 조건을 적용한 집단이다. 먼저 운동박탈 후 나타나는 정서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에 따른 시점별(운동박탈 전, 운동박탈 3일 후, 운동박탈 5일 후) 긍정과 부정적 정서 그리고 EEG 대뇌반구 비대칭 차이지표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2way-ANOVA를 실시했으며, 사후검증을 실시했다. 그리고 운동박탈 뒤 다시 운동을 복귀 후 운동중독자들에게 나타나는 정서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 시점별로 감정의 변화를 2차원 원형모형 그래프를 작성하여 해석하였다. 힘든 정도를 나타내는 FAS가 Y축에 배치되고, 유쾌와 불쾌 정도의 FS 점수가 X축에 배치되어 두 점수가 교차한 지점에 점을 표시하고, 측정시점의 순서로 선을 연결하여 알아보았다(Russell, 1997). 또한 집단에 따른 시점별(운동 직전, 운동 후 바로, 운동종료 30분 후) 긍정과 부정적 정서 그리고 EEG 대뇌반구 비대칭 차이지표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2way-ANOVA를 실시했으며, 사후검증을 실시했다. 본 연구결과 운동중독자에 운동박탈이 발생할 경우 운동 중에 감정이 부정적으로 바뀐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운동박탈 연구에서 실시한 자기보고서 방식과 질적 연구 방식에서 벗어나 뇌 생리적 접근을 통해 좀 더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운동박탈에 대한 정서적 메커니즘을 제시했다고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of exercise deprivation by determining differences in self-reported changes in emotions and EEG frontal asymmetry in relation with exercise. Twenty male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ages rang...
This study examined the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of exercise deprivation by determining differences in self-reported changes in emotions and EEG frontal asymmetry in relation with exercise. Twenty male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ages ranges from 23-27years, amateur marathon runners were selected the participants (n=20) were assigned into one of two experimental conditions; 1) exercise deprivation group (n=10), and 2) non-exercise deprivation group (n=10). Feeling Scale and Felt Arousal Scale were administered to assess self-reported emotions at pre, during (5, 10, 15, 20, 25, 30 min), and post-exercise times (10, 20, 30 min) in relation with 30 min moderate to high intensity running on treadmill. Moreover, PANAS-X and recording of EEG from F3 and F4 scalp sites were performed at pre, immediately after termination of exercise, and 30 min post-exercise times.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of EDG significantly decreased positive emotions after exercise deprivation on EEG and self-reported measures, and showed maintenance in negative emotions during the rest period after the end of exercise on self-reported measures. In contrast, participants of NEDG experienced positive feelings during exercise period and maintenance in positive emotions during 30 min post-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