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직자의 행동변화를 기준으로 한 구직활동과정의 메커니즘 분석: Vroom의 기대이론을 적용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13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주로 노동 공급적 관점에서 구직자 개인에 초점을 맞추어 취업 성공에 이르는 구직활동 과정에서 수행되는 개인행동의 선택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구직활동의 강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의 선택적 행동들과 그 원인이 되는 동기변수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했을 때 개인이 성공적 취업에 이르는 구직활동과정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구직자 개인 측면에서 Vroom의 기대이론(Vroom, 1964)을 토대로 구직활동과정 속에 내재된 관계모델을 설계하고 이에 근거하여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관계방향을 탐색한 후, 이에 따라 구직활동을 거쳐 성공적 취업에 이르는 개인의 동태적 움직임을 개인 단위 노동패널 조사의 미시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요소들은 구직 관련 직간접적인 교육을 통해 구직기간 및 구직방법과 연계하여 최종적인 일자리의 질 선호도와 이어지는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역량 제고를 위한 직간접적 교육과 이의 충분한 수행을 위한 시간적 비용, 공식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구직경로가 제공될 때 구직자가 최종 목적으로서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임금, 고용안정성,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고려된)’와 연계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업자를 위한 재취업 정책결정 및 집행 시 구직활동 과정에 포함된 여러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실업자들의 재취업 여부나 고용유지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주로 노동 공급적 관점에서 구직자 개인에 초점을 맞추어 취업 성공에 이르는 구직활동 과정에서 수행되는 개인행동의 선택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구직활동의 강도를 제...

      본 연구에서는 주로 노동 공급적 관점에서 구직자 개인에 초점을 맞추어 취업 성공에 이르는 구직활동 과정에서 수행되는 개인행동의 선택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구직활동의 강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의 선택적 행동들과 그 원인이 되는 동기변수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했을 때 개인이 성공적 취업에 이르는 구직활동과정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구직자 개인 측면에서 Vroom의 기대이론(Vroom, 1964)을 토대로 구직활동과정 속에 내재된 관계모델을 설계하고 이에 근거하여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관계방향을 탐색한 후, 이에 따라 구직활동을 거쳐 성공적 취업에 이르는 개인의 동태적 움직임을 개인 단위 노동패널 조사의 미시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요소들은 구직 관련 직간접적인 교육을 통해 구직기간 및 구직방법과 연계하여 최종적인 일자리의 질 선호도와 이어지는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역량 제고를 위한 직간접적 교육과 이의 충분한 수행을 위한 시간적 비용, 공식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구직경로가 제공될 때 구직자가 최종 목적으로서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임금, 고용안정성,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고려된)’와 연계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업자를 위한 재취업 정책결정 및 집행 시 구직활동 과정에 포함된 여러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실업자들의 재취업 여부나 고용유지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primarily on individual job seekers from a labor-supply perspective. In addition, we have identified the opti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ctions in the course of job-hunting activities leading to job success and will look at the directions that can enhance the intensity of job-hunting activities accordingly. Based on a theoret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selective behavior and the contributing motivations,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job search process leading to successful employment is possible. Therefore, on the basis of Vroom"s theory of expectations (Vroom, 1964) from the individual perspective of the work-seeker, we designed a model of relationships inherent in the work-seeker"s activities and, on the basis of that, explored the variables and the direction of relationships that affect the work-seeker"s behavior. Accordingly, the dynamic movements of individuals, ranging from job hunting to successful employment, were attempted to analyze using micro data from individual labor panel surveys. The analysis found that these factors have a link to job quality preferences in conjunction with job periods and job methods through direct and indirect training and education related to job hunting.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d primarily on individual job seekers from a labor-supply perspective. In addition, we have identified the opti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ctions in the course of job-hunting activities leading to job success and will look at ...

      This study focused primarily on individual job seekers from a labor-supply perspective. In addition, we have identified the opti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ctions in the course of job-hunting activities leading to job success and will look at the directions that can enhance the intensity of job-hunting activities accordingly. Based on a theoret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selective behavior and the contributing motivations,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job search process leading to successful employment is possible. Therefore, on the basis of Vroom"s theory of expectations (Vroom, 1964) from the individual perspective of the work-seeker, we designed a model of relationships inherent in the work-seeker"s activities and, on the basis of that, explored the variables and the direction of relationships that affect the work-seeker"s behavior. Accordingly, the dynamic movements of individuals, ranging from job hunting to successful employment, were attempted to analyze using micro data from individual labor panel surveys. The analysis found that these factors have a link to job quality preferences in conjunction with job periods and job methods through direct and indirect training and education related to job hun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설계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설계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참고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인식, "패널데이터분석 Version15" ㈜지필미디어 2019

      2 이하진, "청년구직자의 취업프로그램 참여가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에미치는 영향" 1 (1): 81-106, 2016

      3 윤성진, "지역특성을 고려한 주택연금 제도개선 필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119-141, 2015

      4 장지연, "여성 미취업자의 취업의사와 실업탈출과정 : 미취업기간 탈출률의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35 (35): 159-188, 2001

      5 김연호, "실직자의 구직활동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가족관련 요인들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6 김구, "실업자의 취업가능성과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직의사 그리고 의중임금의 결정요인: 개인별 특성과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24 (24): 135-164, 2010

      7 김명언, "성취프로그램의 효과: 구직효능감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6 (16): 2003

      8 전찬열,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1-14, 2013

      9 이주희, "대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6 (6): 103-115, 2004

      10 임다희, "대졸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임금 및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6 (16): 529-554, 2014

      1 민인식, "패널데이터분석 Version15" ㈜지필미디어 2019

      2 이하진, "청년구직자의 취업프로그램 참여가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에미치는 영향" 1 (1): 81-106, 2016

      3 윤성진, "지역특성을 고려한 주택연금 제도개선 필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119-141, 2015

      4 장지연, "여성 미취업자의 취업의사와 실업탈출과정 : 미취업기간 탈출률의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35 (35): 159-188, 2001

      5 김연호, "실직자의 구직활동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가족관련 요인들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6 김구, "실업자의 취업가능성과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직의사 그리고 의중임금의 결정요인: 개인별 특성과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24 (24): 135-164, 2010

      7 김명언, "성취프로그램의 효과: 구직효능감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6 (16): 2003

      8 전찬열,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1-14, 2013

      9 이주희, "대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6 (6): 103-115, 2004

      10 임다희, "대졸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임금 및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6 (16): 529-554, 2014

      11 이만기,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대한경영정보학회 29 (29): 245-266, 2010

      12 조정현, "구직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구직효능감에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0 (30): 796-806, 2018

      13 김균, "구직 강도의 선행요인과 구직 명료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고용지원센터 이용 구직자를 대상으로" 한국노동연구원 9 (9): 113-141, 2009

      14 조남근, "교사의 직무성과가 직무만족에 미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탐색" 5 : 217-232, 1996

      15 방하남, "고용의 질: 거시·기업·개인수준에서의 지표개발과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2007

      16 Pinder, C. C., "Work motivation: Theory, issues, and applications" Scott, Foresman and Company 1984

      17 Vroom, V., "Work and motivation" Wiley 1964

      18 Wanberg, C. R., "Unemployed individuals: Motives, job-search competencies, and job-search constraints as predictors of job seeking and reemployment" 84 : 897-910, 1999

      19 Eden, d., "Self~efficacy Training to Speed Reemployment: Helping people to help themselves" 78 : 352-360, 1993

      20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37 : 122-147, 1982

      21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 84 (84): 191-215, 1977

      22 Elis, R. A., "Role of self-esteem within the job search process" 68 : 632-640, 1983

      23 Schwab, D. P.,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1987

      24 Werbel, J. D, "Relationships among Career Exploration, Job Search Intensity and Job Search Effectiveness in Graduating College Students" 57 (57): 379-394, 2000

      25 Tziner, A., "Predictors of Job Search Intensity Among College Graduates" 12 : 332-334, 1999

      26 한국노동연구원, "OECD 선진국에서의고용의 질 개념의 발전" 3 (3): 24-30, 2005

      27 Scholl, R. W., "Motivation: Expectancy theory"

      28 Redmond, B. F., "Lesson 4: Expectancy Theory: Is there a link between my effort and what I want?"

      29 Penn State World Campus, "Lesson 4: Expectancy Theory: Is there a link between my effort and what I really want?"

      30 Redmond, B. F., "Lecture on expectancy theory (Lesson 4). Personal Collection of B.F" Penn State University 2014

      31 Hanisch. K. A., "Job liss and Unemployment Research from 1994 to 1998: A review and recommendation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55 : 188-220, 1999

      32 Kanfer. R., "Job Search and Employment: A personalitymotivational analysis and meta-analytic review" 86 (86): 837-855, 2001

      33 Jones, R. G. Stephen, "Job Search Methods, Intensity and Effects" 51 (51): 1989

      34 Bortonick, S. M., "Job Search Method and Results: Tracking the Unemployed, 1991" 1992

      35 Allison, E. B., "Job Search Activities: An Examination of Changes over Time" 47 : 1994

      36 Ioannides, Y. M., "Job Information Networks, Neighborhood Effects, and Inequality" 42 (42): 1056-1093, 2004

      37 Wood, Andy, "Initiating Exporting: The Role of Man연령rial Motivation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68 (68): 2358-2365, 2015

      38 Wanberg, C. R, "Individuals Without Jobs: An empirical study of job-seeking behavior and reemployment" 81 : 76-87, 1996

      39 Kanfer, R., "Individual differences in successful job searches following layoff" 38 : 835-847, 1985

      40 Fryer, D., "Handbook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 215-227, 1998

      41 Keely, M. C., "Government Programs, Job Search Requirements, and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3 (3): 1985

      42 Ritter, J. A., "Good Jobs, Bad Jobs: Workers' Evaluations in Five Countries" 141 (141): 331-358, 2002

      43 European Union, "First European Quality of Life Survey: Quality of Work and Life Satisfaction" 2007

      44 Iyer, A., "Expectancy theory of motivation"

      45 Mathibe, I. R., "Expectancy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employee motivation" 6 (6): 2008

      46 Gorter, C., "Estimation the Effect of Counseling and Monitoring the Unemployment using a Job Search Model" 31 (31): 1995

      47 양은주, "Career search self-efficac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career services"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497-509,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8 1.41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